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기사

2025.11.26 (수)

  • 맑음동두천 4.1℃
  • 맑음강릉 8.6℃
  • 박무서울 4.3℃
  • 맑음대전 7.1℃
  • 박무대구 5.6℃
  • 연무울산 6.9℃
  • 구름많음광주 8.3℃
  • 맑음부산 8.3℃
  • 구름많음고창 7.5℃
  • 흐림제주 10.6℃
  • 구름많음강화 2.6℃
  • 맑음보은 6.2℃
  • 맑음금산 6.5℃
  • 맑음강진군 7.3℃
  • 맑음경주시 7.0℃
  • 맑음거제 8.4℃
기상청 제공

사회

누적 접종 완료자 3697만명 넘어…전체 인구 대비 72%

URL복사

 

[시사뉴스 한지혜 기자] 전날 25만명 이상이 코로나19 백신 예방접종을 모두 마치면서 누적 접종 완료자가 3697만명을 넘어섰다. 전체 인구 72%가 예방접종을 완료했다.

28일 코로나19 예방접종대응추진단(추진단)에 따르면 전날인 27일 하루 접종 완료자는 25만5616명 늘어 누적 3697만850명이다.

전체 인구(5134만9116명·2020년 12월 주민등록 거주자 인구) 대비 72.0%, 만 18세 이상 83.7%가 백신별 기본 횟수를 모두 접종했다.

백신별 접종 완료자는 화이자-바이오엔테크 12만5999명, 모더나 12만205명, 얀센 1029명, 아스트라제네카-옥스퍼드대 8383명(화이자 교차 접종 2360명 포함) 등이다.

얀센 접종자는 '1차 접종'과 '접종 완료' 통계에 모두 추가되지만, 접종 건수는 1건으로 기록된다.

연령별 접종 완료율을 보면 50세 이상은 91.5%다. 세부적으로 60대가 93.2%로 가장 높고, 50대 92.4%, 70대 92.1%, 80세 이상 81.6% 순이다. 40대 이하에선 40대 78.8%, 18~29세 75.4%, 30대 74.0%, 17세 이하 0.2%의 접종 완료율을 보인다.

1차 접종자는 7만6802명 증가한 4097만884명이다. 지난 2월26일부터 244일 동안 전체 인구 대비 79.8%, 18세 이상 92.0%가 1회 이상 접종을 받았다.

신규 접종자는 화이자 6만8815명, 모더나 6791명, 아스트라제네카 167명 등이다.

 

전날 네이버·카카오 당일 신속 예약서비스 또는 의료기관 예비명단을 활용한 잔여백신 접종자는 1차 2만9232명, 완료 2만1057명이다.

이날 0시 기준 16~17세 예약 대상자 87만9354명 중 55만9981명이 예약을 마쳐 63.7%의 예약률을 보였다. 이 중 전날 하루 동안 4만6371명이 새로 접종해 16~17세 1차 접종자는 누적 31만1933명이다.

12~15세 예약 대상자 186만5554명 중에서는 46만4814명이 예약해 24.9%의 예약률을 기록했다. 

임신부는 3153명이 사전예약을 마쳤다. 이 중 37명이 새로 접종받아 누적 접종자는 914명이다.

코로나19 치료병원 종사자를 대상으로 한 추가 접종(부스터샷)은 하루 새 3460명 늘어 지난 12일부터 누적 3만3779명이다.

60세 이상 고령층과 고위험군 추가 접종 예약자는 누적 94만8351명이다. 이 중 전날에는 8177명이 추가 접종까지 마쳐 추가 접종 완료자는 누적 2만3725명이다. 

 

백신 접종 후 이상반응 신고율은 접종 초기보다 낮은 0.45% 수준으로 유지되고 있다.

추진단에 따르면 지난 24일 0시 기준 전체 코로나19 예방접종 7528만7995건 중 이상반응이 신고된 건수는 33만8261건(0.45%)이다. 이는 접종 초기(1주차 1.84%)보다 낮은 수준이다. 차수별 신고율은 1차 0.53%, 2차 0.35%다.

신고 사례 중 근육통, 두통, 메스꺼움과 같은 일반 이상반응이 전체의 96.3%인 32만5808건이다. 사망과 같은 중대한 이상반응은 1만2453건(3.7%)이다.

백신별 신고율은 아스트라제네카 0.52%(1차 0.74%, 2차 0.25%), 화이자 0.37%(1차 0.41%, 2차 0.33%), 모더나 0.63%(1차 0.59%, 2차 0.69%), 얀센 0.58% 등이다.

접종 1만건당 성별 신고율은 남성이 31.3건, 여성이 57.9건으로, 여성의 신고율이 더 높았다. 연령별 신고율은 접종 1만건당 30대가 56.6건으로 가장 높았다. 연령대가 높을수록 신고율은 낮게 나타났다.

화이자 또는 모더나 mRNA(메신저 리보핵산) 백신 접종 후 심근염이나 심낭염 의심으로 신고된 건수는 405건이다. 이 가운데 지난 21일까지 진단 정확성을 검토한 319건 중 118건만 심근염과 심낭염 사례로 확인됐다. 백신별로 화이자 93건, 모더나 25건이다.

지난 7월19일부터 이달 23일까지 고등학교 3학년 대상 화이자 백신 접종 88만6737건 중 진단의 정확성이 요구되는 30건을 다시 검토한 결과 17건만 심근염 또는 심낭염 사례로 판정됐다. 남성이 15건(1차 7건, 2차 8건), 여성이 2건(2차 2건)으로, 남성에서 많이 나타났다.

 

지난 22일까지 예방접종피해조사반 회의에 상정된 이상반응 3195건 가운데 사망 2건, 중증 5건, 아나필락시스 440건 등 447건만 인과성이 인정됐다.

다른 사망 4건과 중증 44건 등 48건은 근거가 불충분한 사례로 평가됐다. 당국은 현재 근거가 불충분한 이상반응 사례를 대상으로 1000만원 이내의 의료비 등을 지원하고 있다. 해당 사례는 추후 근거가 확보되면 재평가할 예정이다.

제35차 회의에서 새로 심의된 사망 35건, 중증 42건, 아나필락시스 57건 중 아나필락시스 17건만 인과성이 인정됐다. 그 외 급성심근염으로 인한 사망 1건, 중증 이상반응인 급성심근염 3건과 급성·심근심낭염 1건은 근거가 불충분 사례로 평가됐다.

신규 사망 사례 35건의 평균 연령은 63.8세였다. 이 가운데 24건(68.6%)은 고혈압, 당뇨, 고지혈증, 뇌혈관질환과 같은 기저질환을 앓는 환자였다. 사망자들이 접종한 백신은 화이자 24건, 아스트라제네카 10건, 모더나 1건 등이다.

신규 중증 신고사례 42건의 평균 연령은 57.4세였으며, 접종부터 증상 발생까지 평균 12.3일이 걸렸다. 28건(66.6%)은 기저질환자였다. 이들의 접종한 백신은 아스트라제네카 18건, 화이자 17건, 모더나 6건, 아스트라제네카-화이자 교차 접종 1건 등이다.

저작권자 Ⓒ시사뉴스
제보가 세상을 바꿉니다.
sisa3228@hanmail.net





커버&이슈

더보기

정치

더보기
국민의힘, 내란전담재판부 설치에 “헌법 대놓고 위반...더불어민주당은 사법파괴 멈춰라”
[시사뉴스 이광효 기자] 국민의힘이 더불어민주당에 내란전담재판부 설치 추진 중단을 촉구했다. 국민의힘 최수진 원내수석대변인은 25일 국회에서 논평을 해 “내란전담재판부 설치는 헌법 제27조 ‘법률이 정한 법관’ 규정과 제101조 ‘법원의 각급 법원 조직’을 대놓고 위반하고 있다. 또한, 오직 군사법원만을 특별법원으로 둘 수 있다고 명시한 헌법 110조와도 충돌한다”며 “그런데도 더불어민주당의 뜻에 따라 이미 진행 중인 재판에 대해 정치권이 요구한다고 임의의 특별재판부가 만들어진다면 그 자체가 사법의 정치화이고 헌법이 보장한 재판 독립성을 훼손하는 것이다. 권력자의 요구에 따라 답을 정해 놓고 원하는 판결을 내놓으라는 협박에 불과하다”고 말했다. 현행 헌법 제27조제1항은 “모든 국민은 헌법과 법률이 정한 법관에 의하여 법률에 의한 재판을 받을 권리를 가진다”고, 제101조제1항은 “사법권은 법관으로 구성된 법원에 속한다”고, 제2항은 “법원은 최고법원인 대법원과 각급법원으로 조직된다”고, 제110조제1항은 “군사재판을 관할하기 위하여 특별법원으로서 군사법원을 둘 수 있다”고 규정하고 있다. 최수진 원내수석대변인은 “더불어민주당에 충고한다. 내란전담재판부 추진


사회

더보기

문화

더보기
타악그룹 언락, 역사 연희극 ‘낙향’ 공연
[시사뉴스 정춘옥 기자] 타악그룹 언락은 오는 11월 30일(일) 오후 4시 안성맞춤랜드 반달마당에서 역사 연희극 ‘낙향 : 희망의 꽃을 피우다’ 공연을 무료로 선보인다. ‘낙향 : 희망의 꽃을 피우다’는 일제강점기라는 어두운 시대 속에서도 역사와 전통을 지켜낸 선조들의 용기와 투쟁을 담아낸 작품이다. 일제의 억압과 문화 말살 정책에 맞서 정체성과 문화를 지켜내려 했던 이들의 삶을 생생히 무대화해 관객들에게 깊은 울림을 전할 예정이다. 해당 작품은 지난해에 이어 올해도 ‘경기예술지원 모든예술31’ 사업에 선정되며 작품성을 다시 인정받았다. 주최·주관을 맡은 타악그룹 언락은 작년보다 한 단계 더 완성도 높은 무대를 목표로 준비 중이다. 지난해 실시된 관객 만족도 조사에서도 전 세대를 아우르는 긍정적 반응이 이어졌다. 특히 어린이부터 노년층까지 폭넓은 연령대가 작품의 메시지와 구성에 공감을 보인 것으로 나타났다. 한 학부모는 공연을 관람한 자녀가 ‘저 삼촌들은 아리랑 불렀다고 잡혀가는 거야? 저 삼촌들이 나쁜 사람이야?’라고 묻는 등 작품 속 역사적 상황을 스스로 이해하려는 모습을 보였다고 전했다. 이러한 반응은 단순한 공연을 넘어 역사를 처음 접하는 어린 관객

오피니언

더보기
【박성태 칼럼】 또 만지작…전국을 부동산 투기장으로 만들 건가
또 다시 ‘규제 만능주의’의 유령이 나타나려 하고 있다. 지난 10.15 부동산 대책 이후 규제 지역에서 제외되었던 경기도 구리, 화성(동탄), 김포와 세종 등지에서 주택 가격이 급등하자, 정부는 이제 이들 지역을 다시 규제 지역으로 묶을 태세이다. 이는 과거 역대 정부 때 수 차례의 부동산 대책이 낳았던 ‘풍선효과’의 명백한 재현이며, 정부가 정책 실패를 인정하지 않고 땜질식 처방을 반복하겠다는 선언과 다름없다. 규제의 굴레, 풍선효과의 무한 반복 부동산 시장의 불패 신화는 오히려 정부의 규제가 만들고 있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한 곳을 묶으면, 규제를 피해 간 옆 동네가 달아오르는 ‘풍선효과’는 이제 부동산 정책의 부작용을 설명하는 고전적인 공식이 되어버리고 말았다. 10.15 부동산대책에서 정부가 서울과 수도권 일부를 규제 지역으로 묶자, 바로 그 옆의 경기도 구리, 화성, 김포가 급등했다. 이들 지역은 서울 접근성이 뛰어나거나, 비교적 규제가 덜한 틈을 타 투기적 수요는 물론 실수요까지 몰리면서 시장 과열을 주도했다. 이들 지역의 아파트 값이 급등세를 보이자 정부는 불이 옮겨붙은 이 지역들마저 다시 규제하려는 움직임을 보이고 있다. 만약 이들 지역도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