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사뉴스 김승리 기자] 일본 ㈜롯데가 협력강화를 위해 한국 롯데제과 지분을 잇달아 매입한 가운데 롯데가(家) 경영권 분쟁의 또 다른 핵심 포인트로 롯데제과가 떠오르고 있다.
10일 금융감독원 전자공시시스템에 따르면 신동빈 롯데그룹 회장과 신동주 SDJ코퍼레이션 회장(전 일본 롯데홀딩스 부회장)은 지난 2013년 이후 롯데제과 주식 6만2287주(4.38%)를 사들였다.
신동주 회장은 2013년 8월부터 총 12차례에 걸쳐 롯데제과 주식 6787주(0.48%)를 사들였다. 지분율도 2013년 3.48%에서 현재 3.96%로 올랐다.
신동빈 회장은 2013년 롯데제과 지분 4.88%에서 시작해 지난 8월 순환출자고리 해소 차원에서 롯데건설이 보유하고 있던 롯데제과 주식 1만9000주(1.34%)를 매입하는 등 총 3번에 걸쳐 3.9%의 주식을 사들였다.
이처럼 신동빈 동주 형제가 '롯데제과'에 집중하는 표면적인 이유는 그룹의 모태라는 상징성 때문이다. 상징성을 제외하면 순환출자구조의 핵심, 일본 내 사업과의 연관성이 크다는 점 등이 내포돼 있다.
현재 롯데제과는 롯데쇼핑 7.86%, 롯데칠성음료 19.29%, 롯데푸드 9.32%, 롯데리아 13.59% 등 주요 계열사 지분을 상당 부분 보유하고 있다. 특히 롯데그룹의 모태인 식음료 계열사들을 여럿 거느리고 있다.
이에 따라 신동주·동빈 형제 입장에서는 그룹의 모태라는 상징성과 함께 실리를 동시에 챙길 수 있는 주요 포인트가 되고 있다.
또한 현재 롯데제과의 최대주주는 롯데알미늄이다. 롯데알미늄은 L제2투자회사가 34.92%를, 광윤사가 22.84%를 보유하고 있어 사실상 일본 롯데의 영향력 및 일본 ㈜롯데 및 계열사와 사업 연관성도 크다.
일각에서는 최근 롯데제과 주식 매입을 두고 신동빈 회장이 순환출자를 해소 후 발생될 표 대결을 염두에 둔 움직임이라는 해석이다.
우선 내년 3월말 신격호 총괄회장과 신동빈 회장 등의 사내외 이사 임기가 끝나 새로 선임을 해야한다. 현재 신동빈 회장 우호지분은 롯데알미늄과 일본 ㈜롯데를 합쳐 25.29%, 본인이 보유한 지분 8.78%를 합쳐 34.07%까지 늘어난다.
반면 신동주 회장 우호지분은 신동주 회장 지분(3.96%)과 신격호 총괄회장(6.83%), 신영자 롯데장학재단 이사장(2.52%) 등을 포함해도 22%에 불과하다.
만약 롯데제과를 잃으면 상장 식음료 계열사 전체적으로 영향이 미쳐, 도미노처럼 흔들린다는 점이다.
롯데칠성음료(신동빈 회장측 지분 20.5%, 신동주 회장측 지분 13.07%, 롯데제과 지분 19.29%)와 롯데푸드(신동빈 회장측 지분 24.02%, 신동주 회장 지분 7.15%, 롯데제과+롯데칠성음료 지분 18.65%) 등 상장사들의 지분구성에서 롯데제과 지분이 캐스팅보트 역할을 할 수 있기 때문이다.
업계 관계자는 "롯데제과는 그룹의 모태라는 상징성과 함께 일본 롯데와 사업 연관성 및 영향력이 크다"며 "일본 롯데와 연결돼 있는 롯데알미늄 지배하에 있는 롯데제과의 장악이 신동빈 회장에게 필수"라고 설명했다.
이어 "신동빈 회장은 최근 롯데제과 지분을 공개매수 등으로 롯데제과에 대한 지배력을 높여 내년 주총에서 만약의 사태가 일어날 가능성을 원천봉쇄하려는 것"이라고 덧붙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