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기사

2025.09.22 (월)

  • 맑음동두천 25.8℃
  • 구름조금강릉 27.3℃
  • 맑음서울 26.6℃
  • 구름많음대전 25.0℃
  • 흐림대구 22.6℃
  • 흐림울산 23.8℃
  • 구름많음광주 24.8℃
  • 흐림부산 27.2℃
  • 구름조금고창 25.2℃
  • 제주 24.5℃
  • 맑음강화 25.7℃
  • 구름많음보은 24.4℃
  • 구름많음금산 25.9℃
  • 구름많음강진군 26.3℃
  • 흐림경주시 22.1℃
  • 구름많음거제 25.3℃
기상청 제공

사회

지방권 대학 수시 지원자 수 10% 이상 증가

URL복사

지방권 소재 110개 대학 경쟁률 10.2% 대폭 증가
지방권 경쟁률 6.49대 1…수도권 대비 큰 폭 상승
"향후 모집 어려움 겪는 수도권 대학 증가 가능성"

[시사뉴스 홍경의 기자] 2026학년도 전국 192개대 수시 지원자 수가 지방권 10만 4,272명으로 전년대비 10.2% 크게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경기침체와 취업난 등이 전국 모든 대학에 동시 발생하고 있는 가운데 지방권 학생이 수도권 소재대학에 무리한 지원을 기피하는 이런 현상은 실리위주의 수시 지원 패턴으로 분석된다. 

 

지방권 대학 수시 지원자 수가 10% 이상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불경기 여파로 서울권 유학을 포기하는 지방 학생이 늘어난 것이 이유로 보인다.

지난 21일 종로학원이 2026학년도 전국 192개 대학의 수시 지원 현황을 분석한 결과, 지방권 소재 110개 대학 17만3349명 모집에 112만4901명이 지원했다. 이는 전년 대비 10만4272명(10.2%) 증가한 것이다.

수도권 82개 대학 8만6808명 모집에는 141만5744명 지원해 전년 대비 1만9329명(1.4%) 늘었다. 이 중 서울권 42개 대학의 경우 4만8745명 모집에 91만8045명이 지원해 지원자 수는 1만8818명(2.1%) 증가했다.

반면 경인권 40개 대학에는 3만8063명 모집에 49만7699명이 지원해 전년 대비 511명(0.1%) 증가에 그쳤다.

지방권 상황을 구체적으로 보면 대구·경북 지역 모집인원이 전년 대비 2만7345명 모집에 19만9529명 지원해 전년 대비 2만2044명(12.4%) 크게 늘었다.

강원 지역의 경우 1만335명 모집에 7만274명 지원하면서 전년 대비 7384명(11.7%) 늘었다.

충청 지역은 5만7895명 모집에 41만1385명 지원하면서 3만9274명(10.6%) 증가했다.

호남 지역은 3만4446명 모집에 17만5051명 지원해 1만5662명(9.8%) 늘었다.

부산·울산·경남 지역은 4만1592명 모집에 25만9159명이 지원해 전년 대비 1만9224명(8.0%) 늘었다.

제주 지역은 1825명 모집에 9503명 지원해 전년 대비 684명(7.8%) 증가했다.

서울권 2026학년도 수시 평균 경쟁률은 18.83대 1로 2025학년도(18.74대 1) 대비 소폭 증가에 그쳤다. 경인권도 전년(13.02대 1) 대비 소폭 상승한 13.08대 1에 그쳤다.

반면 지방권은 2025학년도 5.98대 1에서 2026학년도 6.49대 1로 서울, 경인권에 비해 경쟁률이 크게 상승했다.

지방권 경쟁률은 대구·경북이 7.30대 1, 충청 7.12대 1, 강원 6.80대 1, 부·울·경 6.23대 1, 제주 5.21대 1, 호남 5.08대 1로 모두 상승했다.

수시는 6회 지원이 가능한 만큼 경쟁률 6대 1 미만일 경우 사실상 미달한 것으로 간주된다. 이로써 추정할 수 있는 경쟁률 6대 1 미만 대학 수는 지난해 68개에서 53개 대학으로 감소했다.

지역별로는 호남이 18개에서 16개로, 부·울·경이 16개에서 13개로, 충청이 20개에서 13개로, 대구·경북이 8개에서 7개로, 강원이 5개에서 3개로 감소했다. 제주는 1개 대학으로 전년과 동일했다.

지원자 수가 전년 대비 감소한 대학 수는 서울권 소재 대학에서는 42개 중 20개(47.6%), 경인권은 40개 중 17개(42.5%)로 절반에 육박했다.

반면 지방권 소재 대학은 110개 대학 중 16개(14.5%)에서만 지원자 수가 전년 대비 감소했고 나머지는 모두 증가했다.

지원자 수가 전년 대비 감소한 대학은 부·울·경이 25개 중 6개(24.0%), 충청이 38개 중 5개(13.2%), 대구·경북이 15개 중 1개(6.7%), 강원이 8개 중 1개(12.5%)에 불과했다.

대학별 전국 평균 경쟁률은 성균관대가 32.49대 1로 전국에서 가장 높았고 다음으로 한양대 30.99대 1, 중앙대 30.39대 1, 서강대 28.83대 1, 건국대 25.81대 1, 경희대 25.27대 1, 국민대 23.84대 1, 가천대(글로벌) 23.48대 1, 동국대 22.66대 1, 한국외대 22.63대 1이다.

지방권에서는 경북대 14.51대 1, 단국대(천안) 11.11대 1, 충북대 10.90대 1, 건국대(글로컬) 10.59대 1, 연세대(미래) 10.48대 1, 부산대 10.13대 1을 기록했다.

경쟁률이 가장 높은 학과는 자연계열에서 아주대 약학과 논술우수자 전형으로, 708.20대 1을 기록했다. 인문계에서는 국민대 경영학부(경영학전공) 논술전형이 321.6대 1을 보였다.

임성호 종로학원 대표이사는 "경기 침체 등으로 지방권 소재 학생 등이 무리하게 서울·경인권으로 유학하지 않은 것으로 해석된다"며 "사탐런, 의대 모집 축소 등 입시 불확실성이 커진 영향도 있다"고 분석했다.

임성호 대표이사는 "앞으로는 지방대 육성 정책, 경기 상황, 지방권 대학의 취업 환경에 따라 입시 지형이 달라질 수 있다"며 "동시에 서울·경인권 대학 중에서도 모집에 어려움을 겪는 곳이 늘어날 가능성이 있다"고 전망했다.

저작권자 Ⓒ시사뉴스
제보가 세상을 바꿉니다.
sisa3228@hanmail.net





커버&이슈

더보기

정치

더보기
행안위, 여당 주도로 정부조직법 개정안 의결…검찰청 폐지·기재부 분리
[시사뉴스 홍경의 기자] 행안위는 22일 여당 주도로 정부조직법 개정안을 의결했다. 이에 반발한 국민의힘 의원들은 고성·항의 목소리를 내며 회의장을 떠났다. 이날 통과된 개정안은 ▲검찰청 폐지 및 공소청·중수청 신설 ▲기획재정부→재정경제부 개편 및 기획예산처 신설 ▲금융위원회→금융감독위원회 개편 ▲환경부→기후에너지환경부 개편 등을 골자로 한다. 아울러 방송통신위원회를 폐지하고 방송미디어통신위원회를 신설하며, 여성가족부를 성평등가족부로 개편하는 내용 등도 함께 담고 있다. 여야는 22일 국회 행정안전위원회에서 정부조직법 개정안 처리를 놓고 공방을 벌였다. 더불어민주당은 국민의힘 의원들이 "발목 잡기"를 하고 있다고 했고, 국민의힘 의원들은 민주당이 "입법 독재"를 하고 있다고 맞섰다. 민주당 의원들은 앞서 국정기획위원회에서 정부 조직 개편과 관련한 심도 있는 논의를 거쳤기 때문에 '졸속 처리'라는 야당 측 입장은 발목 잡기라고 주장했다. 행안위 여당 간사인 윤건영 민주당 의원은 이날 오전 전체회의에서 "(국민의힘은 장외 집회에서) 대통령을 끌어내자고 한다. 이게 말이 되나"라며 "그러니 우리 상임위에서도 제대로 된 논의가 아니라 정쟁으로 흐르고 발목 잡기다,

경제

더보기

사회

더보기
서울시의회, 뉴욕한국문화원 방문 “문화로 만난 서울과 뉴욕, 미래를 이야기하다”
[시사뉴스 홍경의 기자] 서울시의회 문화체육관광위원회(김경 위원장, 아이수루 부위원장, 김형재 위원, 김혜영 위원)은 현지 시각으로 17일 뉴욕한국문화원을 방문해 미국의 비영리 문화예술기관 운영 방식과 기부 문화를 살펴보고, K-컬처와 관광산업 발전을 위한 협력 방안을 모색했다. 먼저 문화체육관광위원회는 뉴욕한국문화원 김천수 원장의 안내로 지난해 6월 개관한 신청사 내 극장, 미디어월, 전시장, 도서실, 부엌 등의 시설을 둘러보고, 이어자 간담회에서 뉴욕 현지 문화예술계 운영 사례와 한국 문화의 세계적 확산 가능성, 그리고 관광산업에 미치는 영향 등에 대하여 심도 있는 대화를 나눴다. 간담회를 시작하며 김 원장은 메트로폴리탄뮤지엄, 카네기홀 등 주요 문화기관이 민간 주도로 운영되며, 세금 혜택을 기반으로 한 기부 문화가 활성화돼 있음을 설명했다. 그는 "뉴욕에서는 비영리기관 운영이 문화예술 발전의 핵심"이라며 "특히 아트매니지먼트 과목을 통해 학생들이 비영리 경영을 배우고 있다"고 강조했다. 이에 김경 위원장은 한국에 비해 기부금 수익이 활발한 이유를 물었고, 원장은 "미국은 세액공제 폭이 넓어 회계연도 마감 시기에 기부가 집중된다"며 "문화예술 활성화를 위

문화

더보기

오피니언

더보기
【박성태 칼럼】 ‘일 안 해도 돈 준다’…청년 실업 대책, 계속되는 엇박자
‘청년 백수 120만’ 시대를 맞아 정부가 청년 고용 확대와 삶의 질 향상을 위해 올해부터 ‘일자리 첫걸음 보장제’를 강력 추진하기로 했다. ‘청년백수’는 대한민국에서 15~29세 청년층 중 공식적인 통계에 잡히는 실업자는 아니지만, 실직 상태이거나 취업을 준비 중이거나, 또는 구직 활동을 하지 않고 그냥 쉬는 ‘쉬었음’ 인구를 모두 포함하는 개념으로 지난 2월 통계청 발표에서 전년보다 7만여 명 이상 늘어난 120만7천 명에 달했다. 이중 실업자는 약 27만 명, 취업준비자 약 43만 명, ‘그냥 쉬었음’이 약 50만 명으로 그냥 쉰다는 ‘쉬었음’ 인구가 큰 폭으로 늘어났다. ‘쉬었음’ 인구는 취업자나 실업자가 아닌 ‘비경제활동인구’로 분류하는 공식적인 용어로 일할 의사나 능력이 없거나, 있더라도 구직 활동을 하지 않는 사람들을 모두 포함하는 개념이다. 정부가 추진하는 ‘일자리 첫걸음 보장제’는 크게 세 가지 유형의 청년(쉬었음 청년, 구직 청년, 일하는 청년)을 대상으로 맞춤형 지원을 제공하는데 자칫 일 안 해도 정부가 수당도 주고, 각종 지원도 해준다는 인식을 심어주는 것 아닌가 하는 우려가 크다. 청년 세대의 어려움은 어제오늘의 일이 아니지만, 최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