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기사

2025.10.14 (화)

  • 흐림동두천 15.1℃
  • 흐림강릉 15.7℃
  • 흐림서울 16.5℃
  • 흐림대전 19.4℃
  • 흐림대구 19.1℃
  • 흐림울산 19.5℃
  • 흐림광주 22.1℃
  • 흐림부산 21.7℃
  • 구름많음고창 23.2℃
  • 맑음제주 26.3℃
  • 흐림강화 15.4℃
  • 흐림보은 18.0℃
  • 구름많음금산 19.7℃
  • 흐림강진군 23.0℃
  • 흐림경주시 18.6℃
  • 흐림거제 21.8℃
기상청 제공

e-biz

폴라로이드 스타일, 새드스마일 콜라보레이션 컬렉션 출시

URL복사

 

이종업계 협업 주류에서 벗어나 동종업계간 협업으로 시너지 창출 눈길

 

[시사뉴스 홍은영 기자] ㈜하이라이트브랜즈(대표 이준권)가 전개하는 라이프스타일웨어 브랜드 폴라로이드 스타일(Polaroid Style)이 코오롱FnC가 전개하는 커스텀멜로우의 온라인 브랜드 ‘새드스마일(SAD SMILE)’과 콜라보레이션한 가을 컬렉션 ‘레인보우 새드스마일’ 라인을 출시했다.

 

양사를 대표하는 유명 로고가 의기투합한 이번 콜라보레이션 컬렉션은 일상 속에서 긍정적 에너지를 만들고 기록하는 폴라로이드와 '슬픈 감정(SAD)'과 '웃음(SMILE)'이라는 2가지 감정을 위트 넘치게 살짝 비틀어 풀어낸 새드스마일과의 협업이다. 특히, 이번 두 브랜드의 만남은 기존 유통업계에서 활발했던 이종업계간 협업이 아닌, 동종업계간의 협업으로 경쟁이 아닌 상호 시너지를 추구하는 방향으로 진화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제품은 폴라로이드 고유의 풍성한 컬러 스펙트럼과 웃픈(웃기고도 슬픈) 새드스마일 로고 간의 결합으로 탄생한 알록달록 ‘레인보우 새드스마일’ 심볼로 포인트를 줬다. 맨투맨, 후드티, 코듀로이 셋업, 데님 자켓 등 일상 속 요긴한 아이템으로 구성되었고, 비니, 크로스 백 등 액세서리도 추가됐다. 또한 카메라 셔터 앞에서 늘 외치는 ‘세이 치즈(Say Cheese)’를 자수로 처리한 모자, 탈착가능 새드스마일 핀을 내장한 비니 등 즉석카메라 폴라로이드의 헤리티지와 브랜드 오리지널리티를 강화한 디자인으로 남다름을 추구하는 MZ(밀레니얼+Z)세대 취향을 반영했다.

 

 

활용도 높은 맨투맨과 후드티는 가을시즌에 맞춰 채도를 한층 낮춘 버건디, 옐로우, 오렌지 등 컬러가 특징이다. 같은 색상으로 상하의를 맞추면 펑키하면서도 경쾌한 하이틴 스트리트 룩으로 손색 없다. 한편, 오버 핏의 정장재킷에 굵직한 목걸이나 펜던트로 포인트를 주면 세미캐주얼 스타일 연출도 가능하다.

 

제품은 폴라로이드 스타일과 새드스마일의 공식 온라인 몰인 코오롱 몰을 비롯해 무신사, 29CM, 서울스토어, 스타일크루와 온라인플랫폼인 쿠팡과 카카오톡선물하기 등에서도 구매 가능하다. 협업을 기념하며 신세계백화점 강남점 7층 커스텀멜로우 매장 앞 보이드 존에서 10월 중순까지 한시적으로 전시, 판매한다.

 

한편, 폴라로이드 스타일 자사몰에서는 신제품 5만원 이상 구매하는 고객에게 한정판 카드지갑을, 10만원 이상 구매고객 대상에게는 타포린백을 추가 증정한다. (소진 시까지 진행)

저작권자 Ⓒ시사뉴스
제보가 세상을 바꿉니다.
sisa3228@hanmail.net





커버&이슈

더보기

정치

더보기

경제

더보기

사회

더보기

문화

더보기

오피니언

더보기
【박성태 칼럼】 디지털 약자들의 정보격차 어떻게 해소할 것인가
스마트폰 하나만 있으면 은행 업무부터 병원 예약, 대중교통 이용, 행정 서비스까지 해결되는 시대다. 그러나 이 편리함은 상대적으로 디지털 정보활용 취약계층에게는 새로운 장벽이 되곤 한다. 각종 기관의 창구 업무는 줄어들고 키오스크 등 디지털 기기만 늘어나고 있다. 디지털 전환은 이제 선택이 아닌 생존의 문제다. 전자정부, 모바일뱅킹, 온라인쇼핑, 스마트농업 등 대부분의 사회·경제 활동이 디지털을 기반으로 이뤄지는 시대다. 하지만 모두가 그 혜택을 고루 누리고 있는 것은 아니다. 노인뿐 아니라, 전업주부, 저학력자, 농촌 거주자, 장애인 등 이른바 ‘디지털 정보취약계층’은 여전히 정보 불평등의 사각지대에 놓여 있다. 이러한 정보격차는 단순한 ‘기술 접근’의 문제가 아니다. 기기 사용 능력의 부족, 낮은 디지털 문해력, 인프라 격차, 생활환경의 한계 등이 복합적으로 작용한다. 정보에 대한 접근 권한과 활용 능력이 결여되면 일상적인 서비스 이용은 물론, 경제 활동, 교육 기회, 복지 접근까지 제한받는다. 디지털 기술이 사회를 더 평등하게 만들기는커녕, 오히려 기존의 격차를 심화시키는 역설적 결과가 나타나고 있는 것이다. 특히, 지방의 중장년층 여성이나 농민, 저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