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기사

2025.10.13 (월)

  • 흐림동두천 15.1℃
  • 흐림강릉 15.7℃
  • 흐림서울 16.5℃
  • 흐림대전 19.4℃
  • 흐림대구 19.1℃
  • 흐림울산 19.5℃
  • 흐림광주 22.1℃
  • 흐림부산 21.7℃
  • 구름많음고창 23.2℃
  • 맑음제주 26.3℃
  • 흐림강화 15.4℃
  • 흐림보은 18.0℃
  • 구름많음금산 19.7℃
  • 흐림강진군 23.0℃
  • 흐림경주시 18.6℃
  • 흐림거제 21.8℃
기상청 제공

경제

코스피 코스닥 동반 상승세

URL복사

코스피, 3거래일 연속 상승세 지속
코스닥, 8거래일 만에 700선 회복

 

[시사뉴스 김미현 기자] 코스닥지수가 3% 가량 급등하는 등 700선을 회복했다. 종가 기준 700선을 회복한 건 지난달 23일 이후 8거래일 만이다. 코스피지수도 3거래일 연속 오름세를 보이며 2200선을 유지했다. 밤 사이 미 증시 부진에도 원·달러 환율 1400원 이탈 등 외국인 위험자산 선호 현상이 강화된 영향이다.

 

6일 한국거래소에 따르면 코스닥지수는 전 거래일(685.34)보다 0.67포인트(3.02%) 오른 706.01에 거래를 종료했다.

 

코스닥 시장에서 외국인과 기관은 각 1359억원, 1132억원을 사들였고, 개인은 홀로 2424억원을 팔아치웠다.

코스닥 시가총액 상위 종목은 엘엔에프(8.64%), 에코프로(7.31%), 리노공업(7.01%), 에코프로비엠(5.80%), HLB(2.65%), 펄어비스(2.35%) 등 대부분 강세를 보였다.

 

코스피도 3거래일 연속 2200선을 유지하면서 상승 흐름을 이어갔다. 코스피는 전 거래일(2215.22)보다 22.64포인트(1.02%) 상승한 2237.86에 장을 닫았다.

 

코스피 시가총액 상위 종목 역시 일제히 상승 흐름을 보였다. 대장주 삼성전자는 1.79% 오른 마감가 5만7000원을 기록했다. 이외에도 LG에너지솔루션(3.09%), 삼성SDI(3.51%), 네이버(2.44%), 카카오(1.28%) 등이 올랐다.

유가증권시장에서 외국인은 홀로 2518억원 사들인 반면 개인과 기관은 각 1855억원, 746억원을 팔아치웠다.

 

간밤 미국 뉴욕 증시는 미 고용 지표 호조와 주요 산유국들의 협의체인 석유수출국기구(OPEC+) 감산 합의로 미 국채 금리가 다시 오름세를 보이면서 하락 마감했다. 뉴욕증권거래소(NYSE)에서 5일(현지시간) 다우존스 30 산업평균지수는 전장보다 42.45포인트(0.14%) 내려간 3만273.87로 거래를 마쳤다.

 

대형주 중심의 스탠더드앤드푸어스(S&P) 500 지수는 전장보다 7.65포인트(0.20%) 밀려난 3783.28로 폐장했다. 기술주 중심의 나스닥지수는 전장보다 27.77포인트(0.25%) 떨어진 1만1148.64에 장을 마쳤다.

 

미 고용지표 부진으로 오름세를 보이던 미 증시가 조정을 받으면서 하락 마감한 것으로 풀이된다. 미국 기업 대상 서비스 오토매틱 데이터 프로세싱(ADP) 민간고용자수는 20만800명으로 컨센서스를 상회하고 미 9월 공급관리협회(ISM) 서비스업 지수 내 고용지표도 53포인트로 전월치(50.2)를 웃도는 등 미 고용 시장의 견조함을 나타냈다.

저작권자 Ⓒ시사뉴스
제보가 세상을 바꿉니다.
sisa3228@hanmail.net





배너

커버&이슈

더보기

정치

더보기

경제

더보기

사회

더보기

문화

더보기

오피니언

더보기
【박성태 칼럼】 디지털 약자들의 정보격차 어떻게 해소할 것인가
스마트폰 하나만 있으면 은행 업무부터 병원 예약, 대중교통 이용, 행정 서비스까지 해결되는 시대다. 그러나 이 편리함은 상대적으로 디지털 정보활용 취약계층에게는 새로운 장벽이 되곤 한다. 각종 기관의 창구 업무는 줄어들고 키오스크 등 디지털 기기만 늘어나고 있다. 디지털 전환은 이제 선택이 아닌 생존의 문제다. 전자정부, 모바일뱅킹, 온라인쇼핑, 스마트농업 등 대부분의 사회·경제 활동이 디지털을 기반으로 이뤄지는 시대다. 하지만 모두가 그 혜택을 고루 누리고 있는 것은 아니다. 노인뿐 아니라, 전업주부, 저학력자, 농촌 거주자, 장애인 등 이른바 ‘디지털 정보취약계층’은 여전히 정보 불평등의 사각지대에 놓여 있다. 이러한 정보격차는 단순한 ‘기술 접근’의 문제가 아니다. 기기 사용 능력의 부족, 낮은 디지털 문해력, 인프라 격차, 생활환경의 한계 등이 복합적으로 작용한다. 정보에 대한 접근 권한과 활용 능력이 결여되면 일상적인 서비스 이용은 물론, 경제 활동, 교육 기회, 복지 접근까지 제한받는다. 디지털 기술이 사회를 더 평등하게 만들기는커녕, 오히려 기존의 격차를 심화시키는 역설적 결과가 나타나고 있는 것이다. 특히, 지방의 중장년층 여성이나 농민, 저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