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기사

2023.04.01 (토)

  • 맑음동두천 8.2℃
  • 맑음강릉 10.8℃
  • 맑음서울 11.3℃
  • 맑음대전 9.4℃
  • 박무대구 9.6℃
  • 박무울산 10.6℃
  • 연무광주 10.7℃
  • 맑음부산 14.7℃
  • 맑음고창 6.7℃
  • 박무제주 14.8℃
  • 맑음강화 8.2℃
  • 맑음보은 6.5℃
  • 맑음금산 6.1℃
  • 맑음강진군 8.7℃
  • 구름조금경주시 6.9℃
  • 맑음거제 11.9℃
기상청 제공

경제

원·달러 환율 1230.7원 마감…9개월래 최저

URL복사

 

[시사뉴스 김미현 기자] 원·달러 환율이 1230원대 초반대에서 마감하면서 9개월래 최저치를 기록했다.

 

이는 다음 주 미 연방준비제도(Fed·연준) 연방준비위원회(FOMC)를 앞두고 금리인상 중단 기대감이 커진 데 따른 것으로 풀이된다.

26일 서울 외환시장에서 원·달러 환율은 전거래일(1231.7원) 보다 1원 하락한 1230.7원에 마감했다. 종가 기준으로 지난해 4월 15일(1229.6원) 이후 9개월 만에 가장 낮은 수준이다. 이날 환율은 전거래일 보다 0.3원 오른 1232.0원에 개장한 후 1230.3원까지 저점을 낮췄다.

 

업계 전문가는 미 연준이 다음주 FOMC에서 금리 인상 속도 조절에 나설 것이란 기대에 이어 장중 위안화도 강세를 보이면서 원·달러 환율의 하락 압력으로 작용했다고 보고 있다.

원·달러 환율은 위안화의 강세와 맞물려 하락세를 보였다. 이날 달러당 위안화는 전거래일 대비 0.01% 하락한 6.783위안선에서 거래 중이다. 위안화가 강세를 보이면서 위안화의 프록시 통화인 원화 가치도 상방 압력으로 작용했다.

 

달러화는 주요국 통화 강세와 미 연준의 금리인상 중단 기대로 소폭 하락했다. 주요 6개국 통화 대비 달러가치를 나타내는 달러인덱스는 한국 시간으로 오후 3시 50분 현재 전 거래일보다 0.04% 하락한 101.6에서 움직이며 약보합세를 보이고 있다.

간 밤 캐나다 중앙은행(BOC)의 '베이비스텝'(기준금리 0.25포인트 인상) 후 금리 인상 중단 가능성을 시사하자 캐나다 달러는 달러 대비 약세를 보였다. 시장은 캐나다 중앙은행의 금리인상 중단 시사에 미 연준을 비롯한 다른 중앙은행도 긴축 속도를 조절할 것으로 내다봤다.

BOC는 25일(현지시각) 통화정책 회의를 열고 기준금리를 4.25%에서 4.5%로 0.25%포인트 인상했다. 성명을 통해 "누적된 금리 인상의 영향을 평가하는 동안 금리를 현재 수준에서 동결할 것으로 예상한다"고 밝혔다.

 

25일(현지시각) 뉴욕증권거래소(NYSE)에서 다우존스30산업평균지수는 전장 대비 9.88포인트(0.03%) 오른 3만3743.84에 거래를 마쳤다. 스탠더드앤드푸어스(S&P)500지수는 전장보다 0.73포인트(0.02%) 내린 4016.22에, 나스닥지수는 20.91포인트(0.18%) 하락한 1만1313.36로 장을 마감했다.

저작권자 Ⓒ시사뉴스
제보가 세상을 바꿉니다.
sisanews@kakao.com




배너


배너

커버&이슈

더보기
서울국제불교박람회, 30일 개최...주빈국에 ‘인도’ 초청
[시사뉴스 홍경의 기자] 한국의 전통·불교문화산업의 발전을 견인하는 ‘살아있는 한국 전통문화의 꽃’ 서울국제불교박람회가 올해로 개최 10주년을 맞이했다. 조계종이 주최하고 불교신문·불광미디어가 주관하는 서울국제불교박람회와 붓다아트페스티벌은 3월 30일부터 4월 2일까지 ‘걸어온 10년, 함께 걸어갈 100년’을 주제로 서울 무역전시컨벤션센터(SETEC)에서 개최된다. 불교박람회는 온라인 누리집과 어플리케이션을 통해서도 참여할 수 있다. 2023 서울국제불교박람회 대회장 진우스님(조계종 총무원장)은 개막식에서 "이번 박람회를 통해 세계로 뻗어나가는 한국불교와 전통문화의 현재를 확인하고, 우리 전통불교문화의 성장과 발전의 생생한 현장을 보면서 깊이 있는 정신문화를 마음껏 향유하기 바란다”고 당부했다. 서울국제불교박람회 개막식에 오세훈 서울시장도 참석해 박람회의 시작을 알리는 테이프 커팅(줄 자르기)과 함께 축하 인사를 전했다. 오 시장은 축사를 통해 "불교문화가 시민들에게 지친 몸과 마음의 여유를 찾을 수 있는 안식처이자 위기를 극복할 수 있는 지혜를 줬다며 전통문화와 불교문화가 꽃피는 서울을 만들기 위해 최선을 다할 것"임을 밝혔다. 이번 서울국제불교박람회에서

정치

더보기



문화

더보기

오피니언

더보기
【박성태 칼럼】 숨가빴던 2023년 1·4분기 숨 고르기 하면서 차분하고 냉정해야
계묘(癸卯)년. ‘검은 토끼의 해’인 2023년이 시작된 지 벌써 3개월이 흘렀다. 여느 해는 그렇지 않았겠냐마는 국내외적으로 참으로 많은 사건 사고가 잇달았고, 본지도 참으로 많은 일들을 겪은 숨가빴던 3개월이었다. 우선 국내외적으로 일어났던 중요 사건사고들을 정리해보면 1월에는 1년사이 40%나 급등한 난방비폭탄이 투하되어 서민경제가 심각한 타격을 입었다. 지난 2월 6일에는 튀르키예 동남부 가지안테프 인근을 강타한 규모 7.8의 대지진은 알려진 사망자만 5만 명이 넘고 이재민도 200만 명에 이르고 세계은행 추산 피해 규모가 튀르키예 국내총생산(GDP)의 최대 10%(약 840억 달러)에 달했다. 지난 2월 27일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대표에 대한 체포동의안 표결이 이루어졌는데 체포동의안이 부결 처리됐다. 하지만 국민의힘 하영제의원의 체포동의안이 지난 30일 국회본회의에서 가결되면서 이중잣대를 들이 댄 더불어민주당에 대해 싸늘한 시선들이 존재한다. 세계 경제침체의 최대 원인으로 꼽히고 있는 러시아 우크라이나 전쟁은 발발 1년(2월 24일)을 넘기고도 계속 되고 있고, 북한의 미사일 도발도 잇따르고 있다. 북한은 한미 연합훈련이 진행중인 이달 18일에 이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