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형수 기자] 21일 열린 정홍원 국무총리 후보자 인사청문회에서는 가족 간 현금증여를 통한 세금 면제받았다는 ‘편법 절세’ 의혹과 부동산 투기 의혹 등이 집중 점검 대상이 됐다.
이틀 째 열린 인사청문회에서 전날 인사청문회에서 정 후보자의 국정운영 능력을 검증하는 질문이 이어진 데 반해 이날에는 후보자의 각종 의혹을 둘러싼 신상 문제에 질문이 집중됐다.
민주통합당 등 야당 의원들은 증여세 탈루, 아들의 병역면제, 두차례 위장전입, 변호사 활동시 전관예우 등에 대해 본격적으로 의혹을 제기했다.
또 부인이 경남 김해의 땅을 부모로부터 물려받았으면서 이를 공직자 재산신고에 빠뜨렸다는 의혹과 중앙선관위 상임위원 재직 당시 해외 출장에 부인을 동반했다는 의혹 등에 대해서도 해명을 요구했다.
정 후보자가 2009년 아들에게 2억원, 2012년에는 며느리에게 1억원을 증여하고, 정 후보자의 아들이 2011년 외삼촌과 이모로부터도 각각 1억원, 7천만원씩 증여받은 것을 두고 집중 난타 당했다.
이에 정 후보자는 “애가 결혼할 때 전세자금으로 2억원을 준 것”이라며 의혹을 부인했다.
또한 1995년 매입한 김해시 삼정동 땅 투기 의혹과 관련해서도 “당시에는 개발이 안돼 한가한 곳이었다. 한번 가보시면 투지 지역인지 금방 알 수 있을 것이다. 주택지다”라고 의혹을 부인했다.
투기 목적으로 구입했냐는 질문 공세에 대해서는 투기보다는 투자 목적이었다고 이야기했다.
아울러 검찰 퇴직 이후 법무법인 로고스에서 받은 급여가 일반 근로자에게는 위화감을 조성할 수 있다는 의견에 대해서는 “어려운 사람들 입장에선 그런 생각을 충분히 할 수 있다”고 언급했다.
이와 더불어 장관 및 청와대 수석 내정자 인선이 지역편중됐다는 비판에 대해서는 “이왕이면 지역도 균형을 맞췄으면 했지만 적재적소, 능력을 많이 고려하다 보니 지역적으로는 고루되지 못했다”고 밝혔다.
전관예우와 관련해서는 “공직자윤리법 개정으로 요건이 강화됐지만 아직도 국민 기대에 미흡하다”며 “철저히 관리해 가겠다”고 약속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