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사뉴스 정춘옥 기자] 현대인은 신체활동이 점차 줄어들고 있다. 한 조사에 의하면 우리나라 성인의 절반 이상은 신체활동이 부족한 상태로 나타났다. 걷는 시간은 줄어드는 반면 앉아서 지내는 시간은 최근 6년 새 1시간 이상 늘어났다.
좌식 시간 20대 가장 길어
한국식품커뮤니케이션포럼(KOFRUM)에 따르면 인제대 일산백병원 가정의학과 양윤준 교수팀이 한국인의 신체활동 관련 기존 연구자료를 수집해 정리한 리뷰 논문을 발표한 결과 국민건강영양조사 기준 2020년 신체활동이 부족한 성인 비율은 54.4%로 나타났다. 성인이 주 150분 이상 중강도 또는 75분 이상 고강도 유산소 신체활동을 하지 않는 경우 신체활동이 부족하다고 봤다.
성인의 신체활동 부족 비율은 여성이 57.0%로 남성(51.7%)보다 높았다. 성인의 규칙적인 걷기는 해마다 지속해서 감소하고 있다. 규칙적인 걷기를 실천하고 있는 것은 4명 중 1명꼴에 불과했다. 규칙적인 걷기란 실내 또는 실외에서 1회 30분 이상, 주 5회 이상 걷는 것을 말한다.
근육 강화 운동을 하는 성인의 비율도 24.7%로, 성인 4명 중 1명꼴이다. 유산소 운동과 근육 강화 운동을 모두 실천하는 성인의 비율은 16.9%에 그쳤다. 특히, 여성은 11.8%로 남성(21.9%)의 절반 수준이었다. 유산소 운동과 근력 강화 운동을 함께 하는 비율은 도시와 농촌 간 차이가 있었다. 도시 지역 주민(17.5%)이 농촌 지역 주민(13.7%)보다 높았다.
앉아서 지내는 시간은 2014년 7.5시간에서 2020년 8.6시간으로 늘어났다. 좌식 시간은 20대가 하루 9.7시간으로 가장 길고, 60대가 7.9시간으로 가장 짧았다.
노화에 의한 가파른 기능 저하
신체 활동량이 적을수록, 오래 앉아있을수록 만성 신장질환 위험이 증가할 수 있다. 다만 좌식 시간이 길어도 신체 활동량을 늘리면 위험도가 증가하진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강동경희대학교병원 신장내과 김양균 교수는 코호트(동일집단) 연구를 통해 40대~60대 신장질환이 없는 일반인 총 7988명을 대상으로 혈액과 소변 검사, 신체 활동량을 분석해 평균 12년간 추적한 결과 신체활동과 좌식 생활이 만성 신장질환 발생을 높인다는 사실을 확인했다.
연구팀은 40~60대의 신체 활동량과 좌식 시간을 상·중·하 세 단계로 분류해 세 그룹의 신장 기능 변화와 만성 신장질환 발생을 분석했다. 그 결과 신체 활동량이 적을수록 좌식 시간이 길었고, 신체활동량이 적거나 좌식 시간이 길수록 기저 신기능이 좋지 않았다. 건강한 사람이더라도 노화가 진행되면 신장 기능도 점차 나빠지는데, 신체 활동량이 적은 그룹과 좌식 시간이 긴 그룹은 그렇지 않은 그룹에 비해 신장의 기능이 더 가파르게 저하됨을 확인했다.
또 12년간 추적 관찰 결과 신체활동이 적은 그룹과 좌식 시간이 긴 그룹은 통계학적으로 유의하게 만성 신장질환의 발생률도 높았다. 다만 좌식 시간이 길더라도 신체 활동량이 많으면 만성 신장질환 위험도가 증가하진 않았다.
암 진단을 받은 경우에는 더욱 신체활동에 신경써야 한다. 특히, 암 생존자의 주요 사망 원인인 심혈관질환을 예방하기 위해 신체활동량을 늘릴 필요가 있다. 연세대 의과대학 예방의학교실 김현창, 이호규 교수, 이혁희 강사 연구팀은 암 진단을 받은 20세 이상 성인 중 3년 암 생존자 15만 433명을 대상으로 연구한 결과 암 진단 후 신체활동을 멈추면 심혈관질환 발생 위험이 최대 43%증가한다고 밝혔다.
암 진단 전 신체활동량과 관계없이 진단 후 신체활동량이 많을수록 심혈관 위험도가 낮았다. 진단 전 신체활동을 하지 않았더라도 진단 후 권고 미달, 권고 충족 수준으로 활동하면 위험도는 각각 19%, 20% 감소했다. 반면 진단 전 신체활동을 유지하다 진단 후 활동을 멈추면 심혈관질환 위험은 높아졌다. 신체활동 변화량에 따른 심혈관 위험도를 연속적으로 살펴본 경우에도 암 진단 전과 비교해 암 진단 후 신체활동이 더 많이 증가할수록 위험도 감소 폭은 커졌고 줄어들수록 위험도는 더욱 증가했다.
심혈관 질환 환자의 경우 신체활동이 적어지면 하기도감염(폐렴)에 따른 사망률과 입원율이 높아진다는 연구결과도 있다. 가톨릭대학교 서울성모병원 순환기내과 정미향 교수, 가톨릭관동대학교 의과대학 예방의학교실 이상욱 교수 연구팀은 심혈관질환 환자 100만여명을 장기간 추적 관찰한 결과 신체활동이 적어지면 하기도감염에 따른 사망률·입원율이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고 밝혔다.
연구팀은 18세 이상 협심증·심근경색 등 심혈관질환 환자 100만여명을 신체 활동량에 따라 5개 그룹으로 분류 추적한 결과 신체활동이 많을수록 사망률과 입원률이 하락한 것을 알아냈다. 연구팀은 신체 활동량이 늘어나면 염증이 줄어들고 면역반응이 강화되는 것으로 추정했다.
‘건강한 생활’하고 있다는 자기 긍정
60세 이상 고령자의 앉아 있는 시간이 1시간 늘면 신체 장애가 발생할 확률이 50% 높아진다는 연구 결과도 있다. 미국 노스웨스턴대 파인버그 의과대학 연구팀 60세 이상 남녀 2,286명의 자료를 분석한 결과 앉아 있는 시간이 1시간 늘어날 때마다 음식을 먹거나 목욕, 걷기 등에 어려움을 겪는 신체장애가 발생할 확률은 약 50%씩 높아졌다. 하루 12시간을 앉아서 생활하는 고령자의 신체 장애 발생 확률은 6%였으나 13시간 앉아 있을 경우 9%로 증가했다.
미국 스탠포드대 연구진 심리학과의 앨리아 크럼 부교수와 경영대학원 박사과정의 옥타비아 자르트 연구원이 6만명의 성인을 대상으로 조사 분석한 결과, 자신이 또래들 보다 덜 활동적이라고 믿는 사람이 더 활동적이라고 믿는 사람보다 더 빨리 사망한다는 사실을 밝혀냈다.
연구진은 자신이 또래보다 활동적인지 아닌지에 대한 설문조사를 시행하고 21년 이후 사망기록과 대조하면서 재검토하는 방법을 사용했다. 조사대상자의 신체활동량, 건강상태, 개인적인 배경 등 다른 요소들도 모두 조사대상에 포함됐으며, 조사대상의 1주일간 활동량을 측정하기 위해 진동가속도계를 착용하고 그 결과를 수집하기도 했다.
연구 결과 신체활동량과 나이, 체질량, 만성질환 유무 등 다른 요소가 똑같을 경우에는, 자신이 남들보다 덜 활동적이라고 믿는 사람의 사망률이 자기가 더 활동적이라고 믿는 사람보다 71%나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팀은 실제적인 신체활동 뿐만아니라 정신적인 자기 긍정성도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파악했다. 운동 등 자신이 건강한 생활을 하고 있다는 믿음은 건강에 긍정적 효과를 준다는 추측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