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기사

2025.11.04 (화)

  • 맑음동두천 12.3℃
  • 맑음강릉 18.0℃
  • 맑음서울 14.0℃
  • 맑음대전 15.7℃
  • 구름조금대구 17.2℃
  • 구름많음울산 15.6℃
  • 구름조금광주 17.2℃
  • 구름많음부산 17.5℃
  • 구름조금고창 14.6℃
  • 흐림제주 18.1℃
  • 맑음강화 11.2℃
  • 맑음보은 15.0℃
  • 맑음금산 15.6℃
  • 구름많음강진군 17.5℃
  • 구름조금경주시 15.0℃
  • 구름조금거제 14.8℃
기상청 제공

경제

[진단] “삼성반도체 위기?!”…삼성전자, 주가하락에 묵직한 한방

URL복사

모건스탠리 부정적 보고후 주가 휘청



[시사뉴스 이동훈 기자] 최근 골드만삭스 등 투자회사를 중심으로 확산 되고 있는 삼성반도체의 위기론, 이 같은 논란에 대해 삼성전자가 묵직한 울림으로 화답했다. 글로벌반도체 흐름세를 이어갈 바꿀 10나노 2세대 양산체제를 공식 발표한 것이다.

29일 국내 언론계에 따르면 증권‧투자가를 중심으로 내년부터 삼성전자ㆍSK하이닉스 등 세계 반도체 기업들의 지나친 생산 경쟁으로 인해 D램 가격이 연속 하락세로 접어들 것이란 전망이 나오고 있다.

세계 2대 투자금융사인 모건스탠리는 “낸드플래시 등 메모리 반도체 시장이 곧 최고점에 도달한다. 생산량도 시장의 주문량을 넘어서면서 D램 가격이 떨어질 것”으로 진단했다.

특히 이 거대 투자사는 삼성전자를 꼭 집어 “이같은 반도체 하락세에 스마트폰 정체현상과 TV출하량 감소까지 더해지면서 삼성 전자는 더 이상 높은 영업이익을 기대하기 어려울 것이다”고 발표했다.

삼성증권도 기다렸다는 듯이 “내년 중반이후 메모리 반도체 사이클이 하락세로 접어들 것이다”며 모건스탠리의 보고서에 힘을 실어줬다.

이에 삼성전자 주가는 27일 5%넘게 급락했다. 공매도 거래대금도 253억원으로 전날의 6배가 넘었다. 사실 증권가 일각에서는 이를 두고 경쟁사인 일본 개입설, 주가 조작설 등도 흘러나왔다. 모건스탠리의 최대주주는 일본의 미쯔비시도쿄UFJ이다. 

주가조작설은 한달전부터 증권가의 호사가들 사이에서 “모 그룹 임원들이 삼성전자 주가를 사려고 노리고 있더라”는 소문이 흘러나왔다. 본지도 이 소문의 진위를 확인하려 했지만, 현재까지는 출처가 불분명한 카더라 통신일 뿐이다.      

이런 상황에 삼성전자는 29일 시장의 우려를 불식시키기 위한 소식을 전세계 언론에 전했다. 
삼성전자가 10나노 2세대 핀펫 공정 기반 SoC 제품 양산에 들어간 것이다. 


 
이번 10나노 2세대 공정은 기존 1세대 공정 대비 성능과 전력 효율이 각각 10%, 15% 향상된 것이다. 무엇보다 이미 양산을 통해 검증된 1세대 공정을 기반으로 하기 때문에 제품 개발부터 양산까지 걸리는 시간이 대폭 감소하고, 초기 수율 확보가 용이한 장점이 있다.
 
이 제품은 내년 초 출시될 IT 신제품에 탑재된다. 삼성전자 파운드리 마케팅팀 이상현 상무는 “삼성전자의 10나노 장기 활용 전략은 지속될 것”이다며 “앞으로도 차별화된 경쟁력을 선보이겠다”고 밝혔다.

이 발표후 29일 10시 16분 기준 삼성전자의 코스피 주가는 전일대비 0.73(+0.03%) 상승을 시작했다.  (*이후 하락세로 전환) 

저작권자 Ⓒ시사뉴스
제보가 세상을 바꿉니다.
sisa3228@hanmail.net





배너

커버&이슈

더보기

정치

더보기

경제

더보기

사회

더보기
중국산 건조 마늘과 양파를 냉동 제품으로 위장 밀반입 한 5명 적발
(사진=인천본부세관 제공) [시사뉴스 박용근 기자] 인천본부세관은 중국산 건조 마늘과 양파를 냉동 제품으로 위장해 밀반입한 5명을 관세법 위반 혐의로 붙잡아 검찰에 송치했다. 인천본부세관은 4일 A(50대)씨 등 5명을 관세법 위반 혐의로 입건해 검찰에 불구속 송치했다. 세관에 따르면 A씨 등은 지난해 1~12월 중국에서 건조된 마늘 173톤과 양파 33톤 등 시가 17억 원 상당의 농산물 총 206톤을 국내로 밀수입한 혐의를 받고 있다. 이들은 건조 농산물에 부과되는 고율 관세를 회피하기 위해 냉동 농산물로 위장하는 방식으로 밀수를 시도한 것으로 조사됐다. 현행 건조 마늘과 양파에는 각각 360%, 135%의 관세율이 적용되지만 냉동 농산물로 분류되면 27%로 낮아진다. 이들은 건조 농산물을 실은 컨테이너 적재 칸의 윗부분에는 냉동 농산물 상자를 넣어 현품 검사를 피하려고 한 것으로 파악됐다. 이번에 적발된 보세창고 보세사는 현품 검사를 할 때 사전에 확인한 냉동 농산물만 샘플로 제시하는 등 범행에 깊숙이 가담한 것으로 드러났다. 인천세관은 냉동 보세창고 외부에만 폐쇄회로(CC)TV가 설치돼 있어 내부 감시가 어려운 점이 악용된 것으로 보고 앞으로 창고 내

문화

더보기

오피니언

더보기
【박성태 칼럼】 진짜 부동산 대책은 ‘가만 놔두는 것’이다
정부가 또다시 부동산 대책을 내놓았다. 표면적인 이유는 언제나처럼 ‘부동산 시장 안정’과 ‘투기 근절’이다. 하지만 이번 10‧15 부동산 대책의 내용을 들여다보면, 과연 이것이 시장 안정을 위한 것인지, 아니면 그저 시장 자체를 마비시키려는 것인지 의구심을 금할 수 없다. 이번 대책의 핵심 논리는 ‘풍선 효과’를 원천 차단하겠다는 것이다. 강남 3구 집값이 오르니, 그 불길이 번진 마포·용산·성동구를 잡고, 나아가 서울 전역을 조정대상지역이라는 족쇄로 묶어버렸다. 과천과 분당이 들썩이자, 그와는 무관한 인근 경기도 12개 지역까지 모조리 규제지역으로 편입시켰다. 이는 문제의 본질을 완전히 잘못 짚은 ‘연좌제식 규제’이자 ‘과잉 대응’이다. 첫째, 특정 지역의 가격 상승은 그 지역 나름의 복합적인 수요 공급 논리에 따라 발생한다. 강남의 가격 상승 논리와 서울 외곽 지역의 논리는 엄연히 다르다. 단지 행정구역이 ‘서울’ ‘수도권’이라는 이유만으로 모든 지역에 동일한 대출 규제(LTV, DTI), 세금 중과, 청약 제한을 가하는 것은, 빈대 몇 마리를 잡겠다며 초가삼간을 태우는 격이다. 둘째, 이러한 전방위적 규제는 ‘현금 부자’가 아닌 평범한 실수요자와 선량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