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기사

2023.03.20 (월)

  • 맑음동두천 15.7℃
  • 맑음강릉 20.3℃
  • 맑음서울 15.5℃
  • 구름조금대전 17.9℃
  • 구름조금대구 20.2℃
  • 구름많음울산 16.6℃
  • 흐림광주 16.9℃
  • 구름많음부산 14.7℃
  • 구름많음고창 12.2℃
  • 흐림제주 15.2℃
  • 맑음강화 10.6℃
  • 구름조금보은 17.3℃
  • 구름조금금산 16.0℃
  • 구름많음강진군 15.4℃
  • 맑음경주시 19.9℃
  • 구름조금거제 14.6℃
기상청 제공

사람들

컬렉터 최은영, 어른들을 위한 놀이터 '포일동 333'

URL복사

"유니크한 세계를 열어주는 앤틱과 빈티지에 흠뻑...100여개 넘는 붐박스 공간에서 자유 만끽"

 

[시사뉴스 김정기 기자] 최은영 대표가 꿈꾸는 세계는 '자기 공간'이다. 여기에 평범함은 용서가 안 된다.

 

최 대표는 "무역업에 있다보니 친구들이 카페 인테리어를 위해 앤틱과 빈티지를 부탁해 하나하나 구해주며 매력에 흠뻑 젖었다" 표현한다. 그들과 함께하는 시간과 공간에 "세상이 담겨있다" 덧붙인다.

 

그가 뽑는 앤틱과 빈티지 매력은 무얼까? 최 대표는 "시간"이라 단언한다.

 

"기성품으로 만들어진 앤틱과 빈티지가 세월과 함께 특별함으로 다가오는 시간. 그 지나옴에 담긴 이야기 하나하나가 현재에도 생생하다는건 경이로움"이라 말한다.

 

그 무엇이 되고 싶고, 어떤 것을 갖고 싶다는 마음을 넘어 '나만의 세계'를 만들어가는 컬렉터 최은영 대표를 만났다.

 

앤틱과 빈티지 표현은 많은데, 그 차이가 있나?

 

혼용해서 쓰기도 하는데 앤틱은 한 세기 이전을 표현하고 빈티지는 1930년대 이 제품을 칭한다고 보면 된다. 일부 설치미술 작가들은 처음부터 빈티지스러운 느낌의 제품을 만들기도 한다.

 

현재 이 전시장에 선보인 작품 중 ‘Visiteur Lounge Chair’는 프랑스 건축가이자 산업디자이너 장 프루베 (Jean Prouve, 1901-1984)가 1948에 디자인한 친구다.

 

현재는 단순한 가구를 넘어 미술품으로 인정받아 세계 경매시장에서 최소 천만 원이 넘는 고가에 거래되기도 한다. 장 프루베처럼 설치미술과 산업디자인, 실용과 예술을 융합해 상상력을 불어넣어 주는 작가들도 많다.
 

또 하나, 전시된 작품 중 영국 산업디자이너 론 아라드가 1981년에 디자인한 ‘Rover Double Chair’는 디자인과 함께 기능적으로 우수하다.

 

잠시 앉아만 봐도 론 아라드과 왜? 세계 3대 산업디자이너 중 한 명으로 꼽히는지 알 수 있다. 한국도 많은 디자이너가 그들처럼 생활에서 구현되는 작품들을 만들어내고 있다.

 

앤틱과 빈티지는 이런 영감을 작가들에게 주는 역할도 한다. 물론 작은 소품 하나로 ‘나만의 것’을 원하는 이글과 감성코드를 함께 한다.

 

이 전시회는 ‘남자들의 놀이터’로 이름지은 이유이기도 하다.

 

내가 가장 자랑하는 공간 중 하나가 붐박스다. 현재 소장한 붐박스가 100여개를 넘어간다. 한면 가득 채운 그들이 뿜어내는 아날로그 리듬을 통해 ‘초 단위, 나노 단위를 나누는 디지털 공간’에서 아날로그 감성에 젖을 수 있다.

 

세월로 탄생한 작품 속에서 시간으로 힐링을 느끼는 그 매력은, 세계 방물시장에서 숨겨진 작품을 찾아내는 컬렉터의 마음 그것이다.

 

꽤 많은 시간과 자본을 투자했을 것 같다. 목표는 뭔가?

 

컬렉팅한 작품을 보면 그 사람을 알 수 있다. 물건을 소유하기보다 나를 표현해주는 인연을 만나기에 가능한 일이다.

 

유니크한 '최은영 컬렉션'을 구성하고 싶다. 내가 컬렉팅한 제품은 누구보다 믿고 구매하고 내가 꾸민 공간에서 사람들과 인연을 만나고 싶다.

 

컬렉터 최은영으로 서로 수집품을 자랑하고 왁자지껄 떠들고 싶다.


 

최은영 대표는 현재 클래식카 전문수집가 박현철 대표와 공동으로 전시를 진행 중이다. 둘의 인연은 최 대표가 현재 타고 다니는 ‘1997년식 Saab 9000cse’를 (박 대표에게) 구매하며 시작됐다.

 

앤틱과 빈티지가 가진 시간과 인연을 소중하게 여기는 만큼 사람에 대한 애정도 남다른 두 남자가 의기투합한 '어른들의 놀이터 포일동333'에서 확인할 수 있다.

 

이번 전시는 2월 말까지 이어질 예정이다.

저작권자 Ⓒ시사뉴스
제보가 세상을 바꿉니다.
sisanews@kakao.com




배너


커버&이슈

더보기

정치

더보기
대통령실, '주 69시간' 논란에 "윤 대통령 '주 60시간' 가이드라인 아닌 정책 보완 과정"
[시사뉴스 홍경의 기자] 대통령실은 '근로시간 개편안' 논란이 좀처럼 수그러들지 않자 '최대 주 69시간 근로'라는 제도는 존재하지 않으며 윤석열 대통령이 '주60시간 이상은 무리'라고 한 언급도 가이드라인이 아닌, 정책 보완 과정에 있다고 강조했다. 대통령실 고위 관계자는 20일 용산 대통령실 청사에서 취재진과 만나 "윤 대통령이 주 60시간은 무리라고 말한 건 그렇게 일하는 자체가 힘들지 않겠냐는 개인적 생각에서 말씀하신 것이지 논의의 가이드라인을 주시고자 하는 의도가 아니었다"고 설명했다. 이어 "대통령 말씀을 유추해보면 의견 수렴을 해보면 60시간이 아니고 그 이상 나올 수도 있고, 캡(상한)이 적절치 않다면 대통령도 고집할 이유가 없다고 본다"고 했다. 또 "대통령이 60시간 상한 캡을 언급했다해서 논의가 60시간 이하, 59시간으로 갈 것이라고 예단할 필요는 없다"며 "장시간 근로에 대한 어려움을 충분히 이해하고 여러 방면에서 의견을 듣고 여론조사 등을 통해 정확히 개편안에 반영하란 뜻"이라고 거듭 강조했다. 또다른 대통령실 관계자도 "'주62시간 근로'라는 제도는 존재하지 않는다. '근로시간 유연화'다"라며 "노동 약자를 위해 입법을 시도한건데

경제

더보기

사회

더보기

문화

더보기

오피니언

더보기
【박성태 칼럼】 국가산단조성사업에 인재양성 계획은 없나…부처간 엇박자 눈에 보여
정부는 지난 15일 경기도 용인에 세계 최대 반도체 클러스터를 조성하는 등 전국에 15개 국가첨단산업단지를 새롭게 지정해 반도체·미래차·우주산업 등을 집중 육성한다고 발표했다. 이는 정부가 국가경쟁력 제고를 위해 5대 핵심분야 22개 신기술을 집중 육성키로 한 국정과제 수행의 일환으로 이번 국가산단 지정은 역대 정부에서 지정한 산단 중 최대 규모다. 정부의 계획에 따르면 2026년까지 550조원 규모의 민간투자를 유치해 총 1천200만평(4천76만㎡)규모 부지에 반도체(340조원), 디스플레이(62조원), 이차전지(39조원), 바이오(13조원), 미래차(95조원), 로봇(1조7천억원) 등 6대 국가첨단산업벨트를 조성한다는 것이다. 경기권에서는 용인 일대, 충청권에서는 대전·천안·청주·홍성이, 호남권에선 광주, 고흥, 익산, 완주, 경남권에서는 창원, 대구·경북권은 대구, 안동, 경주, 울진, 강원권에서는 강릉에 각 분야별 국가산단을 조성키로 했다. 기존 국가산단은 중앙정부 주도로 입지를 선정하고 개발했지만, 이번에는 지역에서 특화산업과 연계해 후보지를 제안한 게 특징이다. 산단 지정을 발표한 원희룡 국토부 장관은 “지방과 기업의 제안을 바탕으로 정부는 민간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