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기사

2025.05.01 (목)

  • 맑음동두천 26.0℃
  • 구름많음강릉 28.0℃
  • 구름많음서울 24.5℃
  • 맑음대전 25.8℃
  • 맑음대구 26.1℃
  • 맑음울산 22.5℃
  • 맑음광주 25.0℃
  • 구름조금부산 21.0℃
  • 맑음고창 25.3℃
  • 구름조금제주 18.9℃
  • 구름조금강화 22.5℃
  • 맑음보은 25.4℃
  • 맑음금산 26.8℃
  • 맑음강진군 22.8℃
  • 맑음경주시 28.3℃
  • 맑음거제 21.0℃
기상청 제공

사회

"의대서 상위 합격자 이탈에 따른 추가합격 규모 늘어날 것"

URL복사

종로학원, 2024학년도 의대 수시 추가합격 분석
작년 1658명 모집인데 이탈로 1670명 추가 모집
서울대 0명…성균관대 모집 대비 308% 추가 충원
주로 지방→서울 의대 이탈…올 수시 60.8% 늘어

[시사뉴스 홍경의 기자] 2024학년도 전국 의대 수시 합격생 100.7%으로 사실상 합격생 전원 타 대학 중복합격으로 빠져나간 것으로 나타났다. 

 

2025학년도 대입 수시모집이 두 달 앞으로 다가온 가운데 모집인원이 크게 늘어난 의대에서 상위 합격자 이탈에 따른 추가합격 규모가 늘어날 것이라는 관측이 나온다.

 

이로 인해 의대 합격선이 예상보다 더 하락할 수 있고 미달 규모 역시 더 커질 수 있다는 분석도 나온다.

 

지난 7일 종로학원은 한국대학교육협의회 대입정보포털 '대학어디가'에 전국 의대 39곳의 2024학년도 수시 학생부교과·종합전형 추가합격 분석 결과를 공개했다.

 

의대 39곳은 당시 수시에서 총 1658명을 모집했는데 추가합격자 규모는 다 합해 1670명으로 더 많았다.

 

성적 순서로 최상위에 있는 최초 합격자들이 등록을 안 해 그 만큼 결원이 발생, 추가 선발을 실시했는데 그 규모가 원래 모집인원보다 더 많았다는 이야기다.

 

대입 수시는 수험생 한 명당 최대 6장의 원서를 쓸 수 있다. 예컨대 지방의대 최초합격자가 서울 수도권 의대나 다른 대학에 동시 합격한 경우 이탈할 수 있다.

 

성균관대는 수시에서 25명을 뽑기로 했던 208.0%에 해당하는 52명을 추가 합격시켜 그 규모가 가장 컸다. 강원 가톨릭관동대(296.2%), 충북대(226.3%) 등 순으로 높았다. 반면 서울대는 89명 모두 추가합격 없이 최초합격자로 모집을 끝마쳐 분명한 대조를 보였다.

 

임성호 종로학원 대표는 "의대 수시 전형에서 추가합격이 발생하는 원인은 대체로 의대에서 의대간 중복 합격으로 인한 이동으로 볼 수 있다"며 "의대 중에서도 상위권 의대로 집중되는 양상"이라고 설명했다.

 

의대 소재지별로 분석해보면 서울 지역보다 다른 수도권 지역이나 지방 의대의 이탈이 더 심했다.

 

서울권 8개 의대는 총 371명 모집에 298명을 추가 모집했다. 모집인원 대비 80.3% 수준이다.

 

반면 경기·인천 지역 4개교는 95명 모집에 123명(129.5%), 지방권 27개교는 1192명 모집에 1249명(104.8%)을 각각 추가 모집한 것으로 집계됐다.

 

세부 권역별 모집 대비 추가 합격은 ▲강원권 4개교 128.1% ▲충청권 7개교 117.0% ▲대구·경북권 5개교 109.8% ▲부산·울산·경남권 6개교 101.5% ▲호남권 4개교 86.7% ▲제주 1개교 80.0% 수준으로 조사됐다.

 

권역 내 고등학교를 3년 동안 다녀야 지원 가능한 지역인재 선발전형의 경우 25개교에서 728명을 모집했는데 90.7%에 해당하는 660명을 추가 합격시켰다.

 

권역별로 강원이 모집인원 대비 130.0%로 가장 많았고 ▲충청 118.1% ▲대구·경북 102.7% ▲부산·울산·경남 91.6% ▲호남 63.3% ▲제주 33.3% 등 순이었다.

 

전국 의대 39곳은 이처럼 추가 모집을 시도했음에도 모집인원 1658명 중 33명을 충원하지 못했다. 이럴 경우 정시 전형에서 뽑지 못한 만큼 선발하게 된다.

 

의대 수시 이월 인원은 2019학년도 213명→2020학년도 162명→2021학년도 157명→2022학년도 63명→2023학년도 13명 등 감소하다 전년도에 늘어났다.

 

전년도 입시에서도 의대에서 추가 합격자를 상당수 선발한 만큼 이러한 '수시 이월인원'이 더 늘어날 수 있다는 관측이다. 2025학년도 의대 수시 전형 모집인원은 전년 대비 1138명(60.8%) 늘어난 3010명이다.

 

임 대표는 "지방권 의대 수시 선발인원이 크게 늘어난 상황이고, 지역인재 선발 규모 또한 대폭 늘어난 만큼 지방의대에서 중복합격으로 인한 등록포기 인원이 큰 규모로 발생할 수 있다"며 "수시 이월인원도 함께 늘어날 수 있다"고 관측했다.

 

그는 "의대 모집정원 확대로 지원자가 얼마나 늘어나느냐가 중요한 변수"라면서도 "상황에 따라 정시까지도 못 뽑아 (정시 이후) 추가모집을 실시하는 지역과 대학이 발생할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다"고 했다.

 

한편 대학들은 오는 8일부터 정원 외 재외국민·외국인 전형을 개시한다. 2025학년도 의대 입시가 시작되는 것이다. 수시 모집 원서 접수는 오는 9월9일부터다.

저작권자 Ⓒ시사뉴스
제보가 세상을 바꿉니다.
sisa3228@hanmail.net





커버&이슈

더보기


경제

더보기

사회

더보기
‘학교 먹는물’ 철저하게 관리한다··· 이효원 서울시의원 발의 조례 통과
[시사뉴스 홍경의 기자] 서울시에도 ‘학교 먹는물’을 관리·지원하는 규정이 마련됐다. 서울특별시의회 교육위원회 소속 이효원 의원(국민의힘, 비례)이 발의한 「서울특별시교육청 학교 먹는물 관리 조례안」이 지난 30일 제330회 임시회 제3차 본회의를 통과했다. 이번 조례안은 서울시 교육감과 각 학교장이 교내 먹는물을 관리·지원하고 먹는물의 유지보수를 위한 책무를 규정하기 위해 발의됐다. 교육감은 학교 먹는물을 관리하기 위한 지원 사업을 규정하고, 학교장은 교내 먹는물을 관리하기 위해 자체적으로 각각의 계획을 수립하는 것이 본 조례안의 골자다. 현재 학교 먹는물은 학교와 지역별로 공급원과 공급장치가 상이하고 다수가 함께 사용하는 특성상 관리가 까다로워 보건·위생상 문제가 발생할 가능성이 농후하다. 특히 서울시 학교의 경우 서울시 수돗물인 ‘아리수’ 음수대뿐만 아니라 정수기, 먹는 샘물 등 여러 공급장치가 설치돼 있어 학교 먹는물의 체계적인 관리가 필요한 실정이다. 이효원 의원은 “물은 인간의 생명을 유지하기 위해 누구나 매일 일정량을 섭취해야 하는 기본적인 영양소이자 필수 요소”라며 “무엇보다 학생과 교직원이 하루 중 대부분의 시간을 보내는 학교에서 제공되는 먹

문화

더보기
‘5월, 우리가 함께 알아야 할 세계의 민주주의’ 전시 개최
[시사뉴스 정춘옥 기자] 이은북(eeunbook)이 오는 2025년 5월 1일부터 30일까지 광주광역시 지하철 1호선 김대중컨벤션센터역 내에서 특별 전시 ‘5월, 우리가 함께 알아야 할 세계의 민주주의’를 개최한다. 이번 전시는 민주화운동기념관의 개관 기념 출판 지원을 받아 완성된 책 ‘10대가 꼭 알아야 할 세계의 민주주의’의 원화와 주요 내용을 바탕으로 구성했으며, 국가인권위원회 광주인권사무소와 연계해 민주주의와 인권의 가치를 시민들과 함께 나누고자 마련됐다. 5월은 민주주의의 가치를 다시 한번 되새기는 달이다. 특히 올해 5월은 ‘5·18민주화운동’ 45주년과 ‘2025세계인권도시포럼’이 열리는 뜻깊은 달로, 이번 전시는 세계 곳곳에서 민주주의를 지키기 위해 싸워 온 시민들의 이야기를 통해 우리 모두가 민주주의의 의미를 새롭게 되새길 수 있는 자리가 될 것이다. 전시는 세계 곳곳에서 민주주의를 지키기 위해 싸워 온 시민들의 생생한 이야기를 담고 있다. 민주주의가 흔들리고 위협받는 상황 속에서도 이를 지켜내려는 세계 시민들의 용기와 연대의 모습을 다채로운 일러스트와 함께 만나볼 수 있다. 5월, 광주를 찾는다면 꼭 들러보자. 민주주의의 의미를 다시 한번

오피니언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