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기사

2025.10.02 (목)

  • 맑음동두천 25.8℃
  • 구름조금강릉 27.3℃
  • 맑음서울 26.6℃
  • 구름많음대전 25.0℃
  • 흐림대구 22.6℃
  • 흐림울산 23.8℃
  • 구름많음광주 24.8℃
  • 흐림부산 27.2℃
  • 구름조금고창 25.2℃
  • 제주 24.5℃
  • 맑음강화 25.7℃
  • 구름많음보은 24.4℃
  • 구름많음금산 25.9℃
  • 구름많음강진군 26.3℃
  • 흐림경주시 22.1℃
  • 구름많음거제 25.3℃
기상청 제공

정치

COR·KOR 표기 논란

URL복사

유승민 IOC 위원, "COR은 IOC가 제안한 것"
IOC, "고려시대 이후 한민족 국가를 지칭했던 프랑스어 ‘COREE’에서 나온 것"
한국당 해외동포분과위원회, "COR은 북한이 2016년부터 공식화한‘COREA’의 약칭과 같다"


[시사뉴스 원성훈 기자] 평창올림픽 개폐회식 남북 공동 입장 및 여자 아이스하키 단일팀에서 쓰일 국호의 영문명이 'COR'로 결정되자 이를 둘러싼 논란이 뜨거워지는 모양새다.


각종 SNS의 보수성향 네티즌들을 중심으로 "COR은 북한의 약칭"이니 "지난해 5월에 북한이 나라 이름을 바꿨다"느니 하는 소문이 크게 돌고있다.


심지어는 COR로 표기하기로 한 것을 두고 "북한이 주장하는 고려연방제로 가기 위한 포석"이라고 주장까지 나오는 상태다.


이런 가운데, 유승민 IOC 위원은 23일 한 언론과의 인터뷰를 통해 "COR은 IOC가 제안한 것"이라고 밝혔다.


유 위원은 "국제대회에서 사용 중인 국가명은 우리가 'KOR', 북한은 'DPRK'이다"라며 "두 나라 모두 K, '코리아'가 들어가지만 단일팀의 머리글자는 프랑스어 '꼬레(COREE)'에서 차용한 'COR'로 결정됐다"고 설명했다.


그러면서 그는 "(이것을) 제안한 것은 IOC"라며 "IOC는 영어하고 공용어가 불어다. 그래서 그런 부분이 어떤가라는 제안 했을 때 양측이 흔쾌히 받은 걸로 알고 있다"고 덧붙였다.


아울러, "단일팀의 머리글자를 KOR로 할 경우 한국의 KOR과 혼동될 수 있다는 의견이 있었고, 이에 IOC가 COR을 제안한 것"이라며 "(이를) 남북한이 흔쾌히 받아들였다"고 강조했다.


IOC는 "국제대회에서 한국이 써온 KOR과 북한이 써온 DPRK로는 두 국가명을 모두 담을 수 없어 고려시대 이후 한민족 국가를 지칭했던 프랑스어 ‘COREE’에서 단일팀 명칭을 찾았다"고 설명한 것으로 알려졌다.


실제로 프랑스어로 대한민국을 표기할 때는 'Coree du Sud'(영어의 South Korea에 해당됨)를, 북한을 표기할 때는 Coree du Nord(영어로는 North Korea)로 쓴다. 여기에서 나온 표기가 COR이라는 설명이다.


한편, 자유한국당 국책자문위원회 해외동포분과위원회는 이날 성명을 내고 "(평창동계올림픽의) 개·폐회식 남북 공동입장을 하기로 하면서 주최국의 국호‘KOREA’가 사라지고 ‘COREE’의 약칭인 ‘COR’로 함으로써 북한이 2016년부터 공식화한‘COREA’의 약칭과 같아져 버렸다"면서 "자유 대한민국은 이를 용인할 수 없다"고 주장했다.


또한 "대한민국의 선수단이 국제 공식 명칭인‘ROK’가 아닌‘COR’ 즉, 북한의 약칭으로 착각하게 하는 국호의 사용을 반대한다"고 역설했다.

저작권자 Ⓒ시사뉴스
제보가 세상을 바꿉니다.
sisa3228@hanmail.net





커버&이슈

더보기

정치

더보기
윤호중 행안장관 "중요 정보시스템 이중화, 예산 7천억~1조 소요 예상"
[시사뉴스 홍경의 기자] 윤호중 행정안전부 장관이 지난 1일 국회 행정안전위원회 국정자원 현안질의에서 국가정보자원관리원(국정자원)에서 관리하는 주요 핵심 정보시스템들을 양쪽 센터에서 동시에 가동하는 방식으로 이중화할 경우 7000억원에서 1조원의 예산이 필요하다고 밝혔다. 윤 장관은 "지금 파악하기로는, 대전센터에 있는 30여개의 1등급 정보시스템을 액티브-액티브 방식으로 구축하면, 7000억원 정도가 소요된다"고 말했다. 이어 "공주센터까지 포함하면 (예산이) 1조원이 넘는다"고 덧붙였다. 액티브-액티브는 한쪽에서 장애가 발생하더라도 다른 쪽이 즉시 서비스를 이어받아 중단 없이 운영할 수 있는 체계로, 두 센터가 실시간으로 데이터를 주고받으며 동시에 가동되는 구조다. 정부는 정보시스템을 중요도에 따라 1~4등급으로 나눠 관리하고 있다. 1등급은 국민 생활과 직결된 정보시스템으로, 정부24 등이 포함돼있다. 윤 장관은 이 방식이 막대한 예산이 소요되는 만큼, 민간에서 사용하는 클라우드 등을 활용하는 방안도 고려해보겠다고 했다. 윤 장관은 "보안 문제나 이런 문제를 해결한다면 민간 자원을 리스(임차) 형태로 활용하는 방법도 있을 수 있다"며 "로드맵을 마련하기

경제

더보기

사회

더보기

문화

더보기

오피니언

더보기
【박성태 칼럼】 디지털 약자들의 정보격차 어떻게 해소할 것인가
스마트폰 하나만 있으면 은행 업무부터 병원 예약, 대중교통 이용, 행정 서비스까지 해결되는 시대다. 그러나 이 편리함은 상대적으로 디지털 정보활용 취약계층에게는 새로운 장벽이 되곤 한다. 각종 기관의 창구 업무는 줄어들고 키오스크 등 디지털 기기만 늘어나고 있다. 디지털 전환은 이제 선택이 아닌 생존의 문제다. 전자정부, 모바일뱅킹, 온라인쇼핑, 스마트농업 등 대부분의 사회·경제 활동이 디지털을 기반으로 이뤄지는 시대다. 하지만 모두가 그 혜택을 고루 누리고 있는 것은 아니다. 노인뿐 아니라, 전업주부, 저학력자, 농촌 거주자, 장애인 등 이른바 ‘디지털 정보취약계층’은 여전히 정보 불평등의 사각지대에 놓여 있다. 이러한 정보격차는 단순한 ‘기술 접근’의 문제가 아니다. 기기 사용 능력의 부족, 낮은 디지털 문해력, 인프라 격차, 생활환경의 한계 등이 복합적으로 작용한다. 정보에 대한 접근 권한과 활용 능력이 결여되면 일상적인 서비스 이용은 물론, 경제 활동, 교육 기회, 복지 접근까지 제한받는다. 디지털 기술이 사회를 더 평등하게 만들기는커녕, 오히려 기존의 격차를 심화시키는 역설적 결과가 나타나고 있는 것이다. 특히, 지방의 중장년층 여성이나 농민, 저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