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기사

2025.09.12 (금)

  • 맑음동두천 25.8℃
  • 구름조금강릉 27.3℃
  • 맑음서울 26.6℃
  • 구름많음대전 25.0℃
  • 흐림대구 22.6℃
  • 흐림울산 23.8℃
  • 구름많음광주 24.8℃
  • 흐림부산 27.2℃
  • 구름조금고창 25.2℃
  • 제주 24.5℃
  • 맑음강화 25.7℃
  • 구름많음보은 24.4℃
  • 구름많음금산 25.9℃
  • 구름많음강진군 26.3℃
  • 흐림경주시 22.1℃
  • 구름많음거제 25.3℃
기상청 제공

경제

[마감시황] 코스피·코스닥 3% 넘게 동반 급락...14개월여만에 최저치

URL복사

 

[시사뉴스 한지혜 기자] 27일 코스피와 코스닥이 3% 넘게 동반 급락하며 14개월 전 수준으로 돌아갔다. 코스피는 2600선, 코스닥은 800선 고지마저 위협받는 모습이다.

27일 코스피는 전 거래일(2709.24)보다 94.75포인트(3.50%) 떨어진 2614.49에 마쳤다. 이는 종가 기준으로 지난 2020년 11월30일 2591.34 이후 14개월여 만에 최저치다.

코스피 종가가 2700포인트 아래로 떨어진 것도 지난 2020년 12월3일 2696.22 이후 13개월여 만이다.

이날 외국인은 코스피에서 1조6373억원을 순매도하며 지수 급락을 이끌었다. 개인은 1727억원을 팔았다. 반면 기관은 1조8058억원을 사들였다.

김석환 미래에셋증권 연구원은 "전일 미국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에서 파월 의장의 매파적 발언과 3월 금리인상 유력 전망에 따라 안전자산 선호심리가 자극됐다"며 "외국인 현/선물 매도 확대에 -3% 이상 급락했다"고 분석했다.

김 연구원은 "LG에너지솔루션은 상장 첫날 코스피 시가총액 2위로 등극했지만, 외국인 매도물량 중 절반 가까이 LG에너지솔루션 물량으로 추정되며 거래대금 쏠림 현상이 심화됐다"면서 "LG엔솔의 코스피 지수 편입을 앞두고 기관 패시브 자금의 리밸런싱을 위한 LG엔솔 매수, 기타 대형주 매물이 출회되며 수급 변동성이 확대됐다"고 진단했다.

이날 업종별로는 화학(-5.13%)과 의약품(-5.17%), 비금속광물(-4.89%), 철강금속(-4.10%), 전기전자(-3.23%), 유통(-4.37%) 등 모두 급락했다.

시가총액 상위 종목을 보면 삼성전자(-2.73%), LG에너지솔루션(-15.41%), SK하이닉스(-3.40%), 네이버(-3.19%), 삼성바이오로직스(-5.94%), LG화학(-8.13%), 삼성SDI(-6.16%), 현대차(-1.84%), 카카오(-4.95%) 등이 줄줄이 하락했다. 기아는 1.80% 올랐다.

코스닥지수는 전 거래일(882.09)보다 32.86포인트(3.73%) 내린 849.23에 마감했다. 코스닥 역시 지난 2020년 11월17일 종가 839.47 이후 최저치를 기록했다.

외국인 코스닥에서 3645억원을 팔아치웠다. 개인은 3275억원 순매수했다. 기관은 158억원을 사들였다.

시총 상위 종목은 셀트리온헬스케어(-5.36%), 에코프로비엠(-0.73%), 펄어비스(-5.86%), 엘앤에프(-11.07%), 카카오게임즈(-6.81%), 위메이드(-5.10%), HLB(-4.49%), 셀트리온제약(-6.05%), 씨젠(-6.24%), 리노공업(-0.88%) 등이 줄줄이 떨어졌다.

서울 외환시장에서 원·달러 환율은 전 거래일(1197.7원)보다 5.1원 오른 1202.8원에 문을 닫았다.

박수진 미래에셋증권 연구원은 "미 FOMC에서 3월 금리인상 예고와 금리인상 이후 대차대조표 축소를 언급하면서 달러가 강세를 보였다"고 설명했다.

저작권자 Ⓒ시사뉴스
제보가 세상을 바꿉니다.
sisa3228@hanmail.net





배너

커버&이슈

더보기

정치

더보기

경제

더보기

사회

더보기

문화

더보기
헬렌 켈러의 삶을 새롭게 재해석한 비언어극 ‘마이 디어, 헬렌’ 공연
[시사뉴스 정춘옥 기자] 부산 극단 ‘배우, 관객 그리고 공간(배·관·공)’이 배리어프리 연극 ‘마이 디어, 헬렌’을 무료로 선보인다. 이번 공연은 한국장애인문화예술원의 장애인 문화예술 향유 지원 사업의 일환으로 마련됐으며, 장애인 관객이 차별 없이 공연을 즐길 수 있도록 기획됐다. 공연은 9월 11일부터 21일까지 부산 북구 창조문화활력센터 소극장 624에서 열리며, 러닝타임은 약 55분이다. 전 연령 관람이 가능하다. ‘마이 디어, 헬렌’은 헬렌 켈러의 삶을 새롭게 재해석한 비언어극으로, 언어를 최소화하고 움직임과 몸짓을 중심으로 구성해 청각, 시각, 언어적 제약이 있는 관객도 불편 없이 이해하고 즐길 수 있도록 했다. 작품은 어린 시절부터 성숙한 사회운동가로서의 삶까지 세 장면으로 펼쳐지며, 장애인 배우가 직접 무대에 올라 비장애인 배우와 호흡을 맞춘다. 자막과 현장 음성 해설을 통해 장애인 관객의 접근성을 높이고, 비장애인 관객에게도 새로운 연극적 체험을 선사한다. 공연 후에는 관객과의 대화가 이어져 창작 과정과 배우들의 이야기를 공유하며 예술의 사회적 의미를 더욱 깊게 나눈다. 이 작품은 2025년 7월 프랑스 아비뇽 오프 페스티벌 공식 초청작으로

오피니언

더보기
【박성태 칼럼】 생성형 AI 활용…결국 사용자의 활용 능력과 방법에 달려 있다
지난 2022년 인공지능 전문 기업인 오픈AI에서 개발한 챗GPT를 비롯해 구글의 Gemini(제미나이), 중국의 AI기업에서 개발한 딥시크, 한국의 AI기업에서 개발한 뤼튼, 미국 캘리포니아에 본사를 두고 있는 중국계 미국기업이 개발한 젠스파크 등 생성형 AI 활용시대가 열리면서 연령층에 상관없이 생성형 AI 활용 열기가 뜨겁다. 몇 시간에서 며칠이 걸려야 할 수 있는 글쓰기, 자료정리, 자료검색, 보고서, 제안서 작성 등이 내용에 따라 10초~1시간이면 뚝딱이니 한번 사용해 본 사람들은 완전 AI 마니아가 되어 모든 것을 AI로 해결하려 한다, 이미 65세를 넘어 70세를 바라보는 필자는 아직도 대학에서 3학점 학점 수업을 진행하고 있다. 지난 2일 개강 첫날 학생들에게 한 학기 동안 글쓰기 과제물을 10회 정도 제출해야 하는데 생성형 AI를 활용해도 좋으나 그대로 퍼오는 것은 안 된다는 지침을 주었다. 그러면서 “교수님이 그대로 퍼오는지 여부를 체크 할수 있다”고 큰소리를 쳤다. 큰소리가 아니라 지난 학기에도 실제 그렇게 점검하고 체크해서 활용 정도에 따라 차등 평가를 실시했다. 이렇게 차등 평가를 할 수 있다는 것은 필자가 생성형 AI 활용 경험이 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