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기사

2023.12.08 (금)

  • 흐림동두천 15.5℃
  • 맑음강릉 18.5℃
  • 구름조금서울 16.4℃
  • 맑음대전 18.4℃
  • 맑음대구 19.6℃
  • 맑음울산 17.4℃
  • 맑음광주 18.6℃
  • 구름조금부산 16.9℃
  • 맑음고창 19.0℃
  • 맑음제주 20.1℃
  • 맑음강화 14.6℃
  • 맑음보은 17.4℃
  • 맑음금산 18.3℃
  • 맑음강진군 17.9℃
  • 맑음경주시 19.2℃
  • 맑음거제 16.9℃
기상청 제공

정치

민주, 대통령실 해명에 “5000만 국민 난청 만들어” 일제히 성토

URL복사

“한국 국회 향해선 ‘이 xx’라고 해도 되나”
“이걸 변명이라고 하나…일을 키우고 있다”
“김은혜, 위트 늘었다…본인도 웃기지 않냐”

[시사뉴스 김철우 기자] 더불어민주당은 23일 윤석열 대통령의 사적발언이 한국 국회를 지칭했다는 것과 관련 "대한민국 국민 5000만명을 난청있는 사람으로 만드는 것"이라며 강력 반발했다.

 

대통령실이 '국회에서 이 xx들이 승인 안 해주면 바이든이 쪽팔려서 어떡하나' 발언이 아니라 '국회에서 이 xx들이 승인 안 해주고 날리면 쪽팔려서 어떡하나'라는 취지로 말했다고 해명한 것이 어불성설이라는 지적이다.

 

민주당 의원들은 일제히 대통령실의 해명이 화를 더 키우고 있다고 질타했다.

 

전재수 의원은 이날 CBS 라디오 김현정의 뉴스쇼에서 "결국은 대한민국 국민 5000만명을 무슨 난청이 있는 사람으로 만드는 것"이라며 "대한민국 국회를 향해서는 '이 xx' 이렇게 해도 되냐"고 말했다.

 

전 의원은 "전세계 언론을 통해서 대통령의 욕설이 영어로 번역이 돼 보도가 되고 있는데 야당 보고 '가만히 있으라' 언론 보고 '보도하지 말라'는 논리가 어떻게 가능하냐"고 반문했다.

 

윤건영 의원도 가세했다. 윤 의원은 이날 BBS 라디오 전영신의 아침저널에서 "정말 심각한 것은 이 사고를 수습하는 대통령실과 정부의 태도"라며 "대한민국 국회에 대한 욕설이라고 주장했는데 참 가관"이라고 평가절하했다.

 

윤 의원은 "앞으로 어린이들에게 욕은 사적으로 얼마든지 해도 된다고 교육할 것이냐"며 "말도 안 되는 변명을 하고 있다고 생각하고 깔끔하게 사과하는 것 외에는 도리가 없다고 생각한다"고 말했다.

 

김용민 의원도 합류했다. 김 의원은 이날 페이스북을 통해 "제정신이냐. 이걸 변명이라고 하고 있다니"라며 "그냥 무조건 우긴다고 될 일이 아니다. 신속하고 진지하게 사과할 일을 키우고 있다"고 밝혔다.

 

김 의원은 "저런 해명은 더 큰 문제이다. 대통령이 외국에 나가 야당에 욕설을 하다니"라며 "그건 국민을 향해 욕하는 것이다. 생각이라는 것을 하면서 우기기라도 해야한다"고 했다.

 

박주민, 김남국, 강선우, 한준호, 이탄희, 전용기 의원 등도 지원사격에 나섰다. 박 의원은 "미국 의회가 아니라 야당을 욕한 것이라는 게 하루종일 머리를 맞대고 고민한 결과냐. 수준이 처참하다"고 했고 김 의원은 "이런 사람이 어떻게 대통령을 하고 우리 국가와 국민을 위해서 일하겠다는 것인지 정말 참담하다"고 탄식했다.

 

강의원은 "대통령실이 국회를 얼마나 우습게 봤으면 사과 한마디 없이 이런 입장을 내냐"며 "앞으로 '이 xx들'이 얼마나 열심히 국민을 대변하는지 지켜보시라"고 경고했다.

 

한 의원은 "김은혜 공보수석, 못 본 사이에 위트가 많이 늘었다. 본인도 웃기지 않냐"고 비꼬았고 이 의원은 "문제의 핵심은 대통령의 격인데 이 해명으로 도대체 뭐가 해명되냐"고 지적했다.

 

전 의원은 "미안하다, 앞으로 잘하겠다는 한 마디가 그렇게 어렵냐. 대통령의 망언 하나 지키기 위해 국민 눈높이를 거스르겠다는 대통령실이 돼서는 안 된다"며 "심청이 김은혜를 성난 민심이라는 인당수에 던져놓고 자기만 살겠다고 발뺌하는 비겁한 대통령이 되고 말았다"고 비판했다.

 

이어 "수준 이하인 대통령실을 보기가 부끄럽다. 해명도 사리에 맞게 하시라"며 "대통령실은 사람이 아니라 민심을 무서워해야 한다. 김 수석은 온갖 궤변으로 정권에 아부하지 말고 기본적인 양심부터 챙기며 사시라"고 전했다.

 

앞서 김은혜 대통령실 공보수석은 22일 뉴욕에 마련된 프레스센터에서 기존에 알려진 '국회에서 이 xx들이 승인 안 해주면 바이든이 쪽팔려서 어떡하나'라는 발언이 아니라 '국회에서 이 xx들이 승인 안 해주고 날리면 쪽팔려서 어떡하나'라는 취지로 해명했다.

저작권자 Ⓒ시사뉴스
제보가 세상을 바꿉니다.
sisa3228@hanmail.net





커버&이슈

더보기

정치

더보기

경제

더보기

사회

더보기

문화

더보기

오피니언

더보기
【박성태 칼럼】 5개월만에 또 다시 등장한 ‘엄석대’ 논란
지난 3월 국민의힘 3·8 전당대회를 앞두고 이준석 전 대표가 윤석열 대통령을 이문열 소설 ‘우리들의 일그러진 영웅’의 주인공인 독재자 엄석대로 빗댄데 이어 5개월만에 또 다시 국민의힘 의원들과 내각 일부장관들이 대통령을 엄석대로 만들고 있다는 비판이 제기돼 관심을 끌고 있다. 자유한국당(국민의힘 전신) 비상대책위원장을 지낸 김병준 한국경제인협회 상임고문은 지난달 28일 ‘2023 국민의힘 국회의원 연찬회’ 특강에서 “국민의힘 의원들과 정부부처가 윤석열 대통령의 의중, 즉 ‘윤심(尹心)’만 따라가는 모습을 국민에게 보여 주니까 ‘대통령이 엄석대다, 아니다’라는 말이 나온다”며 “대통령의 철학이나 국정운영 기조를 제대로 알고 이심전심으로 당과 용산이 혼연일체가 되고 일심동체가 되어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 강연의 요지는 윤 대통령은 엄석대를 쫓아내며 학급에 자유를 되찾게 한 김 선생님에 가까운데 일부 여당과 정부부처 장관들이 ‘윤심’을 지나치게 확대해석하거나 맹목적으로 따르다보니 대통령이 엄석대 소리를 듣게 된다는 것이다. 김 상임고문의 지적은 요즘 일어나고 있는 홍범도 장군 흉상 이전문제나 정율성 역사공원 논란, 잼버리대회 전후 여성가족부장관의 부적절한 처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