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기사

2023.06.06 (화)

  • 구름많음동두천 20.5℃
  • 구름많음강릉 25.2℃
  • 구름많음서울 20.8℃
  • 맑음대전 22.1℃
  • 구름많음대구 23.2℃
  • 구름많음울산 22.9℃
  • 구름많음광주 22.5℃
  • 구름많음부산 21.8℃
  • 구름많음고창 22.2℃
  • 흐림제주 17.8℃
  • 구름많음강화 20.8℃
  • 맑음보은 21.2℃
  • 맑음금산 21.4℃
  • 구름조금강진군 22.0℃
  • 구름많음경주시 24.2℃
  • 흐림거제 20.7℃
기상청 제공

사회

"국가건강검진 항목 개선 필요...효율성 떨어져"

URL복사

국회 입법조사처 "美·英보다 검진 광범위·다양"

[시사뉴스 김도영 기자]  1일 국회 입법조사처 '이슈와 논점'에 게재한 '국가건강검진 항목의 문제점과 개선과제'에 따르면 김은정 입법조사관은 "우리나라의 건강검진 목표질환과 대상군이 좀 더 광범위하고 검진 항목도 다양하다"면서도 "이미 치료를 받고 있는 질환자에 대해 불필요한 검진을 실시하는 등 문제점도 지적되고 있다"고 진단했다.

보고서에 따르면 우리나라의 국가건강검진은 생애 전주기에 걸쳐 자주 여러 항목의 검진을 받을 수 있어 다른 나라와 비교해도 규모가 큰 편이다. 지난 2021년 건강검진사업에는 약 2조원의 예산이 배정됐다.

대부분 국가는 40세 이상 또는 고령층을 대상으로 심혈관 질환 등 국가건강검진을 실시한다. 영국은 인지장애를 포함한 치매 관련 검진을, 미국은 우울·알코올 중독 등 정신건강 관련 항목을 건강검진에 추가했다.

그에 반해 우리나라의 국가건강검진은 19세 이상 성인을 대상으로 고혈압, 당뇨, 간장질환, 신장질환, 대사증후군 등을 조기에 발견하기 위한 일반 검진에 구강건강과 인지장애, 정신건강, 골밀도 검사가 포함돼 있다. 질문지와 신체검진, 혈압, 소변검사, 혈액검사 외에 엑스레이(X-ray) 촬영 방식을 활용한다.

김 조사관에 따르면 미국 질병예방특별위원회(USPSTF·US Preventive Service Task Force)와 영국 건강검진위원회(UK-NSC·UK National Screening Committee)는 주기적으로 검진항목의 유효성을 평가해 권고 또는 비권고 결정을 내린다.

그러나 우리나라에서 국가건강검진을 담당하는 질병관리청은 검진항목에 대한 적절성 연구 결과 "20~30대에서 비만도와 혈압 측정 비만도와 우울증 검사 등을 제외하면 검진으로 인한 이득이 명확하지 않거나 비용 대비 효과에 대한 근거가 부족하고, 그 외의 검진항목들은 효율성을 충족하지 못한다"는 결과를 냈지만 실제 청년층에 대한 검진 항목 조정으로 이어진 적이 없었다.

항목이 조정되지 않은 이유에 대해 김 조사관은 "수검자와 검진 비용을 일부 부담해야 하는 사업자의 의견 간에 괴리가 있고, 의료계 내부에서도 의학적 근거와 검진기관의 수익성 사이에서 의견 차이가 존재하기 때문으로 파악된다"고 분석했다.

그러면서 "고령화 및 만성화에 따라 질병의 이환 양상이 다양하고 그에 따른 주요 사망원인이 변화하고 있기 때문에 국민건강검진이 시작되어 수십 년이 지난 이 시점에서 추가 항목과 삭제 항목에 대한 재조정을 고려해야 한다"고 제안했다.

그는 질병 조기발견의 득이 없는 항목을 축소하거나 조기발견 효과가 큰 항목의 주기나 방식을 강화하는 등 과감한 조정이 필요하다고 봤다. 아울러 수검자 개인 수요에 따라 맞춤형 검진을 받을 수 있도록 의원 등 일차의료기관이나 바우처를 활용하는 방안도 제안했다.

김 조사관은 "일차의료기관을 활용하여 개인의 상태를 파악한 뒤 맞춤형 검진을 받을 수 있도록 해야 한다"며 "만성질환으로 이미 진단받은 경우 중복된 검진항목을 삭제하고 검진바우처를 활용해 검진 대상과 항목을 더 심화하는 것이 비용 효율성을 높이고 심층적인 질환 관리도 가능하다"고 조언했다.

저작권자 Ⓒ시사뉴스
제보가 세상을 바꿉니다.
sisanews@hotmail.com




배너

커버&이슈

더보기

정치

더보기
김기현 "보훈이 곧 국방…北눈치 보며 가짜 평화 구걸 안 해"
[시사뉴스 김세권 기자] 김기현 국민의힘 대표는 6일 제68회 현충일을 맞아 "순국선열과 호국영웅들이 흘린 피와 땀, 그리고 눈물이 있었기에 오늘날 우리가 존재한다"며 "북한 눈치를 보면서 가짜 평화를 구걸하느라 호국영웅들에 대한 추모마저도 도외시하는 일이 더이상 없도록 하겠다"고 밝혔다. 김 대표는 이날 오전 자신의 페이스북에 "나라를 위해 희생하고 헌신하신 분들께 경의와 존경의 마음을 담아 안식을 빈다"며 "오랜 세월 아픔을 안고 살아오신 보훈가족 여러분들께도 깊은 위로의 말씀을 드린다"고 적었다. 그는 "어제는 국가보훈처가 국가보훈부로 격상됐다. 자유와 평화, 민주주의와 인권을 지키기 위해 헌신하신 분들을 보다 더 꼼꼼하게 챙기며 예우해 나갈 수 있게 되어 무척 기쁘게 생각한다"고 말했다. 이어 "보훈은 과거가 아닌 현재이자 미래를 위한 일"이라며 "한반도 평화를 위협하면서 핵과 미사일로 동북아와 세계 평화를 위협하는 북한과 마주하는 우리로서는 국가 유공자를 예우하는 것이 곧 국가 안보를 다지는 근본이며, '보훈이 바로 국방'"이라고 강조했다. 그러면서 "국민의힘은 국가유공자와 가족에 대한 예우와 복지를 한층 더 높이고, 보훈의료 인프라를 확충하는 일에

경제

더보기

사회

더보기

문화

더보기

오피니언

더보기
【박성태 칼럼】 의료기구 재사용의 체계적 관리… 기승전 수가(酬價)
본지 부설 히든기업경영전략연구소가 주관하고 국민의힘 최영희 의원(보건복지위원회)이 주최한 ‘의료기구 재사용의 체계적 관리 필요성과 이에 대한 대책’이라는 주제의 토론회가 5월 30일 국회의원회관 제3세미나실에서 열렸다. 이날 의료계, 정부 관계자 7명이 주제발표와 토론에 나섰는데 의료계에서는 이렇게 검토하든 저렇게 검토하든 수가(酬價)에 반영시켜야 한다는 기승전 수가(酬價)를 주장했고 정부관계자들은 단계적 검토라는 원론적인 답변으로 일관해 국회와 정부차원의 적극적 논의가 필요한 것으로 사료된다. 제1주제발표에 나선 동국대학교 일산병원 이상형 교수는 “의료관련 감염 발생시 그 원인을 찾는 것이 매우 중요한데 수술기구의 이력 및 추적 관리시스템은 이러한 감염 원인을 규명하는데 중요한 부분과 역할을 할 수 있다”며 “추적 관리시스템은 초기 설치에 많은 비용이 들고 수익이 발생하는 구조는 아니라서 시스템의 개발이나 설치에 국가적인 지원 체계가 필요하다. 제대로 된 재사용의료기구 이력관리시스템 도입을 위해서는 차등적으로 수가가 제공되게끔 정부와 건강보험심사평가원에서 정책적으로 검토해 주면 좋겠다”고 주장했다. 토론에 나선 이석환 대한수술감염학회 회장은 “로봇수술과 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