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기사

2025.09.22 (월)

  • 맑음동두천 25.8℃
  • 구름조금강릉 27.3℃
  • 맑음서울 26.6℃
  • 구름많음대전 25.0℃
  • 흐림대구 22.6℃
  • 흐림울산 23.8℃
  • 구름많음광주 24.8℃
  • 흐림부산 27.2℃
  • 구름조금고창 25.2℃
  • 제주 24.5℃
  • 맑음강화 25.7℃
  • 구름많음보은 24.4℃
  • 구름많음금산 25.9℃
  • 구름많음강진군 26.3℃
  • 흐림경주시 22.1℃
  • 구름많음거제 25.3℃
기상청 제공

사회

전 국민 29.6%인 1차 접종 1520만여명…접종 완료율 8.8%

URL복사

 

22일 1차 접종 3만1320명…대부분 화이자
접종완료 10만6798명…누적 452만1785명
28일부터 접종센터 재정비…하반기 준비

 

[시사뉴스 홍경의 기자] 코로나19 백신 신규 1차 접종자가 하루 새 3만명 이상 늘어 전체 인구 대비 29.6%인 1520만여명이 접종했다. 접종 완료자는 10만명 이상 추가돼 인구 대비 접종 완료율은 8.8%다.

 

상반기 예방접종이 오는 26일 대부분 마무리되면서 다음 주인 이달 28일부터 전국 예방접종센터가 재충전의 시간을 갖는다.

 

1차 접종 전 국민 29.6%…접종 완료 8.8%


25일 코로나19 예방접종대응추진단(추진단)에 따르면 지난 24일 하루 신규 접종자는 1차 3만1320명, 접종 완료자는 10만6798명이다.

 

누적 1차 접종자는 2월26일 접종 시작 119일 만에 1519만9919명이다. 전 국민(5134만9116명·2020년 12월 주민등록 거주자 인구)의 약 29.6%다.

 

백신별 권장 접종 횟수를 모두 맞은 접종 완료자는 누적 452만1785명으로, 전 국민의 8.8%다. 1회 접종 백신인 얀센 백신 접종자도 여기에 포함됐다.

 

백신별로 아스트라제네카-옥스퍼드대(AZ) 백신은 전날 1차 2530명, 2차 1만2660명이 접종했다. 1차 접종률은 83.0%, 접종 완료율은 7.1%다.

 

화이자-바이오엔테크 백신은 1차 2만5098명, 2차 9만3647명이 새로 맞았다. 1·2차 접종률은 각각 83.5%, 56.9%다.

 

1회 접종으로 끝나는 얀센 백신은 전날 491명이 접종해 접종률은 96.5%다.

 

전국 상급종합병원 30세 미만 신규 입사자, 종사자, 예비 의료인, 실습 중인 의학·간호학 의료기사 등 병원 종사자를 대상으로 지난 17일 접종을 시작한 모더나 백신은 전날 3201명이 추가로 접종해 누적 7606명이 1차 접종을 받았다. 1차 접종률은 21.6%다.

 

위탁 의료기관 잔여 백신 접종자는 전날보다 1370명 늘어 누적 131만2929명이다. 민간 사회관계망서비스(SNS)를 이용한 당일 신속 예약 접종자는 110명, 60~74세 등 우선 접종 대상자가 포함된 예비명단 접종자는 1260명이다.


접종 대상 1차 접종률 83.8%…백신 잔여량 190만회분


접종 대상자 대비 접종률은 1차 접종 83.8%, 접종 완료 24.9%다.

 

보건소 및 자체 접종기관 아스트라제네카 접종률은 ▲요양병원 82.0%(괄호 안은 접종 완료율·69.4%) ▲요양시설 85.3%(61.1%) ▲코로나19 1차 대응요원 93.2%(46.4%) ▲병원급 이상 의료기관 종사자 92.6%(78.5%) ▲장애인·노숙인·결핵·한센인 거주시설 등 취약시설 88.1%(2.7%) ▲특수교육·보건교사 등 69.0%(3.2%) ▲필수목적 출국자 등 96.0%(56.1%)다.

 

지난 17일부터 진행 중인 30세 미만 전국 상급종합병원 신규 입사자 등 종사자의 모더나 백신 1차 접종률은 21.6%다.

위탁 의료기관 아스트라제네카 접종률은 ▲70~74세 82.9%(0.0002%) ▲65~69세 81.8%(0.0002%) ▲60~64세 78.8% ▲장애인·노인방문·보훈인력 돌봄종사자 및 항공승무원 84.1%(0.01%) ▲의원급 의료기관 및 약국 73.1%(0.02%) ▲만성 신장 질환자 68.9%(0.01%) ▲호흡기 장애인 66.9% ▲사회필수인력 77.3%(0.01%) ▲예비명단 및 접종센터 대상자 중 거동불편자 등 97.9%(0.05%) 등이다.

 

위탁 의료기관 얀센 접종률은 30세 이상 예비군·민방위 등 95.6%, 예비명단 및 필수 목적 출국자 등 99.5%다.

예방접종센터 화이자 접종률은 ▲코로나19 치료병원 97.3%(97.0%)▲75세 이상 83.7%(65.7%) ▲노인시설 등 94.0%(82.0%) ▲2분기 30세 미만 아스트라제네카 접종 제외자 51.7%다.

 

지역별 1차 접종률은 전남 지역이 88.4%로 가장 높다. 이어 광주 88.1%, 전북 87.6%, 충북 86.3%, 세종 86.1%, 충남 85.2% 등이 85% 이상을 넘었다. 17개 시·도 중 대구 지역만 유일하게 70%대인 78.3%를 기록 중이다.

 

현재 국내에 남아 있는 백신은 화이자 141만9400회분, 아스트라제네카 37만1400회분, 모더나 10만4000회분, 얀센 6600회분 등 총 190만1400회분이다.

 

추진단은 통계 정확성을 높이기 위해 예방접종 후 이상 반응 통계를 주 3회(월·수·토요일) 발표한다. 일주일간 이상 반응 신고 내용 분석은 매주 월요일 공개한다.

 

다음 주부터 예방접종센터 재정비…하반기 대규모 접종 숨 고르기


전국 예방접종센터는 이달 28일부터 7월18일까지 3주간 재정비에 들어간다.

 

지난 15일 시작된 30세 미만 사회필수인력, 의료기관 및 약국 종사자, 취약시설 입소·종사자 등 20만여명을 대상으로 화이자 백신 1차 접종이 26일 대부분 마무리되면서 예방접종센터 접종량이 줄어든다.

 

여기에 오는 7월 중순 이후부터 고등학교 3학년을 비롯한 대입 수험생, 학교 교직원, 50대 등을 대상으로 대규모 접종이 진행됨에 따라 재정비가 필요하다는 입장이다.

 

재정비 기간 보건소와 예방접종센터는 주 5~6일 근무를 탄력적으로 운영한다.

 

보건소 직원과 접종 인력은 연가나 포상 휴가를 쓸 수 있다.

 

또 7월7일까지는 예방접종센터 신규 인력과 위탁 의료기관을 대상으로 현장 참관 교육을 할 예정이다.

 

오는 7월부터 위탁 의료기관에서도 화이자·모더나 백신을 접종할 수 있도록 준비하기 위해서다.
 

저작권자 Ⓒ시사뉴스
제보가 세상을 바꿉니다.
sisa3228@hanmail.net





커버&이슈

더보기

정치

더보기

경제

더보기


문화

더보기
추석 연휴 끝자락 ‘여유작 콘서트’ 개최
[시사뉴스 정춘옥 기자] 서울돈화문국악당은 오는 10월 8일부터 9일까지 보름달처럼 마음까지 넉넉해지는 추석 연휴 끝자락에 ‘여유작 콘서트’를 개최한다. ‘여유작 콘서트’는 가을 하늘 아래 국악마당에서 열리는 야외 힐링 콘서트로, 남녀노소 누구나 편안하게 즐길 수 있도록 기획됐다. 가족 나들이객과 외국인 관광객, 인근 주민 등 다양한 관객층이 자유롭게 앉아 공연을 감상하며, 도심 속에서 국악을 더욱 친근하게 누릴 수 있는 자리를 마련한다. 이번 공연에는 대중 친화적인 색깔로 사랑받고 있는 두 팀이 무대에 오른다. 먼저 10월 8일 무대에 오르는 삼산은 고향 삼산면에서 이름을 따온 싱어송라이터로, 미디 사운드에 가야금, 해금 등 한국적 색채를 더해 독창적인 음악 세계를 선보이고 있다. 재치 있는 가사와 개성 있는 스타일로 주목받는 신예 국악인으로 활발한 활동을 이어가고 있다. 이어 9일에는 ‘듣는 이의 마음(心)을 풀어주고 채워주는(Full) 음악을 한다’는 의미를 담은 심풀이 무대를 꾸민다. 심풀은 소리꾼 3인(김주원, 박유빈, 김소원)과 해금(서지예), 타악(강경훈), 건반 연주자(김세움)로 구성된 판소리 그룹으로, 현대적이고 대중적인 감각으로 전통 판소리

오피니언

더보기
【박성태 칼럼】 ‘일 안 해도 돈 준다’…청년 실업 대책, 계속되는 엇박자
‘청년 백수 120만’ 시대를 맞아 정부가 청년 고용 확대와 삶의 질 향상을 위해 올해부터 ‘일자리 첫걸음 보장제’를 강력 추진하기로 했다. ‘청년백수’는 대한민국에서 15~29세 청년층 중 공식적인 통계에 잡히는 실업자는 아니지만, 실직 상태이거나 취업을 준비 중이거나, 또는 구직 활동을 하지 않고 그냥 쉬는 ‘쉬었음’ 인구를 모두 포함하는 개념으로 지난 2월 통계청 발표에서 전년보다 7만여 명 이상 늘어난 120만7천 명에 달했다. 이중 실업자는 약 27만 명, 취업준비자 약 43만 명, ‘그냥 쉬었음’이 약 50만 명으로 그냥 쉰다는 ‘쉬었음’ 인구가 큰 폭으로 늘어났다. ‘쉬었음’ 인구는 취업자나 실업자가 아닌 ‘비경제활동인구’로 분류하는 공식적인 용어로 일할 의사나 능력이 없거나, 있더라도 구직 활동을 하지 않는 사람들을 모두 포함하는 개념이다. 정부가 추진하는 ‘일자리 첫걸음 보장제’는 크게 세 가지 유형의 청년(쉬었음 청년, 구직 청년, 일하는 청년)을 대상으로 맞춤형 지원을 제공하는데 자칫 일 안 해도 정부가 수당도 주고, 각종 지원도 해준다는 인식을 심어주는 것 아닌가 하는 우려가 크다. 청년 세대의 어려움은 어제오늘의 일이 아니지만, 최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