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사뉴스 김철우 기자] 서울 동부간선도로(월릉교~대치우성아파트사거리, 총 12.2㎞)의 일부구간 지하화가 올 하반기 중 착공된다. 완공되면 동남~동북권 간 통행시간이 약 20분가량 단축될 것으로 기대된다.
시는 대우건설 컨소시엄을 동부간선도로 지하화 1단계 사업 중 민간투자사업 구간(월릉~삼성)시행자로 결정하고, 27일 실시협약을 체결한다고 밝혔다.

동부간선도로 지하화 사업은 기존 동부간선도로의 월릉교~대치동(대치우성아파트사거리) 구간에 대심도 4차로 지하도로(터널)를 설치하고, 기존 동부간선도로 구간을 지하화 하는 사업이다.
민자사업 구간과 재정사업 구간으로 나눠 진행되는데, 동부간선도로와 영동대로 구간의 교통여건과 시의 재정여건, 사업목적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해 1·2단계로 단계적으로 추진 중이다.
1단계로 교통개선을 위한 대심도 지하도로(월릉~대치)를 2028년까지 건설하고, 이후 2단계로 기존 동부간선도로 구간(월계~송정)을 지하화 한다.
민자사업 구간은 월릉교~영동대교 남단까지 대심도 4차로, 연장 10.1㎞의 지하도로로 건설될 예정이다. 올 하반기 중 착공해 2028년 개통을 목표로 하고 있다.
앞서 시는 지난 2월 재정사업 구간(삼성~대치) 시공사 선정을 완료했다. 상반기 중 착공해 민자사업 구간과 함께 2028년 동시 개통한다는 계획이다.
동부간선지하도로가 완공되면 석관동(월릉교)에서 대치동까지 왕복 4차로로 직접 연결하는 지하도로가 뚫리면서 하루 약 7만여 대의 차량이 지하로 분산돼 지상도로의 차량 정체가 해소될 것으로 예상된다.
아울러 동남~동북권 간 통행시간이 기존 30분대에서 10분대로 단축되고, 동남권 국제교류복합지구의 파급을 동북권으로 확산시킴으로서 지역균형발전에도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최진석 서울시 안전총괄실장은 "동북권과 동남권 간선도로를 직접 연결함으로써 동남권 국제교류복합지구의 효과를 동북권으로 확산시켜 강남·북 균형발전을 도모할 것으로 기대된다"며 "동북권 8개구 320만 시민들이 발이 돼 경부고속국도 등과 연결되는 중추적인 교통로가 될 수 있도록 사업 추진에 만전을 기하겠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