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시사뉴스 정춘옥 기자] 인간의 가장 위대한 발명품 중 하나인 언어는 어떻게 탄생하게 됐을까? 진화생물학자도 아직 풀지 못한 인류의 ‘3대 미스터리’인 언어의 기원을 두 인지과학자이자 언어과학 분야를 선도하는 모텐 크리스티안센과 닉 채터가 낱낱이 해부했다.
138년 전부터 시작된 언어의 여정
두 저자는 언어가 생물학적인 진화가 아닌 우연적 결과물이라고 주장한다. ‘언어는 유전자나 뇌에 의해 창조된 것이 아니라 인간의 독창성이 수천 년간 축적되며 만들어진 산물이다.’ 말의 의미는 마치 제스처 게임처럼 순간적이며 상황에 따라 계속해서 바뀐다는 것이다. 즉 언어는 즉흥적으로 만들어졌으며 인간이 끝없이 상호작용하며 하나씩 쌓아 올린 결과물이다. 고정불변의 법칙으로 자리 잡은 ‘언어는 체계적인 문법을 바탕으로 진화되어 왔다’라는 연구 결과들이 뒤집힌 것이다.
베일에 싸인 언어의 출현을 밝히고자 수십 년간 고군분투했던 크리스티안센과 채터는 ‘인간에게는 언어 유전자가 없다’는 최근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확신을 얻게 된다. 언어의 기원에 대한 이 같은 주장은 수 세기를 거쳐 과학자들이 이뤄낸 연구들을 전복시키면서 도전장을 내민 것이다.
언어과학 분야를 선도하며 언어 기원을 연구하는 데 힘을 싣고 있는 두 저자는 이 책을 통해 언어가 인류의 궤적을 지나 어떻게 만들어졌는가를 한눈에 보여준다. 우리는 고정된 언어 규칙을 습득하는 것이 아니라 창조적인 방법으로 언어의 조각을 고르고, 재조합하면서 언어를 습득한다는 것을 내세우며 언어 기원에 대한 수많은 가설에 맞선다.
<진화하는 언어>는 138년 전부터 시작된 언어의 여정으로부터 우리를 인도한다. 인간에게는 있는 언어가 왜 침팬지에게는 없는지, 어린아이들은 별 노력 없이도 어떻게 언어를 쉽게 습득하는지, 인공지능이 왜 언어로는 인간지능을 이길 수 없는지 등을 논한다. 뇌와 유전자에 의해 언어가 생성된 것이 아닌, 자생적으로 출현하고 진화를 거듭해 온 언어의 여정을 따라가다 보면 생명이 출현한 것만큼이나 경이롭게 다가올 것이다.
인공지능과 구분되는 인간지능의 결정적 열쇠
이 책은 인류의 언어가 어떻게 탄생했는지, 의사소통은 어떻게 이뤄져 왔는지를 타당한 근거를 제시하며 설득해 나간다. 이 책에는 언어뿐만 아니라 역사, 생물학, 물리학, 수학 등 매우 광범위한 분야의 지식이 담겨 있다.
또한 챗GPT가 우리를 위협하는 지금의 시대에도 인공지능이 왜 ‘언어’ 앞에서 인간지능을 이길 수 없는지 믿을 수 없이 방대한 언어의 발전 과정을 예로 들며 체계적으로 밝혀나간다. 질문을 유추해 ‘인간답게’ 능숙한 답변을 제시하는 인공지능 언어 모델 챗GPT는 거대한 파급력으로 우리를 압도한다. 세계적 언어학자 노암 촘스키는 이와 같은 현상에 대해 “챗GPT가 언어, 인지, 인간의 이해와 관련해서는 가치가 없다”라고 선언했다. 챗GPT는 스스로 질문할 수 없으며, 질문에 대답만 해주는 도구일 뿐이라고 주장한다. 즉 진실이 아닌 답을 내는 인공지능을 두려워할 필요가 없다는 것이다.
이 책은 컴퓨터에는 인간지능의 결정적 열쇠가 결여되어 있다고 말한다. 바로 언어의 토대이자 우리가 신념과 창의성을 한데 엮어 수학, 과학, 철학, 종교, 예술을 창조할 수 있게 해주는 바로 제스처 게임 능력 말이다. 이를 바탕으로 인공지능이 인간에게 상대가 될 수 없음을 설득력 있고 명쾌하게 풀어나간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