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기사

2025.10.11 (토)

  • 맑음동두천 25.8℃
  • 구름조금강릉 27.3℃
  • 맑음서울 26.6℃
  • 구름많음대전 25.0℃
  • 흐림대구 22.6℃
  • 흐림울산 23.8℃
  • 구름많음광주 24.8℃
  • 흐림부산 27.2℃
  • 구름조금고창 25.2℃
  • 제주 24.5℃
  • 맑음강화 25.7℃
  • 구름많음보은 24.4℃
  • 구름많음금산 25.9℃
  • 구름많음강진군 26.3℃
  • 흐림경주시 22.1℃
  • 구름많음거제 25.3℃
기상청 제공

지역네트워크

북구, 청소년 토론배틀 개최

URL복사

 

 

[시사뉴스 정윤철 기자]  울산 북구는 10일 북구 평생학습관 학습누림터에서 청소년 토론배틀을 열었다.

 

이날 대회에는 예선을 통과한 4개 팀이 '반려견인가, 애완견인가'를 주제로 찬반토론을 진행해 결선 참가자를 정했고, 결선에서는 최근 이슈화된 '촉법소년 연령 하한'에 대해 토론을 펼쳐 상안중학교 2학년 홍동준·김도훈·김민진이 최우수상을 받았다. 우수상은 달천중, 장려상은 농소중과 매곡중이 수상했다.

 

이날 대회에 앞서 지난 1일과 7일에는 11개 팀이 메타버스 플랫폼을 통해 온라인 예선전을 치렀다.

 

심사위원들은 "설득력 있는 자료를 사용해 우리 시대의 논제를 심도 있게 풀어냈다"며 "승패를 떠나 청소년들이 사회 현안에 관심을 갖고 참여하는 모습이 인상적이었다"고 입을 모았다.

 

북구는 청소년의 공공화법과 논리적 사고 함양 기회 제공을 위해 혁신교육지구사업으로 메타버스라는 가상의 공간을 활용한 토론대회를 올해 처음으로 개최했다.

 


On the 10th, Buk-gu, Ulsan, held a youth debate battle at the Buk-gu Lifelong Learning Center Learning Center.

Four teams that passed the preliminary round held a discussion on the theme of "Pets or Dogs" to select finalists, and in the final, Hong Dong-joon, Kim Do-hoon, and Kim Min-jin, second graders of Sangan Middle School, won the grand prize. The excellence award was won by Dalcheon Middle School, and the encouragement award was won by Nongso Middle School and Maegok Middle School.

 

Prior to the competition, 11 teams held online preliminary rounds through the metaverse platform on the 1st and 7th.

 

The judges said, "We used persuasive data to solve the issues of our time in depth," adding, "It was impressive to see teenagers participating in social issues regardless of victory or defeat."

 

Buk-gu held its first debate competition this year using a virtual space called Metaverse as an innovative education district project to provide opportunities for teenagers to publicize and foster logical thinking.

저작권자 Ⓒ시사뉴스
제보가 세상을 바꿉니다.
sisa3228@hanmail.net





커버&이슈

더보기

정치

더보기

경제

더보기

사회

더보기

문화

더보기

오피니언

더보기
【박성태 칼럼】 디지털 약자들의 정보격차 어떻게 해소할 것인가
스마트폰 하나만 있으면 은행 업무부터 병원 예약, 대중교통 이용, 행정 서비스까지 해결되는 시대다. 그러나 이 편리함은 상대적으로 디지털 정보활용 취약계층에게는 새로운 장벽이 되곤 한다. 각종 기관의 창구 업무는 줄어들고 키오스크 등 디지털 기기만 늘어나고 있다. 디지털 전환은 이제 선택이 아닌 생존의 문제다. 전자정부, 모바일뱅킹, 온라인쇼핑, 스마트농업 등 대부분의 사회·경제 활동이 디지털을 기반으로 이뤄지는 시대다. 하지만 모두가 그 혜택을 고루 누리고 있는 것은 아니다. 노인뿐 아니라, 전업주부, 저학력자, 농촌 거주자, 장애인 등 이른바 ‘디지털 정보취약계층’은 여전히 정보 불평등의 사각지대에 놓여 있다. 이러한 정보격차는 단순한 ‘기술 접근’의 문제가 아니다. 기기 사용 능력의 부족, 낮은 디지털 문해력, 인프라 격차, 생활환경의 한계 등이 복합적으로 작용한다. 정보에 대한 접근 권한과 활용 능력이 결여되면 일상적인 서비스 이용은 물론, 경제 활동, 교육 기회, 복지 접근까지 제한받는다. 디지털 기술이 사회를 더 평등하게 만들기는커녕, 오히려 기존의 격차를 심화시키는 역설적 결과가 나타나고 있는 것이다. 특히, 지방의 중장년층 여성이나 농민, 저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