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기사

2025.09.15 (월)

  • 맑음동두천 25.8℃
  • 구름조금강릉 27.3℃
  • 맑음서울 26.6℃
  • 구름많음대전 25.0℃
  • 흐림대구 22.6℃
  • 흐림울산 23.8℃
  • 구름많음광주 24.8℃
  • 흐림부산 27.2℃
  • 구름조금고창 25.2℃
  • 제주 24.5℃
  • 맑음강화 25.7℃
  • 구름많음보은 24.4℃
  • 구름많음금산 25.9℃
  • 구름많음강진군 26.3℃
  • 흐림경주시 22.1℃
  • 구름많음거제 25.3℃
기상청 제공

특집

잠 못 이루는 중국

URL복사
<%@LANGUAGE="JAVASCRIPT" CODEPAGE="949"%>


Untitled Document







잠 못 이루는 중국




스트레스로 인한 수면장애 세계 1위


라크전쟁과
사스로 세상이 떠들썩하다. 특히 중국에서는 사스의 공포로 무사히 하루밤을 잘 보냈다는 것이 어느 새 매우 중요하게 인식되고 있다. 때맞춰 잠에
관한 통계결과가 중국 사회를 떠들썩하게 하고 있다. 여러 스트레스때문인지 중국인의 수면 부족, 즉 불면증은 심각하게 다가온다.



세계 불면증 인구 중 45.4% 중국인




중국인들의 수면 부족이 어느 정도인지 몇 년 전부터 끊임없이 통계돼 나오고 있다. 전세계적으로 불면증에 시달리는 인구 중 45.4%가 중국인이라는
조사 결과가 최근 발표됐다.

사실 중국인의 불면증에 관한 문제는 이번 조사 결과가 처음은 아니다. 중국인들의 심각한 불면증은 언론을 통해 수 차례 기고돼 왔다. 다만 이번
3월21일 ‘세계 잠의 날’을 통해 중국인들의 불면증 문제가 새롭게 조명되고 있는 것이다.

세계 불면증 인구의 45.4%가 중국인이라고는 하지만, 중국에서 불면증이란 병은 잘 알려져 있지 않다. 근래에 들어서면서 중국에서 일어나는
교통사고 중 50%가 수면부족 때문인 것으로 밝혀져 의학계에서 불면증의 원인에 관심 갖기 시작했다.

사실 중국인들의 불면증으로 인한 피해 사례는 매우 다양하다. 한 20대 후반의 여성이 잠을 이룰 수 없다고 한 신문에 호소하는 글을 올린 적도
있다. 그녀는 하루에 보통 3~4시간 자는 것이 고작이며 심할 땐 밤을 지새워야 하는 고통에 시달리고 있다고 한다. 밤에 자려고 하면 악몽을
꾸게 돼 그때부터 현재와 같은 중증 불면증에 걸렸다고 한다. 그녀는 의사의 처방 없이 수면제를 복용하고 있는데, 이것이 혹시 건강에 치명적
영향을 주는 것은 아닌지 걱정된다고 털어놨다.



정신병으로 발전되기도




2002년 9월까지 중국 정신과 의학계에서 통계한 불면증 환자는 1억5,000명에 달하며, 3억의 인구가 수면부족인 것으로 나타났다. 통계
대상의 연령은 평균 37세의 남녀 성인이었다. 이들의 5분의 1은 정도에는 차이가 있지만 불면증으로 인한 정신병도 앓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중국인이 세계적으로 불면증에 시달리는데도 불구하고 중국 내에서는 잠의 중요성이 많이 알려져 있지 않다. 또한 선진국의 전문가들이 하루
8시간을 수면해야 한다고 충고하는 것에 대해 중국 의학계에서는 근거 없는 이야기라고 반박한다. 즉, 잠의 충분함은 각자의 생리적이고 느낌으로만
알 수 있는 아주 주관적인 것이기에 연구하기 힘든 것이라고 강조한다.



개혁개방으로 인한 부작용




중국의 수많은 약 중에서 나오바이진(腦白金)이라는 약이 판매량 1위를 차지하고 있다. 이 제품은 수면을 돕는 영양제로 지난 해 업계 통계에
따르면 중국인들의 수면 부족을 개선하는데 일등 공신을 했다고 한다. 나오바이진이 판매 1위를 차지했다는 얘기는 중국인들의 수면 부족이 얼마나
심각한 지를 단적으로 보여주는 예다.

하지만 약의 효과가 불면증의 근본 원인까지 해결해 줄 수는 없다. 중국인들이 잠 못드는 이유는 개혁개방에 따른 산물이라고 할 수 있다. 세계적으로
높은 이혼율이나 실업률, 빈부격차가 개혁개방 이후 심화되면서 스트레스를 더욱 가중시키고 있는 것이다. 중국 전문가들도 수면 부족의 원인을 정신적인
스트레스로 분석하고 있다. 또한 중국 경제 발전의 이면인 실업률과 농촌문제도 영향을 주고 있는 것으로 밝혀졌다.

수면부족의 또다른 이유는 자연 환경적 탓도 크다. 베이징이나 상하이와 같은 대도시의 오염이 중국인들의 수면을 방해하고 있는 것이다. 중국의
경제 발전을 위해 중국인들이 수면을 양보해야 하느냐라고 반문하는 학자들도 많아지고 있다. 사람들이

사회 변화 속도에 점점 민감해져 새벽이면 자신도 모르게 너무 빨리 일어난다고 하는 사람들이 42.5%에 이른다. 이로 인해 대낮에도 정신적
스트레스에 시달리는 인구만 27.5%다. 더욱 심각한 것은 불면증 환자를 제외하고도 자신이 불면증이 아닌가 의심하는 중국인구가 20%가 넘는다는
것이다. 그만큼 대다수의 중국인들이 수면에 불만이 많다는 뜻인데, 이것은 실로 국가적인 문제가 아닐 수 없다. 때문에 중국은 국가적으로 해결방안을
찾으려는 노력을 취하고 있다.



국가차원 해결방안 모색




중국은 중국인들의 수면 상태를 알아보고 불면증에 시달리는 원인을 연구하기 위해서 수면 전문 연구소를 설치했다. 최근 이 연구소에서는 중국인의
불면증 환자가 위험 수위에 이르렀다고 보고했다. 잠을 이루지 못해 술이나 약물을 이용한 수면 시도도 자제하라고 일깨우고 있다. 중국 정부가
나서서 불면증이 습관이라는 사실을 중국인들에게 알리기 시작한 것이다. 그만큼 국가적으로 불면증은 중국의 과제가 돼버렸다.

하루에 4~5시간만 잠을 편안히 잘 수 있다면 소원이 없겠다고 말하는 중국인들이 많다는 사실을 그 동안 우리는 알지 못했을 것이다. 현재 중국인들
사이에 일어나고 있는 불면증 문제는 전 주석 장쩌민이 제16차 전인대에서 발표한 3개 대표 사상중의 하나인 소강사회(살만한 사회)와 정반대를
달리고 있으니 중국 공산당 정부도 관심을 갖지 않을 수 없는 부분이다.



조동은 <북경어언대학교 이중언어학과 4년>



저작권자 Ⓒ시사뉴스
제보가 세상을 바꿉니다.
sisa3228@hanmail.net





커버&이슈

더보기

정치

더보기

경제

더보기

사회

더보기

문화

더보기
건축의 본질과 인간의 존중에 대해... ‘건축, 인간과 함께 숨 쉬다’ 출간
[시사뉴스 정춘옥 기자] 현재 만연하는 건축 현실의 문제점을 되짚고, 인간을 위한 건축 실현을 전망하는 책이 출간됐다. 북랩은 존엄한 인간의 삶을 구축하는 건축의 올바른 목적을 역설하는 ‘건축, 인간과 함께 숨 쉬다’를 펴냈다. 부실 시공과 안전사고가 끊이지 않는 오늘날, 건축은 우리 사회의 안전과 삶을 위협하는 존재가 되기도 한다. ‘건축, 인간과 함께 숨 쉬다’는 이러한 현실을 정면으로 마주하며 건축의 목적과 본질에 대해 다시 묻는다. 저자는 ‘건축은 인간을 위한 것’이라는 단순하면서도 근본적인 메시지를 던진다. 책은 생명과 건축의 관계, 공공성과 책임, 건축가의 태도와 사회적 사명을 두루 짚는다. 건축을 단순한 기술이나 디자인이 아닌 생명을 담아내는 행위로 바라본다. 광주 학동 철거 건물 붕괴, 이천 물류센터 화재 등 반복된 참사 사례들을 돌아보며, 이윤 중심의 건설 문화를 넘어 ‘생명 안전 사회’로 전환해야 함을 강조한다. 또한 저자는 건축을 ‘삶의 흔적이자 인간의 희망’으로 정의하며, 인간 존중 없는 건축은 단순한 콘크리트 덩어리에 불과하다고 경고한다. ‘건축, 인간과 함께 숨 쉬다’는 건축을 통해 사회 정의와 공동선을 회복하고, 더 나은 삶의 터전

오피니언

더보기
【박성태 칼럼】 생성형 AI 활용…결국 사용자의 활용 능력과 방법에 달려 있다
지난 2022년 인공지능 전문 기업인 오픈AI에서 개발한 챗GPT를 비롯해 구글의 Gemini(제미나이), 중국의 AI기업에서 개발한 딥시크, 한국의 AI기업에서 개발한 뤼튼, 미국 캘리포니아에 본사를 두고 있는 중국계 미국기업이 개발한 젠스파크 등 생성형 AI 활용시대가 열리면서 연령층에 상관없이 생성형 AI 활용 열기가 뜨겁다. 몇 시간에서 며칠이 걸려야 할 수 있는 글쓰기, 자료정리, 자료검색, 보고서, 제안서 작성 등이 내용에 따라 10초~1시간이면 뚝딱이니 한번 사용해 본 사람들은 완전 AI 마니아가 되어 모든 것을 AI로 해결하려 한다, 이미 65세를 넘어 70세를 바라보는 필자는 아직도 대학에서 3학점 학점 수업을 진행하고 있다. 지난 2일 개강 첫날 학생들에게 한 학기 동안 글쓰기 과제물을 10회 정도 제출해야 하는데 생성형 AI를 활용해도 좋으나 그대로 퍼오는 것은 안 된다는 지침을 주었다. 그러면서 “교수님이 그대로 퍼오는지 여부를 체크 할수 있다”고 큰소리를 쳤다. 큰소리가 아니라 지난 학기에도 실제 그렇게 점검하고 체크해서 활용 정도에 따라 차등 평가를 실시했다. 이렇게 차등 평가를 할 수 있다는 것은 필자가 생성형 AI 활용 경험이 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