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기사

2025.11.08 (토)

  • 흐림동두천 15.1℃
  • 흐림강릉 12.0℃
  • 흐림서울 16.0℃
  • 흐림대전 17.6℃
  • 흐림대구 15.4℃
  • 흐림울산 17.6℃
  • 흐림광주 18.3℃
  • 흐림부산 18.5℃
  • 흐림고창 18.6℃
  • 흐림제주 18.8℃
  • 흐림강화 14.1℃
  • 흐림보은 15.8℃
  • 흐림금산 15.2℃
  • 흐림강진군 18.0℃
  • 흐림경주시 14.5℃
  • 흐림거제 19.0℃
기상청 제공

강영환 칼럼

【강영환 칼럼】 '브로맨스’가 필요해!

URL복사

[시사뉴스 강영환 칼럼니스트] 브로맨스(Bromance)는 형제(Brother)와 감성애(Romance)를 합쳐서 만든 신조어로, 남성 간의 뜨거운 우정과 유대를 일컫는다.

 

예전부터 사나이의 의리라던가 남성 간 진한 우정을 강조하고 미덕으로 여기는 전 세계적 분위기상 형성된 개념이며, 브로맨스라는 표현이 만들어진 것은 1990년대이지만, 2000년대 초중반부터 유행하기 시작했다. 여성 간의 진한 우정 또한 워맨스(Womance)라 부르긴 한다. 그러나 아직 많이 통용되지는 않는다.

 

브로맨스는 정치권에서도 간혹 사용되는데 정치인들 간에 화학적 반응(케미스트리)이 출중한 사이를 뜻한다. 특히나 정치권에선 리더와 특급 참모 간의 궁합이 제대로 끈끈하게 맺어짐을 이야기할 때가 많다.

 

대표적인 사례로는 미국의 빌 클린턴 대통령과 버논 조던(Vernon Jordan)의 관계를 들 수 있다. 클린턴이 30대에 아칸소 주지사에 선출되고, 4년 후 재선 도전에 실패하고 주지사 관사를 떠날 때 그의 향후 정치행보와 비전으로 위로하고 격려한 이가 11년 위의 조던이다.

 

특히나 루인스키와의 부적절한 관계를 고백했을 때 아내인 힐러리 여사가 떠나려 하고 게다가 탄핵 위기에 처했을 때, 빌 클린턴이 전화를 걸어서 “나 좀 도와줘”라고 SOS를 쳤던 인물이 버논 조던이기도 하다. 이렇게 이 둘은 40년의 브로맨스 관계로 유명하다. 

 

빌 클린턴에겐 또 하나의 인물, 조지 스테파노플러스(George Stephanopoulos)가 있었다. 15년 아래의 그는 톡톡 튀는 신세대 참모였다.

 

그는 “바보야, 문제는 경제야!”라는 경제정책 올인으로 승리를 이끄는데 결정적 기여를 했으며, 클린턴의  선거전략방향 설정과 여론조사에 입각한 과학적 선거를 이끌었다.

 

조지 부시 대통령에겐 칼 로브(Karl Rove)라는 영원한 참모가 있었다. 똑똑하진 않지만 성실한 리더였던 부시에게 그는 선거의 설계자(the Archtect)라는 명성대로 그 진가를 톡톡히 발휘한다.

 

부시의 1994, 1998년 텍사스주 주지사 선거와 2000, 2004년 대통령 경선 및 본선을 승리로 장식하는데는 4년 아래인 칼 로브의 선거전략이 결정적이었다. 그는 부시의 메시지를 관리했고, 대통령 당선 후엔 부비서실장과 홍보고문 등으로 맹활약했다.

 

오바마 대통령에겐 시카고사단의 6년 선배인 데이비드 액설로드(David Axelrod)가 있다. 그는 원래는 오바마의 당내 경쟁자인 힐러리 클린턴과의 인연이 있었다. 간질병을 앓고 있는 딸, 그리고 간질병환자를 위한 기금 조성에 기여해 온 힐러리 클린턴과의 개인적 인연과 부인의 만류에도 불구하고 결국 오바마 캠페인에 참여한다. 그는 오바마와 비전을 나누는 친구 같은 전략가로 자리매김하고, 선거전략과 특히 미디어 관계를 이끌었다. ‘5분 동영상’ 인터넷홍보 등 SNS를 총지휘하는 한편, 오바마의 정책과 이미지의 일관성 유지에 큰 역할을 수행한다.

 

정치는 형극의 길이다. 그 길을 가면서 리더는 수많은 위기를 겪고 수많은 결정을 해야 한다. 역대 미국 대통령선거를 보면, ‘오랜 인연’으로 삶의 비전과 대통령의 철학을 함께 나눈 브로맨스가 있었다. 그들과 함께 어려운 결정을 해나가며 위기를 돌파해 나갔다. 그 브로맨스는 각자의 역할에 따라 언론관계 및 홍보, 정무조정, 전략설정, 위기관리의 역할을 수행했다.

 

그러나 그 기저에는 공통적으로 대통령 후보의 ‘숨은 이야기’를 실제 나누고 ‘함께 또는 대리하여 행동’할 수 있는 평생 동지애가 깔려있다.

 

그 관계는 정치적 도전 이전부터, 또는 적어도 대통령후보 이전부터 설정된 자연스레 익어진 관계에서 시작되며 대통령이 된 후엔 국가의 성공을 함께 일구는 관계로 더 무르익기도 한다. 

 

우리의 대통령선거사에서도 대통령과 관계가 깊은 몇몇의 브로맨스가 회자되곤 했다. 이를테면 노무현 대통령의 김병준, 이명박 대통령의 정두언, 문재인 대통령의 김경수 같은 이들이 대표적인 예일 것이다. 

 

금번 대선전에서도 이재명 후보나 윤석열 후보에게 브로맨스가 있을까?

 

당연히 있어야 한다. 형극의 길을 뜨거운 우정과 유대의 동지애로 함께 걸어 갈 브로맨스는 반드시 필요하다. 그래서 선거는 그 브로맨스간의 싸움이기도 하다.

 

[편집자 주 : 외부 칼럼은 본지의 편집 방향과 다를 수 있습니다.]

 

저작권자 Ⓒ시사뉴스
제보가 세상을 바꿉니다.
sisa3228@hanmail.net





커버&이슈

더보기
‘2025 서울건축박람회’ 개막...건축주·인테리어 수요자 참여
[시사뉴스 홍경의 기자] 건축·인테리어·전원주택 전문 전시회 ‘2025 서울건축박람회’가 6일부터 오는 9일까지 학여울역 세텍(SETEC) 전시장 전관에서 개최된다. ‘서울경향하우징페어’는 올해부터 ‘서울건축박람회’로 명칭을 변경하고, 인테리어 수요자와 건축주 모두를 위한 전시로 새롭게 개편됐다. 특히 이번 박람회에는 국내 유수의 인테리어 브랜드와 관련 업체가 대거 참가해, 주거 및 상업공간 인테리어에 관심 있는 참관객들의 높은 기대에 열렸다. 서울건축박람회는 전원주택과 인테리어를 중심으로 한 실수요자 맞춤형 건축전시회로서 주거 공간을 직접 설계하고, 개선하고자 하는 이들을 위한 실질적인 정보와 인사이트를 제공하는 전시회이다. 특히, 옥외전시장을 활용한 계절별 기획 전시를 선보이며, 실내외를 아우르는 하이브리드형 전시회로 한층 진화됐고, 단열, 난방, 에너지 절감 등 현장에서 직접 경험할 수 있는 다양한 솔루션이 소개됐다. 전시 품목으로는 내외장재/구조재/단열재, 난방/보일러/펌핑/환기설비재, 도장/방수재, 조경/공공시설재, 조명/전기설비재, 체류형쉼터/이동식주택, 주택설계시공, 창호/하드웨어, 건축공구/관련기기, 홈네트워크시스템 등 건축과 인테리어 전반을

정치

더보기
북한, 미국 제재에 상응 조치 예고 하루 만에 탄도미사일 발사..일본 “EEZ 밖에 낙하 추정”
[시사뉴스 이광효 기자] 북한이 미국의 제재 조치에 대해 상응 조치를 예고한 지 하루 만에 탄도미사일을 발사했다. 합동참모본부는 7일 “오늘 낮 12시 35분경 북한 평안북도 대관군 일대에서 동해상으로 발사된 단거리 탄도미사일로 추정되는 발사체 한 발을 포착했다”며 “미사일은 약 700km 비행했으며 정확한 제원에 대해서는 한미가 정밀분석 중이다”라고 밝혔다. 합동참모본부는 “한미 정보당국이 북한의 미사일 발사 준비 동향을 사전에 포착해 감시해 왔으며 발사 즉시 탐지 후 추적했다. 미국·일본 측과 관련 정보를 긴밀하게 공유했다”며 “우리 군은 굳건한 한미 연합방위태세하에 북한의 다양한 동향에 대해 예의주시하면서 어떠한 도발에도 압도적으로 대응할 수 있는 능력과 태세를 유지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일본 방위성도 이날 보도자료를 발표해 “북한은 오늘 12시 34분경 북한 서해안에서 1발의 탄도미사일을 동방향을 향해 발사했다”며 “자세한 내용은 현재 한미일에서 긴밀하게 연계해 분석 중이지만 발사된 탄도미사일은 최고 고도 약 50km 정도로 약 450km를 넘어 비상해 낙하한 곳은 한반도 동쪽의 일본의 배타적 경제수역(EEZ, Exclusive Economic Zo


사회

더보기
울산 화력발전소 붕괴 사고...철근·잔해물 뒤엉켜 구조 난항
[시사뉴스 홍경의 기자] 한국동서발전 울산발전본부 울산화력발전소 보일러타워 붕괴 사고 현장 브리핑에서 "석면, 유리, 섬유 등이 뒤덮여 있어 공간이 굉장히 협소하고, 소방대원들이 일일이 손으로 헤쳐서 구조작업 중에 있다"고 지난 7일 밝혔다. 소방당국은 실제 공개된 구조 현장에는 철근과 잔해물이 뒤엉켜 구조대원의 진입 자체가 힘든 모습이었다. 소방대원들은 잔해물 사이 좁은 틈에 직접 들어가 철근을 절단하고, 땅을 파내는 방식으로 수색 작업을 진행 중이다. 이 때문에 매몰자 위치가 파악돼도 구조까지 상당 시간이 소요되고 있다. 현재까지 위치가 파악된 작업자는 7명 중 5명이다. 소방당국은 사고 구조물을 A, B, C, D 구역으로 나눠 작업자 구조에 나서고 있다. 전날 발견된 작업자 2명은 각각 타워의 B구역과 D구역에서 발견됐다. 이들은 비교적 일찍 발견돼 구조작업이 이뤄졌으나, 현재까지도 구조물에 매몰된 상태다. 이 중 40대 작업자 1명은 팔 부분이 끼인 상태로 발견돼 전날까지 소방대원과 대화를 나눌 정도로 의식이 있었다. 그러나 장시간 매몰돼 있으면서 심정지가 발생했고, 심폐소생술이 이뤄졌으나 7일 오전 4시 53분 현장에서 사망했다. 또 다른 작업자

문화

더보기

오피니언

더보기
【박성태 칼럼】 진짜 부동산 대책은 ‘가만 놔두는 것’이다
정부가 또다시 부동산 대책을 내놓았다. 표면적인 이유는 언제나처럼 ‘부동산 시장 안정’과 ‘투기 근절’이다. 하지만 이번 10‧15 부동산 대책의 내용을 들여다보면, 과연 이것이 시장 안정을 위한 것인지, 아니면 그저 시장 자체를 마비시키려는 것인지 의구심을 금할 수 없다. 이번 대책의 핵심 논리는 ‘풍선 효과’를 원천 차단하겠다는 것이다. 강남 3구 집값이 오르니, 그 불길이 번진 마포·용산·성동구를 잡고, 나아가 서울 전역을 조정대상지역이라는 족쇄로 묶어버렸다. 과천과 분당이 들썩이자, 그와는 무관한 인근 경기도 12개 지역까지 모조리 규제지역으로 편입시켰다. 이는 문제의 본질을 완전히 잘못 짚은 ‘연좌제식 규제’이자 ‘과잉 대응’이다. 첫째, 특정 지역의 가격 상승은 그 지역 나름의 복합적인 수요 공급 논리에 따라 발생한다. 강남의 가격 상승 논리와 서울 외곽 지역의 논리는 엄연히 다르다. 단지 행정구역이 ‘서울’ ‘수도권’이라는 이유만으로 모든 지역에 동일한 대출 규제(LTV, DTI), 세금 중과, 청약 제한을 가하는 것은, 빈대 몇 마리를 잡겠다며 초가삼간을 태우는 격이다. 둘째, 이러한 전방위적 규제는 ‘현금 부자’가 아닌 평범한 실수요자와 선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