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시사뉴스 김미현 기자] 윤석열 대통령은 아랍에미리트(UAE)·스위스 순방에서 돌아와 설 연휴를 보낸 후 업무에 복귀한 24일 첫 일정으로 젊은 과학자들과 오찬을 가졌다. 윤 대통령은 과학기술은 안보, 경제 등 모든 분야의 출발점”이라고 강조했다.
윤 대통령은 이날 낮 12시 용산 대통령실 누리홀에서 '과학기술 영 리더와의 대화' 시간을 가졌다.
윤 대통령은 "과학기술은 안보, 경제 등 모든 분야의 출발점"이라며 "우리가 가장 잘할 수 있는 분야를 선택해 집중 지원하며 키워나가는 것이 중요하다"고 강조했다. 윤 대통령은 그러면서 오찬에 참석한 과학자들과 지속적으로 소통하겠다고 밝혔다.
이날 오찬과 함께 진행된 행사는 UAE·스위스 순방 후속 조치 차원에서 진행됐다.
오찬에서는 ‘미래비전 두바이 포럼’ 및 ‘스위스 연방공과대학 양자과학기술 석학과의 대화’ 등 과학기술 분야 순방의 성과를 설명하고, 향후 유망한 과학기술 각 분야 정책 방향에 대해 젊은 연구자들과 의견을 교환하기 위해 마련됐다.
이날 오찬에는 ▲AI(전병곤 서울대 교수, 김선주 연세대 교수) ▲우주(윤효상 KAIST 교수) ▲첨단바이오 윤태영 서울대 교수와 ▲우재성 고려대 교수) ▲양자(손영익 카이스트 교수) 분야 유망연구자 6명이 참석했으며 ▲이종호 과기부 장관과 ▲이우일 국가과학기술자문회의 부의장이 함께 자리했다.
오찬은 당초 90분으로 예정됐으나 시간을 넘겨 2시간 동안 진행됐다.
윤 대통령은 분야별로 경쟁력을 확보하기 위해 필요한 정부의 지원이 무엇인지 물었고, 참석자들은 '인력'을 첫 번째로 꼽았다고 대통령실은 밝혔다.
이를 위한 방안으로 해외 우수 연구기관 유치, 석·박사급 우수 연구 인력이 연구를 지속할 수 있는 연구기관 설립을 통해 기업 수요가 없는 연구 분야에 대한 연구 활동 지속 등이 필요하다는 의견이 제시됐다.
이에 윤 대통령은 미국 등 주요국과 분야별로 각자 역할을 분담하고, 이를 통해 인재를 양성하고, 높은 가치를 창출하는 국제 협력이 매우 중요하다는 점을 강조했다.
이와 함께 윤 대통령은 "미국 등 주요국과 분야별로 각자 역할을 분담하고, 이를 통해 인재를 양성하고 높은 가치를 창출하는 국제 협력이 매우 중요하다"며 과기정통부 장관에게 국가 R&D 자금이 제대로 집행돼 구체적인 성과가 나올 수 있도록 개선할 것을 지시했다.
한편, 윤 대통령은 지난 20일(현지시간) 스위스 취리히의 연방공과대학을 찾아 양자과학 석학들과 대화를 가지며 올해를 '양자과학기술 도약의 원년'으로 삼겠다고 밝혔다.
지난 17일에는 UAE 두바이의 미래박물관에서 개최된 '미래비전 두바이포럼'에 참석해 과학기술의 중요성을 강조하기도 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