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기사

2025.08.26 (화)

  • 구름많음동두천 29.3℃
  • 맑음강릉 33.1℃
  • 구름많음서울 29.7℃
  • 구름조금대전 30.6℃
  • 구름조금대구 30.8℃
  • 맑음울산 31.3℃
  • 구름조금광주 30.5℃
  • 맑음부산 31.2℃
  • 맑음고창 31.0℃
  • 맑음제주 31.5℃
  • 구름많음강화 28.8℃
  • 구름조금보은 27.9℃
  • 맑음금산 29.4℃
  • 구름조금강진군 30.8℃
  • 맑음경주시 31.7℃
  • 구름조금거제 30.6℃
기상청 제공

박웅준의 역사기행

[역사기행] 신라의 미니멀리즘, 반가사유상의 삼산관

URL복사

인도에서 한국까지, 그 시간과 문화 이야기

[시사뉴스 박웅준 칼럼니스트] 얼마 전 매우 반가운 소식을 접했다. 강원도 영월군에 있는 절터인 흥녕선원지(興寧禪院址)에서 신라 시대 작품으로 추정되는 반가사유상이 발굴됐다는 것이다. 지금까지 알려진 반가사유상은 마애불 외에 모두 출토지가 명확하지 않았다.

이번에 발견된 작품이 진품이라면 아직 미진한 우리나라 고대 미술사 서술에 큰 도움이 될 것이 분명하다. 문화재청에서 발표한 출토품의 사진을 보았다. 오른손을 뺨에 살짝 갖다 댄 채
가부좌에서 한쪽 발을 내리고 의자에 앉아서 명상하는 전형적인 반가사유상이다. 작품은 높이 15cm의 소형이며 전체적인 분위기는 6세기 말에서 7세기 초 사이의 양식을 보여주고 있다. 

상반신이 나형(裸形)에 화려한 장식이 없고 삼산관(三山冠)을 쓰고 있는 당대 대표작인 국보 제83호를 모본(模本)으로 한 듯하다. 가장 유사한 예는 크기와 형식면에서 유사한 경주 인왕동 출토로 알려진 금동반가사유상이 있다. 그러나 전체적으로 두꺼운 녹이 덥혀있고 얼굴과 관이 일부 손상되어 있어 진위를 비롯한 양식문제 등은 보존처리와 과학적 분석을 한 후 깊이
논의해야 할 것으로 보인다. 

이 작품의 특징 가운데 하나인 삼산관은 앞서 언급한 작품들 외에 경주 단석산 신선사 마애불상군(국보 제199호)의 반가사유상, 황룡사지 출토 금동불두(金銅佛頭), 일본의 교토 우즈마사(太秦)에 있는 고류지(廣隆寺·광륭사)의 목조반가사유상에서도 보인다. 이로 미루어 볼 때 삼산관은 주로 신라문화권 반가사유상의 특징이라고 할 수 있다. 

반가사유상이 시작된 간다라(Gandhara)와 이를 이어받은 중국의 반가사유상은 화려한 보관(寶冠)과 장식을 하고 있고 같은 시기 백제의 반가사유상 또한 보관을 쓰고 있다.
그렇다면 왜 신라의 반가사유상은 화려한 보관을 버리고 소박한 삼산관을 쓰게 되었을까?
반가사유상(半跏思惟像)은 일반적으로 우리나라에서는 미륵보살(彌勒菩薩)로 알려져 왔다. 그러나 명문(銘文)이나 기록 같은 명확한 근거가 없고 중국에서는 반가사유상을 사유상(思惟像) 또는 태자상(太子像)으로 불렸다는 것이 주목받으면서 미륵이라는 호칭이 공식적으로 불리지 않게 되었다. 

그러나 극히 드물지만, 일본과 중국에서 반가사유상을 미륵이란 한 예도 있고 기존 연구된 바와 같이 우리나라와 일본의 반가사유상은 미륵으로 볼 수 있는 도상적 근거가 있으므로 이 문제는 보다 많은 논의가 필요하다. 반가사유상이란 용어는 반가좌는 가부좌를 튼 상태에서 한쪽 다리를 내린 상태인 반가좌(半跏坐) 상태에서 사유(思惟)한다는 뜻이다. 

명문이 비교적 많이 남아있는 중국에서는 반가사유상을 사유상이라고 지칭하는 예가 많이 발견되어 반가좌에 한쪽 손을 얼굴에 닿은 모습이 사유하는 자세임을 확인할 수 있다. 사유(思惟)란 대상을 구별하고 생각하고 살피고 추리하고 헤아리고 판단하는 것 또는 마음속으로 깊이 생각하는 것을 말하는데, 불교에서는 진리에 상응하는 사유를 정사유(正思惟)라고 하며 수행을 하는데 필요한 8정도(八正道) 중 하나다. 반가사유상은 불상이 발생한 간다라에서 처음 발견된다. 이 상이 태자상인지 아니면 다른인물이나 보살상인지 확실하지 않지만,불교적 사유를 표현한 것임은 분명하다. 지금으로부터 약 2580년 전 석가모니는 현재의 네팔 남부와 인도의 국경 부근인 히말라야산기슭의 카필라성(Kapilavastu) 샤키야족(석가족, 釋迦族)의 작은 나라의 왕인 슈도다나와 마야부인 사이에서 태어났다. 

태생이 왕자였기 때문에 출가 전에는 화려한 의관(衣冠)을 갖췄을 것이다. 특히 머리에는 높은 신분을 상징하는 인도 고유의 터번(turban)을 썼을 것이며 이는 간다라의 싯다르타상에서 그 형태를 잘 볼 수 있다. 불상이 동점(東漸)함에 따라 터번은 그 상징성이 유지되지만, 형태가 지역과 시대에 따라 변한다. 중국에서는 불전이 한역(漢譯)될 때 터번은 머리에 쓰면서 높은 신분을 상징하는 보관(寶冠), 천관(天冠)이라고 하는 중국적 관념으로 대치되는데 형태는 통천관과 같은 중국 고유의 관과는 차이를 보인다. 

이는 상을 만들 때 인도의 태자 또는 높은 신분의 인물이란 것을 강조하기 위한 것으로 불상의 의복 등 여러 외래적 이미지가 중국화가 되는 것과 비교해 이질적인 요소가 강한 부분이다. 반가사유상을 비롯해 우리나라·중국 보살상의 관은 크게 두 가지 계통으로 나눌 수 있다. 

첫째는 인도 터번(turban)과 관식(crown)의 영향이다. 터번을 장식한 보석이나 화만(꽃장식) 그리고 원반(disk)의 위치나 장식방법에 따라 다양한 형태가 나타나는데 굽타 시대에는 높게 올라간 고관(高冠) 형태의 관식도 등장한다. 터번을 똑같이 모방하진 않았지만, 터번의 장식이 여러 형식으로 변화되어 관과 결합하거나 굽타시대 고관의 영향을 받는 등 다양한 형식으로 등장한다.

두 번째는 중앙아시아 관식의 영향이다. 디아뎀(diadem)과 두 개의 흩날리는 리본장식, 초승달, 새의 날개 등은 사산조 페르시아의 영향이며, 이의 영향을 받은 에프탈(Ephthalites)과 소그드(Sogd)인은 이러한 계통의 관을 직접 착용하기도 했다. 국보 제78호 금동반가사유상의 관이 대표적으로, 당시(6-7세기) 역사적 관계를 봤을 때 직접적인 사산조의 영향 보다는 당시 활발한 무역 활동을 했던 소그드의 영향이 더 컸을 것으로 생각된다.



신라 반가사유상이 쓴 삼산관은 이러한 면에서 매우 독특하다. 그 기원을 본다면 관은 화려해야 한다. 관만큼은 중국이나 한국적이지 않은 외래적 요소가 강했다. 그러나 신라의 삼산관은 높은 신분이 쓰기에는 초라하고 단순하다. 그리고 신라 사회에는 없던 관이다. 

일반적으로 이러한 삼산관은 인도 터번 장식이 중앙아시아와 중국을 거쳐 관에 부착된 3개의 원형장식으로 변화하고 이것이 3개의 산봉우리 형태가 간략화된 것으로 파악된다. 외래영향이 분명하지만 최소한의 요소만을 사용하여 대상의 본질을 표현하는 현대의 미니멀리즘(Minimalism)에 가까운 표현방법이다.

이러한 삼산관은 사유상의 헤어스타일과도 일체감을 이룬다. 다른 사유상이나 보살상이 높은 상투를 틀거나 뒤로 늘어뜨린 긴 머리를 하고 화려한 보관을 쓴 것과 비교하면 머리 선만 간략하게 표현하여 삭발(削髮)한 것처럼 보인다. 싯다르타 태자는 출가 후 머리를 자르는데 그머리를 같이 묶은 터번은 무쿠타(mukuta)라는 터번이며 보관(寶冠, jewelled crown)으로 번역되었다. 그 보관에 있는 보석(mani)과 터번(또는 머리카락)은 천상에서 성물로서 탑이 세워져 숭배 받기까지 한다. 이로 미루어 삼산관을 쓴 반가사유상의 성격은 싯다르타 태자와는 거리가 있어 보인다. 그렇다고 이미 성불을 한 부처는 더욱 아니다. 그렇다면 지금 정토인 도솔천에서 미래의 인간을 구제하기 위해 사유하고 있는 미륵보살이 맞을까? 

아직 알 수 없지만, 보살은 그 해답이 멀리 있지 않음을 은은한 미소로 보여주는 듯하다.

저작권자 Ⓒ시사뉴스
제보가 세상을 바꿉니다.
sisa3228@hanmail.net





커버&이슈

더보기


경제

더보기
인천공항 비즈니스 목적으로 입국하는 외국 국적 기업인 대기시간 단축
[시사뉴스 박용근 기자] 비즈니스 목적으로 우리나라를 입국하는 외국 국적 기업인의 입국심사 대기시간을 단축하는 조치가 시행된다. 이번 조치는 국내 투자 등의 목적으로 방문하는 외국 국적 기업인에 대한 입국심사 개선이 필요하다는 경제단체 등의 건의에 따른 조치이다. 국토교통부(장관 김윤덕)와 법무부(장관 정성호)는 이달 31일부터 인천국제공항에서 비즈니스 목적으로 우리나라에 입국하는 외국 국적 기업인의 입국심사 대기시간을 단축하는 조치를 시행한다고 26일 밝혔다. 앞서 정부는 관계기관 회의, 경제단체 간담회 등을 거쳐 국내 경제단체가 추천하는 외국 국적 기업인이 별도의 입국심사대를 통해 신속하게 입국할 수 있도록 절차를 개선했다. 현재 우리나라 국민이 자동출입국심사 이용 시 평균 2분 내외, 내국인 대상 유인(有人) 입국심사대 이용 시 평균 5분, 최대 24분이 소요되는 반면, 대부분의 외국인은 외국인 대상 유인 입국심사대 이용시 평균 24~35분이 소요되며, 최대 92분까지 소요되고 있다. 인천공항의 입국심사를 담당하는 법무부 인천공항출입국외국인청은 세계공항서비스평가(ASQ) 48개 대형공항을 대상으로 '국경·여권 심사 대기시간' 분야 올해 1, 2분기 연속


문화

더보기
답사형 공유 전시 ‘메모리루트: 정릉읽기’ 개최
[시사뉴스 정춘옥 기자] 성북문화재단(대표이사 서노원)은 오는 9월 11일부터 25일까지 정릉 일대에서 답사형 공유 전시 ‘메모리루트: 정릉읽기’(이하 메모리루트)를 개최한다. 이번 전시는 2024년 발간된 아카이빙북 ‘정릉읽기’를 토대로 정릉의 주거지 변화와 장소성, 그리고 그 속에 스며든 문화예술의 흔적을 걸으며 사유하는 방식으로 기획됐다. 전시는 정든마을주민공동이용시설과 동네생활연구소 한평에서 동시에 열리며 누구나 자유롭게 관람할 수 있다. 아울러 황두진(건축가), 이신조(소설가), 장윤미(다큐멘터리 감독), 허남설(기자) 등 전문가와 함께 정릉을 직접 걸으며 이야기를 나누는 ‘스페셜 루트 프로그램’도 진행된다. 시민들은 전문가의 시선을 통해 정릉을 새롭게 경험하고, 장소에 대한 다양한 해석을 공유하는 특별한 여정에 동참할 수 있다. 특히 올해는 전시와 답사에 더해 장소특정형 공연 ‘성북 메모리워크: Q로부터’가 재공연된다. 지난해 박경리, 신경림 작가의 작품 세계를 모티브로 제작·초연된 이 작품은 정릉의 골목과 공간을 무대로 과거와 현재가 교차하는 풍경을 담아낸다. 시민들은 전시, 답사, 공연이 어우러진 프로그램을 통해 정릉의 공간과 이야기에 한층 깊

오피니언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