전체기사

2025.04.28 (월)

  • 맑음동두천 13.5℃
  • 맑음강릉 17.2℃
  • 맑음서울 14.5℃
  • 맑음대전 16.2℃
  • 맑음대구 18.1℃
  • 구름많음울산 17.2℃
  • 맑음광주 17.2℃
  • 구름많음부산 16.5℃
  • 맑음고창 15.5℃
  • 흐림제주 15.7℃
  • 맑음강화 13.8℃
  • 맑음보은 14.6℃
  • 맑음금산 15.7℃
  • 맑음강진군 18.1℃
  • 구름조금경주시 18.2℃
  • 구름많음거제 17.1℃
기상청 제공

경제

코스피, 외국인 이틀째 순매수에 ‘1910’선 회복

URL복사

[시사뉴스 천세두 기자]코스피가 외국인의 이틀 연속 매수세에 힘입어 1910선을 돌파했다. 간밤 미국증시 하락으로 오후 늦게까지 약보합권을 유지하다 장 마감 직전 매수세 유입에 따라 강보합 전환, 1900선 지지를 확인했다.

19일 코스피지수는 전 거래일(1908.84)보다 7.40포인트(0.39%) 오른 1916.24에 장을 마감했다.

거래량은 3억722만1000주, 거래대금은 3조8253억3300원이다. 외국인은 1723억원을 순매수, 개인과 기관은 1787억원과 683억원을 순매도 했다.

이날 상한가 종목과 하한가 종목은 없었다. 업종별로는 상승 우위 양상이 관찰됐다.

의료정밀(3.05%), 의약품(1.85%), 전기가스업(1.72%), 운수창고(1.48%), 종이목재(1.47%) 등이 상승, 보험(-2.14%), 은행(-1.35%), 금융업(-1.28%) 등이 하락했다.

시가총액 상위 종목은 혼조세 양상이 나타났다.

삼성전자(0.25%), 한국전력(2.39%), 현대차(1.36%), 아모레퍼시픽(1.36%), LG화학(2.88%)은 상승, 이를 제외한 삼성물산, 현대모비스, 삼성생명, SK하이닉스, 삼성전자우는 하락 마감했다.

코스닥지수는 전 거래일(638.43)보다 6.13포인트(0.96%) 오른 644.56에 장을 마감했다.

거래량은 4억3972만5000주, 거래대금은 2조8075억9800만원을 기록했다. 개인과 기관은 182억원과 4억원을 순매수, 외국인은 146억원을 순매도 했다.

이날 상한가 종목은 삼진, 에스에스컴텍, 엠젠플러스, 푸른기술, 한국큐빅 등 5개, 하한가 종목은 없었다.

업종별로는 상승 우위 양상이 나타났다.

정보기기(4.37%), 통신서비스(4.22%), 종이목재(3.41%), 통신방송서비스(3.01%), 방송서비스(2.68%) 등이 상승, 섬유의류(-0.43%), 유통(-0.24%), 제약(-0.19%) 만이 하락했다.

시가총액 상위 종목은 강한 오름세를 보였다.

셀트리온(-2.86%), 동서(-1.68%), 컴투스(-1.59%)를 제외한 카카오, CJ E&M, 메디톡스, 바이로메드, 로엔, 코미팜, 이오테크닉스는 상승 마감했다.

저작권자 Ⓒ시사뉴스
제보가 세상을 바꿉니다.
sisa3228@hanmail.net





배너

커버&이슈

더보기
수도권 대표 건축박람회 '2025 서울경향하우징페어' 성료
[시사뉴스 홍경의 기자] 건축·인테리어 자재, 전원주택 박람회 '2025 서울경향하우징페어'가 지난 24일 학여울역 세텍(SETEC) 전시장 전관에서 개막을 시작으로 27일까지 진행됐다. 국내 참가기업과 참관객이 만나 정보와 기술을 교류하는 최고의 네트워킹 플랫폼 역할을 한 이번 행사는 관련 업계 종사자와 건축주, 인테리어 수요자를 비롯한 참관객에게 다양한 제품과 기술을 소개했다. .이번 행사는 약 150개 기업, 420개 부스가 운영되며, 방대한 정보를 제공했다. 신축과 리모델링을 위한 전문가 상담관도 운영되며, 스마트홈, 친환경 건축 자재 등 미래 트렌드가 집중 조명됐다. 경향하우징페어는 1986년 시작으로 건축 기자재 및 기술을 중심으로 ‘설계-시공-디자인-유지 · 보수 · 관리’까지 전 과정을 아우르며 대한민국 건설, 건축, 인테리어 산업의 발전을 이끌어 온 대한민국 최초 건축 박람회로 알려져 있다. ‘서울경향하우징페어’에서는 내외장재/구조재/단열재, 급수/위생재, 냉난방/환기설비재, 도장/방수재, 조경/공공시설재, 조명/전기설비재, 체류형쉼터/이동식주택, 주택설계시공, 창호/하드웨어, 건축공구/관련기기, 홈인테리어 등 다채로운 품목을 선보였다. 이번

정치

더보기

경제

더보기


문화

더보기

오피니언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