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형수 기자] 박근혜 대통령 당선인의 취임식이 1주일로 앞둔 17일 새 정부 17개 부처 국무위원이 내정됐다. 하지만 실질적 새 정부 출범은 다음 달로 미뤄질 가능성이 높아지면서 MB정부와 한 이불을 덮어야 하는 상황이 됐다.
17일 11개 부처 장관 내정자를 지명하면서 정부조직 개편안의 통과 의지를 보였다. 하지만 이런 의지가 오히려 야당을 자극, 야당의 적극적 협조를 이끌어내지 못하게 됐다.
때문에 정부조직 개편안 통과나 인사청문회 모두 전망이 불투명해졌다. 이미 민주통합당 박기춘 원내대표는 이날 “유감스럽다”라는 입장을 내놓은 상태이다.
또한 인사청문회가 보통 20일 정도 걸리기 때문에 1주일 만에 정부조직 개편안이 통과되고, 인사청문회가 마무리 된다는 것은 현실적으로 불가능하다.
즉, 장관 지명자들의 인사청문회가 끝나는 시점이 3월 초로 넘어갈 가능성이 높다는 것이다.
게다가 인사청문회 과정에서 낙마라도 한다면 새 정부의 정상적인 출범은 3월 중순이 될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다.
이런 상황이 된다면 박 당선인은 첫 국무회의를 이명박 정부의 총리와 장관들을 대상으로 주재해야 하는 상황이 닥치게 된다.
실제로 이명박 정부의 첫 국무회의는 3월18일 처음 열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