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기사

2025.08.16 (토)

  • 흐림동두천 29.3℃
  • 흐림강릉 30.6℃
  • 흐림서울 32.3℃
  • 구름많음대전 30.7℃
  • 구름조금대구 32.7℃
  • 구름많음울산 30.7℃
  • 구름조금광주 31.8℃
  • 맑음부산 32.0℃
  • 구름조금고창 32.7℃
  • 구름조금제주 31.6℃
  • 흐림강화 30.0℃
  • 흐림보은 29.2℃
  • 구름많음금산 31.4℃
  • 구름조금강진군 31.5℃
  • 맑음경주시 32.0℃
  • 맑음거제 31.0℃
기상청 제공

국제

일본 코로나 신규 1722명·이틀째 1천명대 뚜렷이 '감소'...총 169만8343명

URL복사

 

오사카 281명 도쿄 248명 아이치 139명 가나가와 128명 효고 128명
일일 사망 도쿄 8명 오사카 8명 가나가와 6명 등 50명·누적 1만7577명
30일 기한을 맞아 긴급사태 선언·만연방지 등 중점조치 전면해제 발표

 

[시사뉴스  신선 기자] 일본 정부가 코로나19 감염이 뚜렷하게 감소세를 보임에 따라 긴급사태 선언과 만연방지 등 중점조치를 전면 해제하기로 결정한 가운데 신규환자가 이틀째 1천명대로 떨어졌지만 사망자는 50명이나 나왔다.

 

NHK와 지지(時事) 통신 등은 각 지방자치단체와 후생노동성의 발표를 집계한 결과 28일 들어 오후 9시55분까지 1722명이 코로나19에 새로 걸렸다고 전했다.

 

오사카부에서 281명, 도쿄도 248명, 아이치현 139명, 효고현 128명, 가나가와현 128명, 사이타마현 97명, 지바현 76명, 오키나와현 57명, 교토부 51명, 후쿠오카현 44명, 히로시마현 31명, 시가현 30명, 시즈오카현 27명, 홋카이도 26명, 이바라키현 25명, 나라현 22명, 니가타현 21명, 도치기현 19명, 오이타현 19명, 구마모토현 18명, 군마현 14명, 미에현 13명, 미야기현 12명, 가고시마현 7명, 나가노현 5명, 오카야마현 4명, 후쿠시마현 3명, 미야자키현 1명 등 감염자가 발생해 누계 확진자는 169만8000명을 넘었다.

 

일일환자는 7월 15일 3417명, 16일 3432명, 17일 3885명, 18일 3101명, 19일 2328명, 20일 3755명, 21일 4942명, 22일 5395명, 23일 4225명, 24일 3574명, 25일 5017명, 26일 4689명, 27일 7629명, 28일 9572명, 29일 1만697명, 30일 1만743명, 31일 1만2339명, 8월 1일 1만173명, 2일 8391명, 3일 1만2014명, 4일 1만4165명, 5일 1만5213명, 6일 1만5634명, 7일 1만5747명, 8일 1만4468명, 9일 1만2068명, 10일 1만570명, 11일 1만5804명, 12일 1만8890명, 13일 2만361명, 14일 2만148명, 15일 1만7826명, 16일 1만4850명, 17일 1만9948명, 18일 2만3915명, 19일 2만5145명, 20일 2만5867명, 21일 2만5485명, 22일 2만2288명, 23일 1만6834명, 24일 2만1558명, 25일 2만4309명, 26일 2만4955명, 27일 2만4192명, 28일 2만2738명, 29일 1만9294명, 30일 1만3625명, 31일 1만7698명, 9월 1일 2만20명, 2일 1만8215명, 3일 1만6727명, 4일 1만6005명, 5일 1만2906명, 6일 8227명, 7일 1만602명, 8일 1만2384명, 9일 1만394명, 10일 8884명, 11일 8799명, 12일 7209명, 13일 4169명, 14일 6272명, 15일 6803명, 16일 5703명, 17일 5092명, 18일 4697명, 19일 3398명, 20일 2222명, 21일 1765명, 22일 3242명, 23일 3601명, 24일 2091명, 25일 2672명, 26일 2134명, 27일 1147명을 기록했다.

 

일본 국내 감염자 중 오사카부와 도쿄도에서 8명씩, 가나가와현 6명, 오키나와현 5명, 사이타마현와 아이치현 각 4명, 교토부와 효고현, 기후현 각 2명, 지바현과 나라현, 미야기현, 도치기현, 구마모토현, 이사카와현, 후쿠오카현, 시즈오카현, 가고시마현 1명씩 합쳐서 50명이 목숨을 잃어 총 사망자가 1만7564명으로 늘어났다.

 

크루즈선 승선 사망자 13명을 더하면 1만7577명이 지금까지 숨졌다.

 

일본 내 코로나19 환자는 전세기편으로 중국에서 귀국한 다음 감염이 확인된 14명과 공항 검역 과정에서 확진자로 드러난 사람을 포함해 169만7631명이다.

 

여기에 집단발병으로 요코하마(橫浜)항에 격리 정박했던 대형 유람선(크루즈) 다이아몬드 프린세스호에 탔던 승객과 승조원 환자 712명을 합치면 총 확진자는 169만8343명이다.

 

일본에서 코로나19에 감염한 일본인과 중국인 여행객, 귀국 환자 등 169만7631명의 분포를 보면 도쿄도가 37만4683명으로 전체 4분의 1에 육박하고 있다.

 

이어 오사카부가 19만8891명, 가나가와현 16만7331명, 사이타마현 11만4421명, 아이치현 10만5256명, 지바현 9만9384명, 효고현 7만7103명, 후쿠오카현 7만3835명, 홋카이도 6만167명, 오키나와현 4만9482명, 교토부 3만5377명, 시즈오카현 2만6551명, 이바라키현 2만4076명, 히로시마현 2만1555명, 기후현 1만8320명, 군마현 1만6543명, 미야기현 1만6169명, 나라현 1만5341명, 도치기현 1만5178명, 오카야마현 1만5067명, 미에현 1만4594명, 구마모토현 1만4244명, 시가현 1만2203명, 후쿠시마현 9431명 등이다.

 

공항 검역에서 감염이 확인된 4187명, 중국에서 전세기로 귀국한 사람과 정부직원, 검역관 등 173명이 있다.

감염자 가운데 인공호흡기를 달거나 집중치료실에 있는 중증환자는 28일까지 일본 내에만 전날보다 44명 줄어든 1062명이 됐다.

 

병세가 좋아져 퇴원한 환자는 28일까지 일본 안에서 걸린 확진자 중 164만2974명, 다이아몬드 프린세스 승선자가 659명으로 총 164만3633명이다.

 

PCR(유전자 증폭) 검사 시행 건수는 26일에 자가검사를 제외한 속보치로 1만5688건으로 집계됐다.

 

한편 스가 요시히데(菅義偉) 일본 총리는 대책본부가 19개 도도부현에 발령한 긴급사태 선언과 8개 현에 내린 만연방지 등 중점조치를 모두 해제하기로 최종 결정하고서 기자회견을 가졌다.

 

스가 총리는 이번 해제를 계기로 다음에 올지도 모르는 코로나19 확산에 대비하면서 감염대책과 일상생활을 양립할 수 있도록 노력하겠다고 언명했다.

 

또한 스가 총리는 이르면 연말에도 3번째로 백신 접종을 하는 부스트샷을 개시할 수 있게 준비하겠다고 밝혔다.
 

저작권자 Ⓒ시사뉴스
제보가 세상을 바꿉니다.
sisa3228@hanmail.net





커버&이슈

더보기



사회

더보기

문화

더보기
투어형 참여연극 ‘강림차사편’, 신화를 주제로 꾸민 ‘실경무용’ 등... '서귀포국가유산야행'
[시사뉴스 정춘옥 기자] 제주마을문화진흥원은 ‘2025서귀포국가유산야행’이 개막했다고 14일 밝혔다. 서귀포항 일대에서 개막 예정인 ‘2025서귀포국가유산야행’에 대한 관심이 뜨겁다. 주최 기관 제주마을문화진흥원 홈페이지를 통해 지난 2주간 사전 신청을 받은 결과 유람선을 탑승해 문화유산을 둘러보는 ‘해상 문화유산 투어’ 500명과 기간 동안 매일 저녁 열리는 투어형 참여연극 ‘강림차사편’에서 회차별 30명을 넘기는 신청이 접수됐다. 특히 투어형 참여연극 ‘강림차사편’은 사전 신청을 하지 못한 분들도 관객의 자격으로 진행 과정을 지켜볼 수 있다. 제주의 신화를 기반으로 유려한 자연경관과 역사 체험을 위해 기획된 ‘2025서귀포국가유산야행’은 사전 신청을 받은 프로그램 외에도 야경, 야로, 야설, 야사, 야화, 야시, 야식, 야숙 등 ‘8야’를 주제로 다양한 볼거리를 제공한다. 특히 신용구 작가가 구현한 ‘서천꽃밭’과 신화를 주제로 꾸민 ‘실경무용’ 그리고 홀로그램을 통해 구현한 영등할망의 방문은 밤바다와 신화가 어우러지는 잊지 못할 추억을 선사할 것이다. 이 외에도 다양한 아티스트들의 버스킹 무대와 어우러진 먹거리 장터도 열려 눈과 귀 그리고 미각까지 만족감

오피니언

더보기
【박성태 칼럼】 만시지탄(晩時之歎)…가짜뉴스 유튜버 징벌적 배상 검토
이재명 대통령이 지난 6월 국무회의에서 돈을 벌기 위해 가짜뉴스를 유포하는 유튜버에게 징벌적 손해배상을 적용하는 방안을 검토하라고 지시한 것으로 알려지면서 법무부, 문화체육관광부 등 관련 부처의 정책 대응이 관심을 끌고 있다. 이 대통령은 “돈을 벌기 위해서 불법을 자행하는 것을 근본적으로 차단해야 한다”며, “형사처벌을 하게 되면 검찰권 남용 문제가 있기 때문에 제일 좋은 것은 징벌 배상(징벌적 손해배상)”이라고 말했다. 유튜브가 유행하면서 유명 연예인이나 스포츠 스타들이 “사망했다”, “이혼했다”, “마약을 했다” 등 사실과 다른 가짜뉴스를, 자극적인 내용의 썸네일(제목)로 클릭을 유도해 조회수를 늘려 돈을 버는 유튜버들이 극성을 부리고 있다. 유튜브에서의 조회수는 곧 돈이기 때문에 점점 더 자극적인 내용으로 괴담 수준의 가짜뉴스를 생산해 내기에 여념이 없는 것이다. 더 심각한 것은 정치와 관련한 가짜뉴스다. 진보·보수를 가리지 않고 확인되지 않은 자극적 루머를 사실인 것처럼 포장해 이목을 끌고 조회수를 늘려나가고 있다. 세(勢)싸움을 하는 듯한 정치와 관련한 가짜뉴스는 유튜버가 단순히 돈을 버는 데 그치지 않고 사회에 큰 해악을 끼치기 때문이다. 유튜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