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기사

2025.10.05 (일)

  • 맑음동두천 25.8℃
  • 구름조금강릉 27.3℃
  • 맑음서울 26.6℃
  • 구름많음대전 25.0℃
  • 흐림대구 22.6℃
  • 흐림울산 23.8℃
  • 구름많음광주 24.8℃
  • 흐림부산 27.2℃
  • 구름조금고창 25.2℃
  • 제주 24.5℃
  • 맑음강화 25.7℃
  • 구름많음보은 24.4℃
  • 구름많음금산 25.9℃
  • 구름많음강진군 26.3℃
  • 흐림경주시 22.1℃
  • 구름많음거제 25.3℃
기상청 제공

박주원, 집시기타 영화음악의 진수 'Gypsy Cinema'

URL복사

[시사뉴스 조종림 기자] '집시기타의 1인자' 기타리스트 박주원(35)이 2년 만에 새 앨범 '집시 시네마(Gypsy Cinema)'를 발표했다.

 '닥터 지바고' '러브 스토리' '대부' 등 영화 주제곡 10곡을 집시 기타로 재해석한 음반이다. 집시 스타일의 영화 음악 앨범은 한국에서 이번이 처음이다.

대부분 박주원이 어린 시절부터 즐겨 들어온 곡이다. '닥터지바고' 중 '라라의 테마'와 '러브 스토리'는 한국 음악계에서 접하기 힘든 탕고스 리듬의 플라멩코 곡으로 재탄생했다.

 '남과 여'는 플라멩코 중에서도 가장 변화무쌍한 불레리아스 리듬 위에서 춤춘다. '첨밀밀'에 삽입됐던 '월량대표아적심(月亮代表我的心)'은 역동적인 룸바 곡으로 변했다. 이를 위해 정통 플라멩코에서 주로 쓰는, 손뼉으로 리듬을 만다는 팔마스를 전면에 내세웠다.

 '인생은 아름다워'는 박주원이 벨기에 출신 프랑스 거장 기타리스트 장고 라인하르트(1910~1953)를 오마주한 곡이다.

피처링 라인업도 화려하다. 최백호는 박주원의 2집에 수록된 '방랑자' 이후 4년만에 '대부'의 주제곡을 노래로 옮긴 '스피크 소프트리 러브(speak softly love)'를 불렀다.

한국 영화 '러브픽션'에 수록됐던 박주원의 연주곡 '스위트 아모레'는 홍대앞 주목 받는 여성 싱어송라이터 프롬의 목소리를 빌려 이국적 분위기가 물씬한 노래로 태어났다.

반도네온, 집시 바이올린, 비브라폰 등 악기 피처링를 한 연주자도 눈길을 끈다. 독보적인 반도네온 연주자 고상지, 평단의 주목을 받는 바이올린 연주자 강이채, 재즈 비브라폰 연주자 이희경, 색소폰 연주자 장효석이 힘을 보탰다.

마지막 트랙 '제임스 본드 테마'는 2010년 하모니카 연주자 전제덕과 함께 발표한 디지털 싱글을 리마스터링해 보너스로 실었다.

한편 박주원은 재즈보컬 말로, 전제덕과 함께 12월 10~11일 오후 8시 건국대학교 새천년관 대공연장에서 '2015 더 3 라이브'를 연다.

저작권자 Ⓒ시사뉴스
제보가 세상을 바꿉니다.
sisa3228@hanmail.net





커버&이슈

더보기

정치

더보기
윤호중 행안장관 "중요 정보시스템 이중화, 예산 7천억~1조 소요 예상"
[시사뉴스 홍경의 기자] 윤호중 행정안전부 장관이 지난 1일 국회 행정안전위원회 국정자원 현안질의에서 국가정보자원관리원(국정자원)에서 관리하는 주요 핵심 정보시스템들을 양쪽 센터에서 동시에 가동하는 방식으로 이중화할 경우 7000억원에서 1조원의 예산이 필요하다고 밝혔다. 윤 장관은 "지금 파악하기로는, 대전센터에 있는 30여개의 1등급 정보시스템을 액티브-액티브 방식으로 구축하면, 7000억원 정도가 소요된다"고 말했다. 이어 "공주센터까지 포함하면 (예산이) 1조원이 넘는다"고 덧붙였다. 액티브-액티브는 한쪽에서 장애가 발생하더라도 다른 쪽이 즉시 서비스를 이어받아 중단 없이 운영할 수 있는 체계로, 두 센터가 실시간으로 데이터를 주고받으며 동시에 가동되는 구조다. 정부는 정보시스템을 중요도에 따라 1~4등급으로 나눠 관리하고 있다. 1등급은 국민 생활과 직결된 정보시스템으로, 정부24 등이 포함돼있다. 윤 장관은 이 방식이 막대한 예산이 소요되는 만큼, 민간에서 사용하는 클라우드 등을 활용하는 방안도 고려해보겠다고 했다. 윤 장관은 "보안 문제나 이런 문제를 해결한다면 민간 자원을 리스(임차) 형태로 활용하는 방법도 있을 수 있다"며 "로드맵을 마련하기

경제

더보기

사회

더보기

문화

더보기

오피니언

더보기
【박성태 칼럼】 디지털 약자들의 정보격차 어떻게 해소할 것인가
스마트폰 하나만 있으면 은행 업무부터 병원 예약, 대중교통 이용, 행정 서비스까지 해결되는 시대다. 그러나 이 편리함은 상대적으로 디지털 정보활용 취약계층에게는 새로운 장벽이 되곤 한다. 각종 기관의 창구 업무는 줄어들고 키오스크 등 디지털 기기만 늘어나고 있다. 디지털 전환은 이제 선택이 아닌 생존의 문제다. 전자정부, 모바일뱅킹, 온라인쇼핑, 스마트농업 등 대부분의 사회·경제 활동이 디지털을 기반으로 이뤄지는 시대다. 하지만 모두가 그 혜택을 고루 누리고 있는 것은 아니다. 노인뿐 아니라, 전업주부, 저학력자, 농촌 거주자, 장애인 등 이른바 ‘디지털 정보취약계층’은 여전히 정보 불평등의 사각지대에 놓여 있다. 이러한 정보격차는 단순한 ‘기술 접근’의 문제가 아니다. 기기 사용 능력의 부족, 낮은 디지털 문해력, 인프라 격차, 생활환경의 한계 등이 복합적으로 작용한다. 정보에 대한 접근 권한과 활용 능력이 결여되면 일상적인 서비스 이용은 물론, 경제 활동, 교육 기회, 복지 접근까지 제한받는다. 디지털 기술이 사회를 더 평등하게 만들기는커녕, 오히려 기존의 격차를 심화시키는 역설적 결과가 나타나고 있는 것이다. 특히, 지방의 중장년층 여성이나 농민, 저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