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기사

2025.10.02 (목)

  • 맑음동두천 25.8℃
  • 구름조금강릉 27.3℃
  • 맑음서울 26.6℃
  • 구름많음대전 25.0℃
  • 흐림대구 22.6℃
  • 흐림울산 23.8℃
  • 구름많음광주 24.8℃
  • 흐림부산 27.2℃
  • 구름조금고창 25.2℃
  • 제주 24.5℃
  • 맑음강화 25.7℃
  • 구름많음보은 24.4℃
  • 구름많음금산 25.9℃
  • 구름많음강진군 26.3℃
  • 흐림경주시 22.1℃
  • 구름많음거제 25.3℃
기상청 제공

유통ㆍ생활경제

더모 헤어 케어 브랜드 라우쉬, 2020 올리브영 어워즈 샴푸 부문 2년 연속 수상

URL복사

 

2020년 한 해 동안 올리브영에서 가장 사랑받은 제품에 내 선정되어 두피 케어 제품으로서 제품력 입증

어워즈 수상을 기념하여, 올리브영 한정 기획과 할인 프로모션 선보일 예정

 

[ 시사뉴스 김찬영 기자 ] 130년의 허브 지식과 헤어 케어의 노하우를 전하는 스위스 더모 헤어 케어 브랜드 '라우쉬(RAUSCH)'의 ‘콜츠푸트 안티-댄드러프 샴푸’가 올리브영의 한 해 뷰티 트렌드를 결산하는 ‘2020 올리브영 어워즈’ 샴푸 부문에 2년 연속 선정됐다고 밝혔다.

 

올리브영 어워즈는 매년 소비자에게 가장 많은 사랑을 받은 제품을 선정하는 행사로, 이는 시장 동향 및 트렌드 변화를 파악할 수 있는 공신력 있는 지표로도 인정받고 있다.

 

이렇게 엄선된 제품만 선보이는 어워즈에 선정된 라우쉬 ‘콜츠푸트 안티-댄드러프 샴푸’는 스위스에서 직접 재배한 천연 관동잎 추출물과 우엉 뿌리의 에센셜 오일 성분으로 두피에 쌓인 불필요한 각질과 비듬을 제거하고 건조로 인한 가려움을 완화해준다. 또한, 자극 없이 두피의 유∙수분 밸런스를 케어해 문제성 두피뿐만 아니라, 차갑고 건조한 겨울로 인해 약해진 두피의 데일리 각질 케어로 제격이다.

 

라우쉬는 2020 올리브영 어워즈 수상을 기념해 오는 12월부터 ‘콜츠푸트 안티-댄드러프 샴푸 200ml’에 샴푸 40ml와 린스 컨디셔너 30ml가 함께 구성된 올리브영 단독 기획 세트를 선보인다. 또한, 본품 구매 시 샘플 증정과 최대 ~20% 할인 등 올해의 마지막 프로모션을 선보인다.

 

라우쉬의 국내 공식 수입원 ㈜케이엔유 마케팅 담당자는 "브랜드 론칭 130주년이 되는 해에 수상하게 되어 기쁘다.”라며 “2년 연속 선정된 만큼, 오랜 시간 두피 건강을 연구해온 지식과 노하우가 깃든 라우쉬의 제품들과 풍성한 혜택이 담긴 이벤트를 지속 선보여 고객 신뢰에 보답하겠다.”고 전했다.

저작권자 Ⓒ시사뉴스
제보가 세상을 바꿉니다.
sisa3228@hanmail.net





커버&이슈

더보기

정치

더보기
윤호중 행안장관 "중요 정보시스템 이중화, 예산 7천억~1조 소요 예상"
[시사뉴스 홍경의 기자] 윤호중 행정안전부 장관이 지난 1일 국회 행정안전위원회 국정자원 현안질의에서 국가정보자원관리원(국정자원)에서 관리하는 주요 핵심 정보시스템들을 양쪽 센터에서 동시에 가동하는 방식으로 이중화할 경우 7000억원에서 1조원의 예산이 필요하다고 밝혔다. 윤 장관은 "지금 파악하기로는, 대전센터에 있는 30여개의 1등급 정보시스템을 액티브-액티브 방식으로 구축하면, 7000억원 정도가 소요된다"고 말했다. 이어 "공주센터까지 포함하면 (예산이) 1조원이 넘는다"고 덧붙였다. 액티브-액티브는 한쪽에서 장애가 발생하더라도 다른 쪽이 즉시 서비스를 이어받아 중단 없이 운영할 수 있는 체계로, 두 센터가 실시간으로 데이터를 주고받으며 동시에 가동되는 구조다. 정부는 정보시스템을 중요도에 따라 1~4등급으로 나눠 관리하고 있다. 1등급은 국민 생활과 직결된 정보시스템으로, 정부24 등이 포함돼있다. 윤 장관은 이 방식이 막대한 예산이 소요되는 만큼, 민간에서 사용하는 클라우드 등을 활용하는 방안도 고려해보겠다고 했다. 윤 장관은 "보안 문제나 이런 문제를 해결한다면 민간 자원을 리스(임차) 형태로 활용하는 방법도 있을 수 있다"며 "로드맵을 마련하기

경제

더보기

사회

더보기

문화

더보기

오피니언

더보기
【박성태 칼럼】 디지털 약자들의 정보격차 어떻게 해소할 것인가
스마트폰 하나만 있으면 은행 업무부터 병원 예약, 대중교통 이용, 행정 서비스까지 해결되는 시대다. 그러나 이 편리함은 상대적으로 디지털 정보활용 취약계층에게는 새로운 장벽이 되곤 한다. 각종 기관의 창구 업무는 줄어들고 키오스크 등 디지털 기기만 늘어나고 있다. 디지털 전환은 이제 선택이 아닌 생존의 문제다. 전자정부, 모바일뱅킹, 온라인쇼핑, 스마트농업 등 대부분의 사회·경제 활동이 디지털을 기반으로 이뤄지는 시대다. 하지만 모두가 그 혜택을 고루 누리고 있는 것은 아니다. 노인뿐 아니라, 전업주부, 저학력자, 농촌 거주자, 장애인 등 이른바 ‘디지털 정보취약계층’은 여전히 정보 불평등의 사각지대에 놓여 있다. 이러한 정보격차는 단순한 ‘기술 접근’의 문제가 아니다. 기기 사용 능력의 부족, 낮은 디지털 문해력, 인프라 격차, 생활환경의 한계 등이 복합적으로 작용한다. 정보에 대한 접근 권한과 활용 능력이 결여되면 일상적인 서비스 이용은 물론, 경제 활동, 교육 기회, 복지 접근까지 제한받는다. 디지털 기술이 사회를 더 평등하게 만들기는커녕, 오히려 기존의 격차를 심화시키는 역설적 결과가 나타나고 있는 것이다. 특히, 지방의 중장년층 여성이나 농민, 저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