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기사

2025.08.21 (목)

  • 구름많음동두천 29.3℃
  • 맑음강릉 33.1℃
  • 구름많음서울 29.7℃
  • 구름조금대전 30.6℃
  • 구름조금대구 30.8℃
  • 맑음울산 31.3℃
  • 구름조금광주 30.5℃
  • 맑음부산 31.2℃
  • 맑음고창 31.0℃
  • 맑음제주 31.5℃
  • 구름많음강화 28.8℃
  • 구름조금보은 27.9℃
  • 맑음금산 29.4℃
  • 구름조금강진군 30.8℃
  • 맑음경주시 31.7℃
  • 구름조금거제 30.6℃
기상청 제공

지역네트워크

울산 학교공간혁신 ‘다담’ 프로젝트 참여학교 공모

URL복사

 

[시사뉴스 정윤철 기자] 울산광역시교육청(교육감 노옥희)은 9월 20일부터 10월 10일까지 2023년 울산 학교공간혁신 ‘다담’프로젝트 참여 학교를 공모한다고 밝혔다.

 

2023년 울산 학교공간혁신 프로젝트는 22년 5개 학교(공사비 15억)에서 7개교(공사비 24억 5천만원)으로 사업을 확대하여 운영할 계획이다.

 

‘다담’은 울산 학교공간혁신 제2기 프로젝트의 새 이름으로, ‘미래사회의 주역인 학생을 중심으로 배움과 삶 공간의 지속 가능한 재구성을 실현하기 위해 교육공동체가 함께 만들어 가는 울산 학교공간혁신 프로젝트’의 의미를 담았다.

 

울산교육청은 2019년부터 4년째 학교공간혁신 프로젝트를 운영하고 있으며 총 29개교에 공사비 62억을 투자했다. 특히 단순하게 학교시설 환경개선이 아니라 ‘건강한 생태계, 배움문화와 배움공간 조성, 우리학교 우리울산, 마을과 함께하는 배움공동체, 행복한 동반관계’라는 5가지 울산의 정체성을 담아 추진해오고 있다.

 

이를 위해 건축전문가(촉진자, 설계자)가 학교 사용자(학생, 학부모, 교직원 등)과 함께 참여해 미래교육에 대응하기 위한 다양하고 유연한 공간, 민주적인 의사결정 및 의사소통 능력 향상, 생태적 배움환경과 공동체 학습활동 지원공간을 마련하기 위해 협의, 연수, 워크숍 등을 진행한다.

 

지난해에는 9개 학교가 프로젝트에 참여하였으며 그 중 월평초는 본관과 별관 사이 창고를 중심으로 구름다리와 모래놀이터, 창고 학습장을 조성하여 학습, 놀이, 휴식이 가능한 공간을 조성했다.

 

두광중은 학교 뒷마당에 비가와도 전교생이 모여 회의도 할 수 있고, 공연도 하고 관람을 할 수 있는 복합 야외 교실을 만들었다. 성광여고는 사용하지 않던 기숙사 동백관 2, 3층을 고교학점제 운영을 위한 학습, 휴식 공간으로 조성하였다.

 

그린스마트미래학교추진단 박형관 단장은 “지난 3년간 학교공간혁신 프로젝트 참여자(학생, 학부모, 교원)의 만족도는 항상 90% 이상으로 높게 나타나고 있으며, 교육과정, 교수학습과 연계한 학습공간, 학교문화의 변혁적인 성공 사례로 자리잡고 있다며, 내년에는 학교 현장의 높은 관심을 반영해 7개 학교로 사업을 확대하여 운영할 예정으로 관심있는 학교의 많은 지원을 바란다”고 하였다.

 


The Ulsan Metropolitan Office of Education (superintendent Noh Ok-hee) announced that it will invite schools to participate in the 2023 Ulsan School Space Innovation "Dadam" project from September 20 to October 10.

 

In 2023, the Ulsan School Space Innovation Project plans to expand and operate the project from five schools (construction cost of 1.5 billion won) to seven schools (construction cost of 2.45 billion won) in 22.

 

Dadam is the new name of the second Ulsan School Space Innovation Project, which means the Ulsan School Space Innovation Project, which the educational community creates together to realize the sustainable reconstruction of learning and living space centered on students who are the leaders of the future society.

 

The Ulsan Office of Education has been operating a school space innovation project for four years since 2019, and has invested 6.2 billion won in a total of 29 schools. In particular, rather than simply improving the environment of school facilities, it has been promoting Ulsan's five identities: "A healthy ecosystem, creating a learning culture and learning space, our school Ulsan, a learning community with villages, and a happy partnership."

 

To this end, architectural experts (promoter, designer) will participate with school users (students, parents, faculty, etc.) to provide various and flexible spaces to respond to future education, improve democratic decision-making and communication skills, and provide ecological learning environments and community learning activities.

 

Last year, nine schools participated in the project, and Wolpyeong Elementary School created a cloud bridge, a sand playground, and a warehouse learning center around the warehouse between the main building and the annex to create a space for learning, play, and relaxation.

 

Doo Kwang-jung created a complex outdoor classroom where all students can gather to have meetings, perform and watch even if it rains in the backyard of the school. Seonggwang Girls' High School created the second and third floors of the unused dormitory Dongbaekgwan as learning and rest areas for the operation of the high school credit system.

 

Park Hyung-kwan, head of the Green Smart Future School Promotion Team, said, "Over the past three years, the satisfaction of participants in school space innovation projects (students, parents, and teachers) has always been more than 90%, and it has become a transformative success case of curriculum, teaching and culture. We hope for a lot of support from seven schools next year."

저작권자 Ⓒ시사뉴스
제보가 세상을 바꿉니다.
sisa3228@hanmail.net





커버&이슈

더보기

정치

더보기

경제

더보기

사회

더보기
최호정 의장, 대학생 인턴과 소통 간담회 가져
[시사뉴스 홍경의 기자] 서울특별시의회 최호정 의장(국민의힘, 서초4)은 20일(수) 의회 본관 의장접견실에서 제7기 여름방학 대학생 인턴 11명과의 간담회를 개최했다. 이날 간담회는 최 의장의 격려사, 대학생 인턴 학생들의 자기소개에 이어서울시의회와 지방의회의 발전 방안 등에 대한 인턴들의 질의와 최 의장의 답변이 이어졌다. 참석한 대학생 인턴들은 이번에 참여한 정책 연구과제 활동을 소개하며, 의정활동 참여에 대한 경험과 활동 소감 등을 공유했다. 또한, 인턴들은 “의정활동 현장을 직접 경험하며 의회가 하는 일을 이해하게 되었고, 학문적 지식이 실제 정책으로 이어질 수 있다는 점에서 의미있는 경험이었다”고 소감을 밝혔다. 최호정 의장은 “짧은 기간이지만 시민의 삶에 필요한 정책이 어떻게 만들어지는지 경험한 것이 여러분 인생에 좋은 디딤돌이 되길 바란다”며 “서울시의회는 시민들의 생활과 밀접한 정책을 다루는 기관이므로, 앞으로 대학생 인턴들이 현장에서 제안한 아이디어와 의견이 실제 정책으로 연결될 수 있도록 적극적으로 지원하겠다”고 밝혔다. 제7기 대학생 인턴십은 서울특별시의회가 서울 소재 11개 대학과 연계해 운영하는 사업이다. 11개 대학: 경희대, 광운

문화

더보기
경주 주요 명소에서 펼쳐지는 다채로운 전통공연 ‘서라벌 풍류’
[시사뉴스 정춘옥 기자] 전통공연예술진흥재단(이사장 배영호)은 ‘2025년 APEC 정상회의’의 성공적 개최를 기원하고, 경주를 찾는 내외국인 관광객에게 한국의 전통공연예술을 알리기 위한 기념공연 ‘서라벌 풍류’를 8월 23일부터 10월 29일까지 경주 주요 명소에서 개최한다. 이번 공연은 K-컬처의 근간인 순수 전통예술부터 현대적 감각을 담은 창작국악, 그리고 지역 대표 예술단체의 국악관현악, 무용, 연희에 이르기까지 다채로운 장르로 구성된다. 전국을 대표하는 유수의 예술단체와 공모를 통해 선정된 실력 있는 예술단체가 참여해 풍성하고 수준 높은 공연이 펼쳐질 예정이다. 경주 육부촌(현, 경상북도문화관광공사), 교촌마을, 첨성대 등 경주의 주요 명소에서 관람객들에게 역사와 예술이 어우러진 특별한 경험을 선사할 것으로 기대된다. ‘서라벌 풍류’의 첫 무대는 8월 23일부터 경상북도 산업유산으로 지정된 유서 깊은 장소 ‘육부촌’에서 펼쳐진다. 1979년 PATA(아시아태평양관광협회) 총회를 위해 건립된 대한민국 최초의 컨벤션 센터인 ‘육부촌’은 45년간 민간에 공개되지 않아 당시의 원형을 유지하고 있어 관람객들은 경주의 근대 역사와 함께 특별한 전통공연을 감상할

오피니언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