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기사

2025.07.26 (토)

  • 맑음동두천 32.0℃
  • 맑음강릉 33.9℃
  • 맑음서울 32.7℃
  • 맑음대전 32.8℃
  • 맑음대구 31.6℃
  • 맑음울산 31.0℃
  • 맑음광주 32.3℃
  • 구름조금부산 31.5℃
  • 맑음고창 33.1℃
  • 구름조금제주 29.9℃
  • 맑음강화 30.8℃
  • 맑음보은 30.5℃
  • 맑음금산 30.8℃
  • 맑음강진군 33.3℃
  • 맑음경주시 31.9℃
  • 구름조금거제 29.1℃
기상청 제공

e-biz

인기 살림템 '글래드 매직랩', 4일 네이버 쇼핑라이브 '특가 판매'

URL복사

 

[시사뉴스 김찬영 기자] 글로벌 생활필수품 전문기업 글래드가 오는 3월 4일 오후 7시, 네이버 쇼핑라이브를 통해 '글래드 매직랩 컴팩트 홀리데이 에디션'을 특가 판매한다.

 

이번 네이버 쇼핑라이브에서는 ‘글래드 매직랩 컴팩트 홀리데이 에디션’ 5개 세트를 34% 할인된 가격에 만나볼 수 있다. 글래드코리아는 네이버 고객을 위해 2021년 글래드 매직랩 신제품을 이번 모바일 쇼핑라이브를 통해 처음 선보일 예정이라고 밝혔다.

 

단독 세트구성을 가장 먼저 최저가로 만나볼 수 있는 기회이며, 특별한 가격 외에도 구매 고객을 위한 다양한 이벤트가 준비되어 있으니 방송을 끝까지 시청할 것을 당부했다. 구매 고객을 대상으로 랜덤 추첨을 통해 NEW 글래드 스몰 트래시백을 증정할 예정이며, 구매 후 정성어린 후기를 남긴 베스트 리뷰어 5명을 추첨해 글래드코리아 공식몰에서 사용 가능한 1만원 할인쿠폰 증정한다.

 

P&G와 크로락스 합작품인 글래드 매직랩은 미국 직수입 제품이다. 해외에서 기능을 인정 받은 데에 이어, 국내 누적 판매량 1634만개를 돌파하며 깔끔한 주방생활을 위한 필수 살림템으로 자리 잡았다.

 

그립텍스 특허 기술로 탄생한 매직랩의 접착면은 음식물이 흐르는 것을 방지한다. 용기 입구나 필요한 곳에 큰 힘을 주지 않고 살짝 눌러주면 완벽한 밀폐 효과를 가져온다. 접착면 성분은 미국 FDA의 엄격한 기준에 따라 개발되었으며, 츄잉껌에 사용되는 성분과 같아 인체에 무해하다. 여기에 비스페놀A 프리 제품으로 안심하고 사용할 수 있다.

 

제품의 컷팅 부분은 금속 칼날 대신 플라스틱 안전 톱날을 장착하여 안전하게 사용가능하며, 손쉬운 컷팅이 가능하다. 또한, 손으로 가볍게 찢어 사용할 수도 있어 대량의 식재료도 깔끔하게 소분해 밀폐 보관할 수 있다.

 

특히, 매직랩은 코로나19로 인해 배달 시장이 활성화되며 포장랩으로써 각광을 받고 있다. 음식 및 음료포장 수요가 늘면서 프랜차이즈 및 자영업 자들에게도 입소문이 나 품절 사태를 빚을 정도다. 브랜드 중에서는 배달의 민족, 빽다방, 이디야, 탐앤탐스, 던킨도넛, 에그드랍 등의 매장에서 배달 및 포장용으로 매직랩을 사용하고 있다.

저작권자 Ⓒ시사뉴스
제보가 세상을 바꿉니다.
sisa3228@hanmail.net





커버&이슈

더보기

정치

더보기

경제

더보기

사회

더보기

문화

더보기
한 가족의 삶을 통해 대한민국 근현대사 100년을 통찰하다
[시사뉴스 정춘옥 기자] 페스트북은 정일남 작가의 소설 ‘반갑다, 지리산 무지개여!: 격동기를 살아낸 한민족의 이야기’를 올해의 추천 도서로 선정했다. 이 책은 일제강점기와 6·25전쟁, 강제 노역과 해방을 거치며 한반도를 휘몰아친 격동의 역사를 평범한 민초의 삶을 통해 그려낸 역사소설이다. 정일남 작가는 노스텍사스대학에서 화학 박사 학위를 받은 후 평생을 화학 연구자로 살았다. 정년 퇴임 이후에는 벤처기업 JSI실리콘을 설립했다. 그는 “오늘날 대한민국이 이룬 발전이 결코 저절로 얻어진 것이 아님을, 개개인의 수많은 노력과 희생 위에 세워진 것임을 이해하는 데 도움이 됐으면 한다”며 “또한 지나온 역사 속에서 미처 깨닫지 못했거나 바로잡아야 할 부분들을 함께 성찰하고, 어떤 마음가짐으로 미래를 향해 나아가야 할지 고민하는 작은 계기가 되었으면 하는 바람”이라고 출간 소감을 전했다. 페스트북 편집부는 ‘반갑다, 지리산 무지개여!’는 위대한 영웅이 아닌 지리산 부근에 사는 한 가족의 삶을 통해 대한민국 근현대사 100년을 통찰하는 소설로, 그들의 삶과 슬픔, 저항을 날 것의 모습 그대로 꾹꾹 눌러 담았다며, 강제 노역과 전쟁, 분단의 파고를 지나야 했던 사람들

오피니언

더보기
【박성태 칼럼】 의대생 전공의 복귀하려면 무조건 사과부터 해야
지난해 ‘의대 정원 2000명 증원’에 반발해 집단 이탈했던 의대생과 전공의들이 지난 14일 전격 복귀 의사를 밝히면서 17개월 만에 의정 갈등이 마침표를 찍게 될 가능성이 높아졌다. 다만 복귀자들에 대한 학사일정조정, 병역특례, 전공의 시험 추가 응시기회 부여 등 특혜 시비를 슬기롭게 해결하지 못하면 의정갈등의 불씨는 계속 남아있게 된다. 새로운 정부가 들어서면서 1년5개월 만에 해결의 실마리를 찾고 있는 의정 갈등의 해법은 의대생, 전공의들이 무조건 국민과 환자들에게 의정 갈등으로 인한 진료 공백 사태에 대해 사과부터 하고 그 다음 복귀 조건을 제시하는 수순을 밟는 것이다. 지난해 2월부터 발생한 의정 갈등은 정부가 고령화 시대 의료 수요 증가와 지역·필수의료 부족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의대 정원 2000명 증원과 지역의료 강화, 필수 의료 수가 인상 등을 묶어 필수 의료 정책 패키지 추진을 강행하면서부터 시작됐다. 의료계는 이에 대해 의사 수 부족이 아닌 ‘인력 배치’의 불균형 문제이며, 의료개혁이 충분한 협의 없이 졸속으로 추진되었다고 반발하며 집단행동에 나섰다. 의료계는 의사 수 증가가 오히려 과잉 진료와 의료비 증가를 야기할 수 있다고 주장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