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기사

2025.07.27 (일)

  • 맑음동두천 32.0℃
  • 맑음강릉 33.9℃
  • 맑음서울 32.7℃
  • 맑음대전 32.8℃
  • 맑음대구 31.6℃
  • 맑음울산 31.0℃
  • 맑음광주 32.3℃
  • 구름조금부산 31.5℃
  • 맑음고창 33.1℃
  • 구름조금제주 29.9℃
  • 맑음강화 30.8℃
  • 맑음보은 30.5℃
  • 맑음금산 30.8℃
  • 맑음강진군 33.3℃
  • 맑음경주시 31.9℃
  • 구름조금거제 29.1℃
기상청 제공

국제

일본 코로나 신규감염 2134명·사흘째 2천명대 '감소'...총 169만5477명

URL복사

 

오사카 386명 도쿄 299명 가나가와 193명 아이치 166명 사이타마 131명
일일 사망 도쿄 11명 지바 2명 교토 1명 등 21명·누적 1만7499명

 

[시사뉴스 신선 기자] 일본에서 코로나19 신규환자가 사흘째 2천명대로 떨어지고 사망자도 21명으로 전날보다 10명 넘게 줄었다.

 

NHK와 지지(時事) 통신 등은 각 지방자치단체와 후생노동성의 발표를 집계한 결과 26일 들어 오후 7시55분까지 2134명이 코로나19에 새로 걸렸다고 전했다.

 

오사카부에서 386명, 도쿄도 299명, 가나가와현 193명, 아이치현 166명, 사이타마현 131명, 효고현 115명, 지바현 106명, 후쿠오카현 104명, 오키나와현 71명, 홋카이도 54명, 교토부 53명, 이바라키현 47명, 시즈오카현 36명, 히로시마현 33명, 도치기현 26명, 미에현 25명, 나라현 24명, 군마현 19명, 오이타현 18명,  미야기현 16명, 구마모토현 14명, 나가노현 12명, 시가현 11명, 오카야마현 10명, 후쿠시마현 8명, 미야자키현 5명, 가고시마현 2명 등 감염자가 발생해 누계 확진자는 169만5000명을 넘었다.

 

일일환자는 7월 15일 3417명, 16일 3432명, 17일 3885명, 18일 3101명, 19일 2328명, 20일 3755명, 21일 4942명, 22일 5395명, 23일 4225명, 24일 3574명, 25일 5017명, 26일 4689명, 27일 7629명, 28일 9572명, 29일 1만697명, 30일 1만743명, 31일 1만2339명, 8월 1일 1만173명, 2일 8391명, 3일 1만2014명, 4일 1만4165명, 5일 1만5213명, 6일 1만5634명, 7일 1만5747명, 8일 1만4468명, 9일 1만2068명, 10일 1만570명, 11일 1만5804명, 12일 1만8890명, 13일 2만361명, 14일 2만148명, 15일 1만7826명, 16일 1만4850명, 17일 1만9948명, 18일 2만3915명, 19일 2만5145명, 20일 2만5867명, 21일 2만5485명, 22일 2만2288명, 23일 1만6834명, 24일 2만1558명, 25일 2만4309명, 26일 2만4955명, 27일 2만4192명, 28일 2만2738명, 29일 1만9294명, 30일 1만3625명, 31일 1만7698명, 9월 1일 2만20명, 2일 1만8215명, 3일 1만6727명, 4일 1만6005명, 5일 1만2906명, 6일 8227명, 7일 1만602명, 8일 1만2384명, 9일 1만395명, 10일 8884명, 11일 8799명, 12일 7209명, 13일 4169명, 14일 6273명, 15일 6804명, 16일 5703명, 17일 5092명, 18일 4697명, 19일 3398명, 20일 2222명, 21일 1766명, 22일 3243명, 23일 3602명, 24일 2091명, 25일 2674명을 기록했다.

 

일본 국내 감염자 중 도쿄도에서 11명, 지바현과 사이타마현 각 2명, 오사카부와 교토부, 아이치현, 후쿠오카현, 이바라키현, 도야마현 1명씩 합쳐서 21명이 목숨을 잃어 총 사망자가 1만7486명으로 늘어났다.

 

크루즈선 승선 사망자 13명을 더하면 1만7499명이 지금까지 숨졌다.

일본 내 코로나19 환자는 전세기편으로 중국에서 귀국한 다음 감염이 확인된 14명과 공항 검역 과정에서 확진자로 드러난 사람을 포함해 169만4765명이다.

 

여기에 집단발병으로 요코하마(橫浜)항에 격리 정박했던 대형 유람선(크루즈) 다이아몬드 프린세스호에 탔던 승객과 승조원 환자 712명을 합치면 총 확진자는 169만5477명이다.

 

일본에서 코로나19에 감염한 일본인과 중국인 여행객, 귀국 환자 등 169만4765명의 분포를 보면 도쿄도가 37만4529명으로 전체 4분의 1에 육박하고 있다.

 

이어 오사카부가 19만8469명, 가나가와현 16만7080명, 사이타마현 11만4246명, 아이치현 10만5044명, 지바현 9만9225명, 효고현 7만6898명, 후쿠오카현 7만3752명, 홋카이도 6만122명, 오키나와현 4만9385명, 교토부 3만5299명, 시즈오카현 2만6507명, 이바라키현 2만4021명, 히로시마현 2만1495명, 기후현 1만8254명, 군마현 1만6522명, 미야기현 1만6151명, 나라현 1만5311명, 도치기현 1만5139명, 오카야마현 1만5061명, 미에현 1만4573명, 구마모토현 1만4216명, 시가현 1만2162명, 후쿠시마현 9423명 등이다.

 

공항 검역에서 감염이 확인된 4164명, 중국에서 전세기로 귀국한 사람과 정부직원, 검역관 등 173명이 있다.

감염자 가운데 인공호흡기를 달거나 집중치료실에 있는 중증환자는 26일까지 일본 내에만 전날보다 52명 줄어든 1133명이 됐다.

 

병세가 좋아져 퇴원한 환자는 26일까지 일본 안에서 걸린 확진자 중 163만3775명, 다이아몬드 프린세스 승선자가 659명으로 총 163만4434명이다.

 

PCR(유전자 증폭) 검사 시행 건수는 23일에 자가검사를 제외한 속보치로 2만4827건으로 집계됐다.

저작권자 Ⓒ시사뉴스
제보가 세상을 바꿉니다.
sisa3228@hanmail.net





커버&이슈

더보기

정치

더보기

경제

더보기

사회

더보기

문화

더보기
한 가족의 삶을 통해 대한민국 근현대사 100년을 통찰하다
[시사뉴스 정춘옥 기자] 페스트북은 정일남 작가의 소설 ‘반갑다, 지리산 무지개여!: 격동기를 살아낸 한민족의 이야기’를 올해의 추천 도서로 선정했다. 이 책은 일제강점기와 6·25전쟁, 강제 노역과 해방을 거치며 한반도를 휘몰아친 격동의 역사를 평범한 민초의 삶을 통해 그려낸 역사소설이다. 정일남 작가는 노스텍사스대학에서 화학 박사 학위를 받은 후 평생을 화학 연구자로 살았다. 정년 퇴임 이후에는 벤처기업 JSI실리콘을 설립했다. 그는 “오늘날 대한민국이 이룬 발전이 결코 저절로 얻어진 것이 아님을, 개개인의 수많은 노력과 희생 위에 세워진 것임을 이해하는 데 도움이 됐으면 한다”며 “또한 지나온 역사 속에서 미처 깨닫지 못했거나 바로잡아야 할 부분들을 함께 성찰하고, 어떤 마음가짐으로 미래를 향해 나아가야 할지 고민하는 작은 계기가 되었으면 하는 바람”이라고 출간 소감을 전했다. 페스트북 편집부는 ‘반갑다, 지리산 무지개여!’는 위대한 영웅이 아닌 지리산 부근에 사는 한 가족의 삶을 통해 대한민국 근현대사 100년을 통찰하는 소설로, 그들의 삶과 슬픔, 저항을 날 것의 모습 그대로 꾹꾹 눌러 담았다며, 강제 노역과 전쟁, 분단의 파고를 지나야 했던 사람들

오피니언

더보기
【박성태 칼럼】 의대생 전공의 복귀하려면 무조건 사과부터 해야
지난해 ‘의대 정원 2000명 증원’에 반발해 집단 이탈했던 의대생과 전공의들이 지난 14일 전격 복귀 의사를 밝히면서 17개월 만에 의정 갈등이 마침표를 찍게 될 가능성이 높아졌다. 다만 복귀자들에 대한 학사일정조정, 병역특례, 전공의 시험 추가 응시기회 부여 등 특혜 시비를 슬기롭게 해결하지 못하면 의정갈등의 불씨는 계속 남아있게 된다. 새로운 정부가 들어서면서 1년5개월 만에 해결의 실마리를 찾고 있는 의정 갈등의 해법은 의대생, 전공의들이 무조건 국민과 환자들에게 의정 갈등으로 인한 진료 공백 사태에 대해 사과부터 하고 그 다음 복귀 조건을 제시하는 수순을 밟는 것이다. 지난해 2월부터 발생한 의정 갈등은 정부가 고령화 시대 의료 수요 증가와 지역·필수의료 부족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의대 정원 2000명 증원과 지역의료 강화, 필수 의료 수가 인상 등을 묶어 필수 의료 정책 패키지 추진을 강행하면서부터 시작됐다. 의료계는 이에 대해 의사 수 부족이 아닌 ‘인력 배치’의 불균형 문제이며, 의료개혁이 충분한 협의 없이 졸속으로 추진되었다고 반발하며 집단행동에 나섰다. 의료계는 의사 수 증가가 오히려 과잉 진료와 의료비 증가를 야기할 수 있다고 주장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