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기사

2025.10.11 (토)

  • 맑음동두천 25.8℃
  • 구름조금강릉 27.3℃
  • 맑음서울 26.6℃
  • 구름많음대전 25.0℃
  • 흐림대구 22.6℃
  • 흐림울산 23.8℃
  • 구름많음광주 24.8℃
  • 흐림부산 27.2℃
  • 구름조금고창 25.2℃
  • 제주 24.5℃
  • 맑음강화 25.7℃
  • 구름많음보은 24.4℃
  • 구름많음금산 25.9℃
  • 구름많음강진군 26.3℃
  • 흐림경주시 22.1℃
  • 구름많음거제 25.3℃
기상청 제공

지역네트워크

태화강 통행로(화합문) 조명등 정비공사 추진

URL복사

 

 

[시사뉴스 정윤철 기자]  울산 남구는 삼산동 강변헬스사우나 인근 태화강 화합문의 안전한 보행환경을 조성하기 위하여 조명등 정비공사를 추진한다고 밝혔다.

 

태화강 화합문은 재해시 육갑문(물 침투 방지시설)으로, 평상시에는 태화강 둔치 이용객들이 연결통로로 이용되는 중요한 시설이며, 태화강의 자전거 도로로 이어지고 있어, 출퇴근, 산책 등으로 많은 시민들이 애용하고 있다.

 

이에 남구에서는 사업비 8백만원으로 조명등 정비공사를 시행하여 LED교체 및 전기설비 보수를 11월 중순까지 완료할 계획이다.

 

서동욱 남구청장은 “태화강 일원 통행로의 환경개선을 위하여 남구는 지속적으로 노력하고 있으며, 이번 사업으로 주, 야간에 안심하고 통행할 수 있는 밝은 공간으로 조성하여 보행자 모두 안전하고 쾌적한 보행환경을 조성하는데 노력하겠다.”며, “공사기간동안 해당 구간을 이용하는 시민들의 많은 협조를 당부드린다”고 전했다.

 


Nam-gu, Ulsan, announced that it will carry out maintenance work on lighting lights to create a safe walking environment at the Taehwa River Harmony Gate near the riverside health sauna in Samsan-dong.

 

Taehwagang Harmon Gate is a six-gap gate (water penetration prevention facility) in the event of a disaster, and is an important facility used by users of the Taehwagang River as a connection passage. It leads to the Taehwagang River's bicycle path, so many citizens use it for commuting and walking.

 

Accordingly, Nam-gu plans to carry out maintenance work on lighting lights with a project cost of 8 million won to complete LED replacement and electrical facility maintenance by mid-November.

 

Nam-gu District Mayor Seo Dong-wook said, "To improve the environment of the Taehwagang River, Nam-gu District will continue to make efforts to create a safe and pleasant pedestrian environment by creating a bright space for safe passage during the day and night."

저작권자 Ⓒ시사뉴스
제보가 세상을 바꿉니다.
sisa3228@hanmail.net





커버&이슈

더보기

정치

더보기

경제

더보기

사회

더보기

문화

더보기

오피니언

더보기
【박성태 칼럼】 디지털 약자들의 정보격차 어떻게 해소할 것인가
스마트폰 하나만 있으면 은행 업무부터 병원 예약, 대중교통 이용, 행정 서비스까지 해결되는 시대다. 그러나 이 편리함은 상대적으로 디지털 정보활용 취약계층에게는 새로운 장벽이 되곤 한다. 각종 기관의 창구 업무는 줄어들고 키오스크 등 디지털 기기만 늘어나고 있다. 디지털 전환은 이제 선택이 아닌 생존의 문제다. 전자정부, 모바일뱅킹, 온라인쇼핑, 스마트농업 등 대부분의 사회·경제 활동이 디지털을 기반으로 이뤄지는 시대다. 하지만 모두가 그 혜택을 고루 누리고 있는 것은 아니다. 노인뿐 아니라, 전업주부, 저학력자, 농촌 거주자, 장애인 등 이른바 ‘디지털 정보취약계층’은 여전히 정보 불평등의 사각지대에 놓여 있다. 이러한 정보격차는 단순한 ‘기술 접근’의 문제가 아니다. 기기 사용 능력의 부족, 낮은 디지털 문해력, 인프라 격차, 생활환경의 한계 등이 복합적으로 작용한다. 정보에 대한 접근 권한과 활용 능력이 결여되면 일상적인 서비스 이용은 물론, 경제 활동, 교육 기회, 복지 접근까지 제한받는다. 디지털 기술이 사회를 더 평등하게 만들기는커녕, 오히려 기존의 격차를 심화시키는 역설적 결과가 나타나고 있는 것이다. 특히, 지방의 중장년층 여성이나 농민, 저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