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기사

2025.10.12 (일)

  • 맑음동두천 25.8℃
  • 구름조금강릉 27.3℃
  • 맑음서울 26.6℃
  • 구름많음대전 25.0℃
  • 흐림대구 22.6℃
  • 흐림울산 23.8℃
  • 구름많음광주 24.8℃
  • 흐림부산 27.2℃
  • 구름조금고창 25.2℃
  • 제주 24.5℃
  • 맑음강화 25.7℃
  • 구름많음보은 24.4℃
  • 구름많음금산 25.9℃
  • 구름많음강진군 26.3℃
  • 흐림경주시 22.1℃
  • 구름많음거제 25.3℃
기상청 제공

지역네트워크

동구청 학습포구 마을학교 하반기 프로그램 운영

URL복사

 

[시사뉴스 정윤철 기자] 울산시 동구청은 지역 공동체 활성화를 위한 학습포구 마을학교 하반기 프로그램을 오는 9월 22일부터 시작한다.

 

이번 학습포구 마을학교는 화정동 힐스테이트 이스턴베이 아파트, 방어동 방어휴먼시아, 화정동 화정주공아파트, 전하동 전하푸르지오 아파트 등 4곳에서 입주민 등 200여명을 대상으로 열린다.

 

수제쌍화차 만들기, 세제만들기, 컬러테라피, 도시농부 학교 등을 비롯해 울산과학대학교 물리치료학과와 연계한 근육테이핑 활용법 등 16개 강의가 9월 22일부터 11월 18일까지 열린다.

 

동구청 관계자는 "지역의 유휴공간을 활용해 주거지와 가까운 곳에서 평생교육 프로그램을 운영함으로써 같은 지역에 사는 주민들끼리 교육을 매개로 친목을 다지고 마을 공동체에 활기를 불어넣는 이번 프로그램에 주민들의 많은 참여와 관심을 바란다"고 말했다.

 


The Dong-gu Office in Ulsan will start the second half of the Learning Port Village School program from September 22nd to revitalize the local community.

 

The Learning Port Village School will be held for about 200 people, including residents, at four locations: Hwajeong-dong Hillstate Eastern Bay Apartment, Bangeo Humania in Bangeo-dong, Hwajeong Jugong Apartment in Hwajeong-dong, and Daejeon Prugio Apartment in Daejeon-dong.

 

Sixteen lectures will be held from September 22 to November 18, including handmade ssanghwa tea making, detergent making, color therapy, and urban farmers' schools, as well as how to use muscle taping in connection with the department of physical therapy at Ulsan National University of Science.

 

An official from Dong-gu Office said, "We hope that residents will participate and pay a lot of attention to this program, which will strengthen friendship and revitalize the village community by operating lifelong education programs close to residential areas."

저작권자 Ⓒ시사뉴스
제보가 세상을 바꿉니다.
sisa3228@hanmail.net





커버&이슈

더보기

정치

더보기

경제

더보기

사회

더보기

문화

더보기

오피니언

더보기
【박성태 칼럼】 디지털 약자들의 정보격차 어떻게 해소할 것인가
스마트폰 하나만 있으면 은행 업무부터 병원 예약, 대중교통 이용, 행정 서비스까지 해결되는 시대다. 그러나 이 편리함은 상대적으로 디지털 정보활용 취약계층에게는 새로운 장벽이 되곤 한다. 각종 기관의 창구 업무는 줄어들고 키오스크 등 디지털 기기만 늘어나고 있다. 디지털 전환은 이제 선택이 아닌 생존의 문제다. 전자정부, 모바일뱅킹, 온라인쇼핑, 스마트농업 등 대부분의 사회·경제 활동이 디지털을 기반으로 이뤄지는 시대다. 하지만 모두가 그 혜택을 고루 누리고 있는 것은 아니다. 노인뿐 아니라, 전업주부, 저학력자, 농촌 거주자, 장애인 등 이른바 ‘디지털 정보취약계층’은 여전히 정보 불평등의 사각지대에 놓여 있다. 이러한 정보격차는 단순한 ‘기술 접근’의 문제가 아니다. 기기 사용 능력의 부족, 낮은 디지털 문해력, 인프라 격차, 생활환경의 한계 등이 복합적으로 작용한다. 정보에 대한 접근 권한과 활용 능력이 결여되면 일상적인 서비스 이용은 물론, 경제 활동, 교육 기회, 복지 접근까지 제한받는다. 디지털 기술이 사회를 더 평등하게 만들기는커녕, 오히려 기존의 격차를 심화시키는 역설적 결과가 나타나고 있는 것이다. 특히, 지방의 중장년층 여성이나 농민, 저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