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기사

2025.10.12 (일)

  • 맑음동두천 25.8℃
  • 구름조금강릉 27.3℃
  • 맑음서울 26.6℃
  • 구름많음대전 25.0℃
  • 흐림대구 22.6℃
  • 흐림울산 23.8℃
  • 구름많음광주 24.8℃
  • 흐림부산 27.2℃
  • 구름조금고창 25.2℃
  • 제주 24.5℃
  • 맑음강화 25.7℃
  • 구름많음보은 24.4℃
  • 구름많음금산 25.9℃
  • 구름많음강진군 26.3℃
  • 흐림경주시 22.1℃
  • 구름많음거제 25.3℃
기상청 제공

굿바이 글렌 프레이, 밴드 '이글스' 한쪽날개

URL복사

[시사뉴스 조종림 기자] 18일(현지시간) 68세를 일기로 별세한 글렌 프레이는 미국의 전설적인 컨트리 록밴드 '이글스'의 한쪽 날개였다.

영국 싱어송라이터 엘턴 존(69)이 미국 데뷔 공연을 치른 곳으로 유명한 웨스트할리우드의 트루버도어에서 프레이와 돈 헨리(69)가 의기투합하면서 이글스는 탄생했다.

1971년 팀이 결성됐고 1972년 데뷔 앨범 '이글스'를 발표했다. 로큰롤과 컨트리 록을 병행하며 인기를 누리다 1976년 걸작으로 평가 받은 6번째 앨범 '호텔 캘리포니아'로 세계적인 스타덤에 올랐다.

프레이는 헨리 등과 함께 나눠 쓴 '호텔 캘리포니아'를 비롯해 '테이크 잇 이지' 등 보컬·기타 연주뿐 아니라 작사, 작곡에도 탁월한 실력을 보였다.

멤버들의 개별 활동으로 1982년 해산해 팬들을 안타깝게 했다. 프레이 역시 솔로 데뷔 앨범 '노 펀 얼라우드'로 인기를 끌었다. 1980년대 후반에는 '솔 서칭'으로 독자적인 음악성을 인정 받기도 했다.

프레이의 중심에는 그러나 항상 이글스가 있었다. 1994년 팀이 재결합하는데 누구보다 큰 공헌을 했다. 이글스는 2007년 7집 '롱 로드 아웃 오브 에덴(Long Road Out of Eden)'을 빌보드 앨범차트 1위에 올리면서 건재를 과시했다.

지금까지 총 1억2000만장의 음반 판매량과 6번의 그래미 어워드 수상, 5곡의 빌보드 싱글차트 1위를 기록한 팀이다. 1998년에는 로큰롤 명예의전당 공연 부문에도 올랐다.

결성 40년 만인 2011년 3월 프레이를 비롯해 오리지널 멤버로 첫 내한공연했다. 프레이는 당시 녹슬지 않은 연주력과 보컬 실력으로 1만1000여명의 팬들의 향수를 자극했다.

내한공연 직전 e-메일 인터뷰에서 40년 동안 사랑 받는 이유에 대해 프레이는 "우리의 음악이 삶의 일부가 돼 그렇지 않을까 싶다"고 답했다. "변하지 않는 산과 바다처럼 우리 음악이 그 시간 동안 늘 함께 있었기 때문"이라는 것이다.

자신들의 역사를 담아낸 다큐멘터리 DVD '히스토리 오브 디 이글스'(2013)에서는 팀이 위기를 딛고 유지되는 비결에 대해 "우리는 서로를 잘 알고 서로 이해한다. 같은 일을 하고 있고, 서로의 이야기를 듣고 이해하려고 노력한다"고 말했다.

프레이는 여유롭게 살았다. '히스토리 오브 디 이글스'에게 후배 밴드들에게 해줄 조언을 묻자 말했다. "사실 다른 밴드에게 해줄 조언이 많지는 않다. 나는 나에게 맞는 해결책을 알고 있고, 밴드마다 그것은 다를 것이다. 내가 해줄 수 있는 말은 어려움이 닥쳤을 때 차 한잔 마시면서 심호흡을 하는 것이 큰 도움이 된다는 것 정도다. 하하하."

결혼 3년만인 1988년 이혼한 프레이는 1녀2남을 남겼다.

저작권자 Ⓒ시사뉴스
제보가 세상을 바꿉니다.
sisa3228@hanmail.net





커버&이슈

더보기

정치

더보기

경제

더보기

사회

더보기
병원비 대신 내주고 신생아 매수한 후 양육 과정서 학대한 30대 여성 징역형
[시사뉴스 박용근 기자] 병원비 28만원을 대신 내주고 신생아를 매수한 뒤 양육 과정에서 학대한 혐의로 재판에 넘겨진 30대 여성에게 1심에 이어 항소심에서도 징역형의 집행유예가 선고됐다. 인천지법 형사항소5-3부(이연경 부장판사)는 12일(아동복지법상 아동매매와 아동학대)혐의로 기소된 A(36·여)씨에게 1심과 같은 징역 1년에 집행유예 2년을 선고했다. 불임인 A씨는 조건 미달로 입양에 어려움을 겪던 중 2018년 1월 25일 인터넷에서 '신생아를 데려가 키우실 분을 구한다'는 글을 보고 B양 부모에게 연락해 병원비 28만8천원을 대신 내주고 매수한 혐의 등으로 기소됐다. A씨는 아동 매수 4년여 만인 지난 2022년 9월 인천 강화군 주거지에서 파리채와 리모컨으로 B양을 여러 차례 때리는 등 신체적 학대를 하기도 했다. 조사결과 A씨 부부는 B양을 매수한 뒤 출생 신고를 하지 않았고, 예방 접종을 비롯한 필수 보건·의료 서비스를 제대로 받지 못한 것으로 조사됐다. 검찰은 A씨 부부가 B양의 기본적인 보호·양육과 치료·교육을 소홀히 하는 방임행위를 했다고 보고 이들에게 아동복지법상 아동유기·방임 혐의도 적용해 재판에 넘겼다. 그러나 1심과 항소심 재판부는

문화

더보기

오피니언

더보기
【박성태 칼럼】 디지털 약자들의 정보격차 어떻게 해소할 것인가
스마트폰 하나만 있으면 은행 업무부터 병원 예약, 대중교통 이용, 행정 서비스까지 해결되는 시대다. 그러나 이 편리함은 상대적으로 디지털 정보활용 취약계층에게는 새로운 장벽이 되곤 한다. 각종 기관의 창구 업무는 줄어들고 키오스크 등 디지털 기기만 늘어나고 있다. 디지털 전환은 이제 선택이 아닌 생존의 문제다. 전자정부, 모바일뱅킹, 온라인쇼핑, 스마트농업 등 대부분의 사회·경제 활동이 디지털을 기반으로 이뤄지는 시대다. 하지만 모두가 그 혜택을 고루 누리고 있는 것은 아니다. 노인뿐 아니라, 전업주부, 저학력자, 농촌 거주자, 장애인 등 이른바 ‘디지털 정보취약계층’은 여전히 정보 불평등의 사각지대에 놓여 있다. 이러한 정보격차는 단순한 ‘기술 접근’의 문제가 아니다. 기기 사용 능력의 부족, 낮은 디지털 문해력, 인프라 격차, 생활환경의 한계 등이 복합적으로 작용한다. 정보에 대한 접근 권한과 활용 능력이 결여되면 일상적인 서비스 이용은 물론, 경제 활동, 교육 기회, 복지 접근까지 제한받는다. 디지털 기술이 사회를 더 평등하게 만들기는커녕, 오히려 기존의 격차를 심화시키는 역설적 결과가 나타나고 있는 것이다. 특히, 지방의 중장년층 여성이나 농민, 저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