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기사

2025.10.08 (수)

  • 맑음동두천 25.8℃
  • 구름조금강릉 27.3℃
  • 맑음서울 26.6℃
  • 구름많음대전 25.0℃
  • 흐림대구 22.6℃
  • 흐림울산 23.8℃
  • 구름많음광주 24.8℃
  • 흐림부산 27.2℃
  • 구름조금고창 25.2℃
  • 제주 24.5℃
  • 맑음강화 25.7℃
  • 구름많음보은 24.4℃
  • 구름많음금산 25.9℃
  • 구름많음강진군 26.3℃
  • 흐림경주시 22.1℃
  • 구름많음거제 25.3℃
기상청 제공

문화

‘아리랑’ 연속기획<4> “놀라운 대동성을 지닌 노래”

URL복사

[시사뉴스 정춘옥 기자] 아리랑은 한민족의 정체성을 단적으로 표현하고 확인하는 노래다. 정체성의 확인은 자연스럽게 민족의 결속력을 강화시킨다. 해외 교민들은 조국을 원망하고, 그리워하면서 아리랑을 불렀다. 그들은 아리랑을 통해 민족혼을 채찍질하고, 세계에 민족의 존재를 알렸다.
 해방 직후 혼란기에 아리랑이 애국가 대신으로 불렸던 것도 아리랑이 민족의 상징이자, 연대성을 지닌 노래이기 때문이다. 김연갑 한겨레아리랑연합회 상임이사는 “눈물과 기쁨, 슬픔 등 모든 감정을 공유할수 있는 놀라운 대동성을 지닌 노래가 아리랑이다.”고 말했다.
 뉴질랜드 교민회장에 의하면, 북한주민들이 뉴질랜드 교민을 상대로 북한 상품을 파는데, 이때 아리랑을 부른다고 한다. 아리랑은 연대성을 강조하는 메시지 그 자체인 것이다.
 김대중 대통령이 북한을 방문했을 때, 만경대 학생소년궁전에서의 축하 공연과 두 차례의 만찬에서 아리랑이 등장했다. TV에 방영된 북한의 아리랑을 들으며 많은 사람들이 가슴 뭉클함을 경험했을 것이다. 2000년 9월 개최된 시드니 올림픽에서는 남북한선수가 아리랑과 함께 입장해 기립박수를 받았다.
 김 이사장은 “아리랑은 민족의 노래인데 북한과의 소통에 한계가 있다는 점이 안타깝다. 하지만, 남북 사이에 아리랑이 있다는 것은 다행스러운 일이다.”며, 아리랑이 남북을 정서적으로 묶어주고 있다고 강조했다. 현재, 아리랑을 매개로 북한과의 벽을 깨려는 시도가 다각도로 이루어지고 있다.

저작권자 Ⓒ시사뉴스
제보가 세상을 바꿉니다.
sisa3228@hanmail.net





커버&이슈

더보기

정치

더보기

경제

더보기

사회

더보기
연휴 엿새째 서울 방향 정체 집중…부산→서울 8시간20분
[시사뉴스 홍경의 기자] 추석 연휴 엿새째이자 대체공휴일인 8일은 귀경·나들이 차량이 몰리면서 서울 방향 고속도로 곳곳에서 정체가 심할 것으로 보인다. 한국도로공사에 따르면 이날 전국 고속도로 교통량은 546만대로, 수도권에서 지방으로 이동하는 차량은 33만대, 지방에서 수도권으로 진입하는 차량은 32만대로 각각 집계됐다. 서울 방향은 오전 7~8시 정체가 시작돼 오후 5~6시 절정에 이를 것으로 전망되며, 다음 날 오전 1~2시 정체가 완화할 것으로 보인다. 지방 방향은 오전 9~10시부터 막히기 시작해 낮 12시와 오후 1시 사이 가장 혼잡하고 오후 7~8시 정체가 해소될 것으로 예측된다. 특히 서울 방향 오후 5시께 가장 혼잡할 것으로 전망되며, 영동고속도로와 서해고속도로가 가장 붐비겠다. 오전 9시15분 기준 경부고속도로는 서울 방향 북천안부근~북천안 1㎞ 구간에서 막히고 있다. 부산 방향은 망향휴게소부근~천안부근 3㎞ 구간이 정체다. 서울양양고속도로는 양양 방향 ▲강일~남양주요금소 7㎞ ▲화도분기점부근~서종부근 2㎞에서 차량 행렬이 해소되지 못하고 있다. 서해안고속도로는 서울 방향 군산~통서천분기점 7㎞에서 차량이 가다 서기를 반복하고 있다. 오전

문화

더보기

오피니언

더보기
【박성태 칼럼】 디지털 약자들의 정보격차 어떻게 해소할 것인가
스마트폰 하나만 있으면 은행 업무부터 병원 예약, 대중교통 이용, 행정 서비스까지 해결되는 시대다. 그러나 이 편리함은 상대적으로 디지털 정보활용 취약계층에게는 새로운 장벽이 되곤 한다. 각종 기관의 창구 업무는 줄어들고 키오스크 등 디지털 기기만 늘어나고 있다. 디지털 전환은 이제 선택이 아닌 생존의 문제다. 전자정부, 모바일뱅킹, 온라인쇼핑, 스마트농업 등 대부분의 사회·경제 활동이 디지털을 기반으로 이뤄지는 시대다. 하지만 모두가 그 혜택을 고루 누리고 있는 것은 아니다. 노인뿐 아니라, 전업주부, 저학력자, 농촌 거주자, 장애인 등 이른바 ‘디지털 정보취약계층’은 여전히 정보 불평등의 사각지대에 놓여 있다. 이러한 정보격차는 단순한 ‘기술 접근’의 문제가 아니다. 기기 사용 능력의 부족, 낮은 디지털 문해력, 인프라 격차, 생활환경의 한계 등이 복합적으로 작용한다. 정보에 대한 접근 권한과 활용 능력이 결여되면 일상적인 서비스 이용은 물론, 경제 활동, 교육 기회, 복지 접근까지 제한받는다. 디지털 기술이 사회를 더 평등하게 만들기는커녕, 오히려 기존의 격차를 심화시키는 역설적 결과가 나타나고 있는 것이다. 특히, 지방의 중장년층 여성이나 농민, 저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