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형수 기자] 새누리당 박상은 의원(인천 중동옹진)은 21일 용산역세권개발사업 시행사인 드림허브 프로젝트 금융투자(주)의 부도위기는 정부의 특단의 조치와 대책 없이는 해결될 수 없다고 주장했다.
이날 국회 국토해양위원회 전체회의에서 박 의원은 “장기적인 경기침체로 어느 때보다 국가재정이 중요한 시기임을 감안하면 그 경제적 파장이 적지 않을 것으로 예상된다”고 언급했다.
이어 “또한 개발대상지역인 서부이촌동 주민 수천세대에 대한 보상금 피해도 2~3조원에 이를 것으로 전망된다”고 분석했다.
30조원 규모의 용산역세권개발사업은 정부가 2006년 8월 철도경영정상화 정부종합대책 일환으로 확정하면서 추진된 사업이다.
박 의원은 이 사업이 좌초위기에 빠지게 된 주요원인으로 개발 주체의 ‘약체 자본력’과 의무만을 앞세운 ‘경험미숙’, 코레일과 서울시의 책임소재가 불분명한 ‘동상이몽 개발정책’ 그리고 정부의 감독소홀을 지적했다.
박 의원은 “이번 사태는 민간투자자, 코레일, 서울시 그리고 정부가 총체적으로 만들어낸 합작품이다”라면서 “결국 그 피해는 선량한 국민들과 지역주민들에게 고스란히 돌아가게 된다”고 언급했다.
이어 “만약 사업이 무산되면 그 사회적 파장은 엄청날 것”이라고 경고하면서 “공기업을 관리감독하고 코레일 지분의 100%을 가지고 있는 정부가 용산역세권개발사업에 대하여 그동안 수수방관하는 태도로 일관한 것이 이번 사태를 더욱 키우게 됐다”고 주장했다.
박상은 의원은 “상황이 위급한 만큼, 정부가 이제라도 특단의 대책을 마련하는 등 적극적으로 해결에 나설 것”을 요구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