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시사뉴스 한지혜 기자] 광주·전남 버스 운송 노동자들이 오는 26일 총파업을 결의한 가운데 임금·정년 연장 등 주요 쟁점을 놓고 막바지 협상에 나선다.
25일 전국자동차노동조합 연맹 소속 광주·전남 노조에 따르면, 버스 노사는 이날 오후 광주지방노동위원회에서 2차 조정 회의에 참석한다.
광주 버스 노조는 최근 수년 간 인건비 동결 등에 반발하며 ▲임금 8.5% 인상 ▲정년 연장 ▲중형 버스 기사 비정규직 차별 금지·철폐 등을 요구하고 있다.
지난 19일 열린 1차 조정 회의는 결렬됐으며, 이날 오후 열리는 2차 조정 회의에서 접점을 찾지 못할 경우 26일 운행 첫 차부터 파업에 돌입할 계획이다.
광주 버스 노조 관계자는 "시민들에게 죄송하다 파업 결의까지 고심이 컸다"며 "사측이 성실 교섭에 임한다면 얼마든지 대화할 준비가 돼 있다. 사측이 무대응으로 일관하고 있어 투쟁이 불가피하다"고 밝혔다.
이어 "파업에 돌입하게 될 경우 시민 불편 최소화를 위한 방법을 다양하게 준비하고 있다"고 전했다.
7.4% 임금 인상을 요구한 전남 버스 노사는 이미 파업에 돌입한 순천을 비롯한 3개 시·군을 제외한 대부분 지역에서 접점을 찾았다.
화순·진도 등 2곳은 이날 조정회의에서 최종 협상한다.
정년 연장을 추가 요구안으로 내건 순천은 최종 협상이 결렬돼 이달 20일부터 시내버스 파업을 벌이고 있다. 이에 순천시는 대체 차량으로 20개 노선에 전세버스 44대를 투입, 기존 노선의 82%가량이 운영되고 있다.
전남 버스 노조 관계자는 "지자체의 예산 지원 규모에 따라 타협이 어려운 지역도 있다. 인상안이 받아 들여져도 다른 군 단위 지자체 버스에 비해 기사 임금 수준이 높지 않다"며 "19개 시·군 버스 노사는 협상이 원만하게 마무리될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한편, 광주시·전남도는 파업 돌입에 따른 교통대란을 막기 위해 전세 버스 운영·대체 인력 투입 등 대책 마련에 나섰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