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사뉴스 김철우 기자] 미국 뉴욕 증시는 28일(현지시간) 국채금리 상승 영향으로 일제히 하락 마감했다.
이날 뉴욕증권거래소(NYSE)에서 다우지수는 전장보다 37.83포인트(0.12%) 내린 3만2394.25에 장을 마감했다. 4거래일 만에 하락 반전했다.
스탠더드 앤드 푸어스(S&P) 500지수는 전장 대비 6.26포인트(0.16%) 밀린 3971.27에, 나스닥지수는 전장보다 52.76포인트(0.45%) 떨어진 1만1716.08에 각각 거래를 끝냈다.

시장은 은행 부문에 대한 위기가 완화되면서 국채금리 움직임과 연방준비제도(연준)의 추가 금리 인상 가능성에 주목했다.
은행 위기가 진정되면서 연준이 추가로 금리를 인상할 가능성도 커졌다. 연준 위원들은 3월 회의에서 올해 최종금리 예상치를 5.1%로 제시했다. 이는 금리 범위로 보면 5.00%~5.25%로 현 수준보다 0.25%포인트 높은 수준이다.
하지만 일각에서는 연준이 금리 인상을 중단해야 한다고 주장하고 있다. 이미 신용이 크게 위축된 상황이라 추가로 금리를 올리면 미국 경제가 침체에 빠질 가능성이 크다는 이유에서다.
골드만삭스는 이날 미국 경제가 12개월 내 침체에 빠질 가능성을 기존 25%에서 35%로 상향했다. 시장 컨센서스인 60%와 비교하면 여전히 침체 가능성을 낮게 보고 있는 편이다.
국채금리는 다시 오름세를 보였다. 2년물 국채 금리는 4.07%까지 올랐고 10년물 국채 금리는 3.56%까지 뛰었다. 지난 22일 이후 가장 높은 수준이다. 기술주 상승에 부담을 줬다.
스마트폰주 애플이 0.40%, 소프트웨어주 마이크로 소프트 0.42%, 시스코 시스템 0.30%, 트래블러스 0.28% 떨어졌다.
대형은행주 골드만삭스는 0.03%, 기계주 허니웰 0.04%, 버라이즌 커뮤니케이션 0.13%, 홈디포 0.16%, 유통체인주 월마트 0.39%, 신용카드주 비자 0.67%, 아메리칸 익스프레스 2.40%, 오락주 월트디즈니 0.84%, 존슨&존슨 0.97%, 의약품주 머크 1.31% 하락했다.
반면 월그린스 부츠 얼라이언스는 2.67%, 항공기주 보잉 2.19%, 화학주 다우 1.75%, 석유 메이저주 셰브런 1.17%. 건설기계주 캐터필러 0.99% 뛰었다.
패스트푸드주 맥도널드도 0.73%, 바이오주 암젠 0.73%, 고객정보 관리주 세일스 포스 0.54%, JP 모건 체이스 0.30%, 프록터 & 갬블 0.28%, 3M 0.25%, 코카콜라 0.11%, 스포츠 용품주 나이키 0.05% 올랐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