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기사

2025.07.28 (월)

  • 맑음동두천 32.0℃
  • 맑음강릉 33.9℃
  • 맑음서울 32.7℃
  • 맑음대전 32.8℃
  • 맑음대구 31.6℃
  • 맑음울산 31.0℃
  • 맑음광주 32.3℃
  • 구름조금부산 31.5℃
  • 맑음고창 33.1℃
  • 구름조금제주 29.9℃
  • 맑음강화 30.8℃
  • 맑음보은 30.5℃
  • 맑음금산 30.8℃
  • 맑음강진군 33.3℃
  • 맑음경주시 31.9℃
  • 구름조금거제 29.1℃
기상청 제공

문화

뮤지컬 배우 마이클 리 “예술가 앨런 포 훌륭하게 소개하고 싶다”

URL복사

[시사뉴스 이경숙 기자]뮤지컬배우 마이클 리(43)는 진중하다. 작품과 캐릭터를 깊이 파고드는 '학구파 배우'다. 그가 19세기의 독창적 작가 에드거 앨런 포(1809~1849)로 완벽하게 변신했다. 한국 초연을 앞둔 라이선스 뮤지컬 '에드거 앨런 포'의 타이틀롤로 나선다. '미국의 셰익스피어'라고도 불리며 당대 미국을 대표한 시인 겸 소설가인 앨런 포의 삶을 그린 뮤지컬이다.

추리소설 '셜록 홈즈'의 탄생에도 영향을 미칠 정도로 천재적인 재능을 지녔으나, 가난과 신경쇠약 등으로 어두운 어린 시절을 보냈다. 어머니의 죽음, 첫사랑과의 아픈 이별, 어린 아내의 죽음 등 삶 내내 그림자가 드리워졌다. 그런 앨런 포와 그를 시기하는 라이벌 '루퍼스 그리스월드' 사이의 사건을 그린다.

최근 압구정동에서 만난 마이클 리는 "에드거 앨런 포라는 예술가의 여정을 잘 드러내고 싶다"고 바랐다. 앨런 포의 삶을 들여다보면 예술적인 면에서 자신과 비슷한 점이 많다는 그는 "살아온 경험들을 반영할 수 있을 것 같다"고 여겼다.

"20대 초반에는 긍정적이고 밝은 눈빛으로 '내가 세상을 장악할 거야'라는 꿈을 꿨다. 하지만 가족이 생기고 이를 책임져야 한다는 생각에 현실과 부딪히게 된다. 예술에 대한 성공과 실패의 차이가 커지기 시작하는 거지. 앨런 포의 삶에 공감이 너무 되더라."

재미동포 2세인 마이클 리는 뮤지컬을 위해 미국 스탠퍼드대 의대를 중퇴했다. 브로드웨이에서 활동하던 그는 2006년 '미스 사이공'으로 한국 무대를 처음 밟았다.

2010년 '미스 사이공'으로 다시 한국 무대에 올랐다. 2013년 '지저스 크라이스트 수퍼스타'를 기점으로 한국에서 본격적으로 활동했다. '노트르담 드 파리' '벽을 뚫는 남자' '서편제' '프리실라' '더 데빌' 등에 출연하며 마니아층을 구축했다. 섬세한 가창과 연기력, 다정다감한 성격은 관객뿐 아니라 동료 배우, 스태프 심지어 공연 담당 기자들마저 사로잡았다. 브로드웨이와 한국 무대를 오가는 몇 안 되는 배우다.

앨런 포가 부르는 넘버 '관객석 그 어딘가'의 노랫말 중 "아무도 찾지 않는 무대 위 광대"라는 부분이 마음에 와닿았다는 그는 "예술가는 누군가를 위하기도 하지만 자기 자신을 위한 부분도 있다"고 했다. "작품 속에서 예술가의 고뇌와 주변 사람들과의 관계를 잘 표현하고 싶다."

마이클 리는 지난해 10월 브로드웨이에서 초연한 뮤지컬 '엘리전스(Allegiance)'에 출연했다. '에드거 앨런 포'는 한국 무대 복귀작이다.

최근 브로드웨이는 백인 이외 배우에게 점차 문이 열리는 흐름이다. 뮤지컬 '왕과 나'의 가정교사 '애나' 역을 한국계 배우 앤 샌더스가 맡고, 최근 현지에서 돌풍을 일으킨 뮤지컬 '해밀턴'의 주역을 흑인 또는 라틴계열이 맡았다. 아시안인 주도적으로 프로듀싱하는 작품도 여럿이다.

"나는 운이 좋아 전형적인 아시아인 역을 연기하지 않았다. '해밀턴'도 기뻐해야 하는 사례다. 하지만 브로드웨이 뮤지컬은 현지 사람만 보는 것이 아니다. 관광하러 온 이들도 많이 보는데 그들은 백인 배우를 기다린다. 그런데 브로드웨이에 도전하는 사람들 문제라고 생각한다. 한국에서 일을 하면서 훌륭한 사람들을 만났다. 세계에서 다뤄지는 어떤 이야기보다 미국에서도 충분히 성공적으로 통할 수 있다고 생각한다."

뮤지컬은 실제 삶을 투영하지만 현실과는 다소 거리감이 있다. "일상에서 감정이 북받쳐 오른다고, 노래하거나 춤을 추는 사람은 없기 때문"이다. 앨런 포가 실존 인물이지만 "가상 인물을 연기하는 것과 큰 차이가 없다고 생각"하는 이유다. "다만 미국인 캐릭터를 미국에서 온 내가 연기하는 것이 재미있다"고 눈을 크게 떴다. "앨런 포라는 사람을 훌륭하게 소개하고 싶다. 뮤지컬을 본 관객이 어떤 인물인 지 찾아볼 수 있게끔 말이다."

뮤지컬 '에드거 앨런 포'는 작곡가 에릭 울프슨의 유작이다. 뮤지컬 '갬블러', 알란 파슨스 프로젝트의 '아이 인 더 스카이(Eye in the Sky) 등 많은 히트곡을 탄생시켰다. 신시컴퍼니의 국산 창작 뮤지컬 '댄싱 섀도우'의 작곡가로 국내에 이름을 알리기도 했다.

웅장하면서도 섬세한 선율이 특징인 울프슨의 음악과 앨런 포의 미스터리한 삶이 어우러지며 호평 받았다. 앨런 포 역은 폭넓은 음역대로 내로라하는 가창력을 갖춘 배우들이 맡아왔다. 마이클 리를 비롯해 '신화' 김동완, 최재림이 한국 초연의 이 배역을 거머쥔 이유다. 앨런 포의 첫사랑 엘마이라 역에는 뮤지컬배우 정명은과 김지우가 더블캐스팅됐다. 26일부터 7월24일까지 광림아트센터 BBCH홀. SMG·랑·클립서비스. 1577-336

저작권자 Ⓒ시사뉴스
제보가 세상을 바꿉니다.
sisa3228@hanmail.net





커버&이슈

더보기

정치

더보기

경제

더보기

사회

더보기

문화

더보기
한 가족의 삶을 통해 대한민국 근현대사 100년을 통찰하다
[시사뉴스 정춘옥 기자] 페스트북은 정일남 작가의 소설 ‘반갑다, 지리산 무지개여!: 격동기를 살아낸 한민족의 이야기’를 올해의 추천 도서로 선정했다. 이 책은 일제강점기와 6·25전쟁, 강제 노역과 해방을 거치며 한반도를 휘몰아친 격동의 역사를 평범한 민초의 삶을 통해 그려낸 역사소설이다. 정일남 작가는 노스텍사스대학에서 화학 박사 학위를 받은 후 평생을 화학 연구자로 살았다. 정년 퇴임 이후에는 벤처기업 JSI실리콘을 설립했다. 그는 “오늘날 대한민국이 이룬 발전이 결코 저절로 얻어진 것이 아님을, 개개인의 수많은 노력과 희생 위에 세워진 것임을 이해하는 데 도움이 됐으면 한다”며 “또한 지나온 역사 속에서 미처 깨닫지 못했거나 바로잡아야 할 부분들을 함께 성찰하고, 어떤 마음가짐으로 미래를 향해 나아가야 할지 고민하는 작은 계기가 되었으면 하는 바람”이라고 출간 소감을 전했다. 페스트북 편집부는 ‘반갑다, 지리산 무지개여!’는 위대한 영웅이 아닌 지리산 부근에 사는 한 가족의 삶을 통해 대한민국 근현대사 100년을 통찰하는 소설로, 그들의 삶과 슬픔, 저항을 날 것의 모습 그대로 꾹꾹 눌러 담았다며, 강제 노역과 전쟁, 분단의 파고를 지나야 했던 사람들

오피니언

더보기
【박성태 칼럼】 의대생 전공의 복귀하려면 무조건 사과부터 해야
지난해 ‘의대 정원 2000명 증원’에 반발해 집단 이탈했던 의대생과 전공의들이 지난 14일 전격 복귀 의사를 밝히면서 17개월 만에 의정 갈등이 마침표를 찍게 될 가능성이 높아졌다. 다만 복귀자들에 대한 학사일정조정, 병역특례, 전공의 시험 추가 응시기회 부여 등 특혜 시비를 슬기롭게 해결하지 못하면 의정갈등의 불씨는 계속 남아있게 된다. 새로운 정부가 들어서면서 1년5개월 만에 해결의 실마리를 찾고 있는 의정 갈등의 해법은 의대생, 전공의들이 무조건 국민과 환자들에게 의정 갈등으로 인한 진료 공백 사태에 대해 사과부터 하고 그 다음 복귀 조건을 제시하는 수순을 밟는 것이다. 지난해 2월부터 발생한 의정 갈등은 정부가 고령화 시대 의료 수요 증가와 지역·필수의료 부족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의대 정원 2000명 증원과 지역의료 강화, 필수 의료 수가 인상 등을 묶어 필수 의료 정책 패키지 추진을 강행하면서부터 시작됐다. 의료계는 이에 대해 의사 수 부족이 아닌 ‘인력 배치’의 불균형 문제이며, 의료개혁이 충분한 협의 없이 졸속으로 추진되었다고 반발하며 집단행동에 나섰다. 의료계는 의사 수 증가가 오히려 과잉 진료와 의료비 증가를 야기할 수 있다고 주장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