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기사

2025.07.06 (일)

  • 구름많음동두천 27.7℃
  • 흐림강릉 29.4℃
  • 구름조금서울 29.1℃
  • 구름조금대전 30.2℃
  • 맑음대구 32.3℃
  • 연무울산 29.4℃
  • 맑음광주 31.6℃
  • 구름조금부산 26.6℃
  • 구름조금고창 32.1℃
  • 맑음제주 29.6℃
  • 흐림강화 26.9℃
  • 구름많음보은 28.2℃
  • 구름조금금산 30.3℃
  • 구름많음강진군 30.8℃
  • 구름조금경주시 32.9℃
  • 구름조금거제 28.1℃
기상청 제공

문화

바이올리니스트 김응수, 음반 발매 기념 리사이틀 개최

URL복사

[시사뉴스 정춘옥 기자] 바이올리니스트 김응수의 뛰어난 곡 해석력을 바탕으로 바이올린의 아름다운 매력을 느낄 수 있는 무대가 찾아온다. 이번 공연은 7일 발매한 앨범 수록곡이 포함돼있으며, 바이올리니스트 김응수의 아름답고 섬세한 선율로 관객에게 다가갈 예정이다.

바이올리니스트 김응수 음반 발매 기념 리사이틀이 24일(금) 오후 7시 30분 예술의전당 IBK챔버홀에서 열린다.

바이올리니스트 김응수는 유럽을 중심으로 세계 곳곳에서 왕성한 활동을 펼치고 있다. 그의 연주를 들은 저널리스트 베른트 호페는 “20세기 전설적인 연주자 다비드 오이스트라흐를 연상케 하는 새로운 마에스트로다”라고 극찬한 바 있다.

이탈리아 지네티 국제콩쿠르 1위, 그리스 마리아 카날스 국제콩쿠르 1위, 티보르바르가 국제 바이올린 콩쿠르 2위 등 유수의 국제 콩쿠르에서 우승 및 입상했다. 해외 초청공연으로 △스위스 비일 심포니 오케스트라 △독일 궤팅엔 심포니 오케스트라 △체코 프라하 챔버 오케스트라 등과 협연했고, 한국에서는 △KBS교향악단 △서울바로크합주단 △부산시향 △울산시향 △충남도향 △창원시향 △대구시향 등과 협연했다.

2012년부터는 오스트리아 레히 클래식 페스티벌의 예술감독 및 메인 연주자로 활동하고 있고, 2017년 Sehnsucht (동경)라는 타이틀로 Decca에서 무반주 음반이 발매됐으며, 2018년에 이어 2019년 브라질 그라마도 뮤직 페스티벌의 상주 연주가로 재초청 됐다.

김응수는 서울예고를 졸업 후 도오해 빈 국립음대, 그라즈 국립음대, 독일 하노버 국립음대를 모두 만점으로 수석 졸업했다. 국내·외를 종횡무진하며 활발한 활동을 이어가고 있는 바이올리니스트 김응수는 현재 WCN 전속 아티스트로 활발한 활동 중이며 2012년 3월부터 한양대학교 관현악과 교수로 재직 중이다.

이번 신보와 공연에서 함께하는 피아니스트 채문영은 예원학교를 수석 입학했다. 서울예고 재학 중 도영해 런던 퍼셀 음악학교를 졸업 후 영국 왕립 음악대학교에서 장학생으로 학사 및 석사 학위를 취득했다. 오스트리아 그라츠 음악대학교에서 독주 및 실내악 최고연주자 과정을 마쳤다. △틴에이저 콩쿠르 △마리아 카날스 국제 음악콩쿠르 △지네티 국제 음악콩쿠르 1위 등 다수 콩쿠르에 입상했고, △영국 사우스 뱅크 △런던 성 마틴 인 더 필드 △리젠트 홀 △독일 린다우 시립극장 등에서 독주회를 개최했다.

또한 △슬로박 필하모닉 오케스트라 △불가리아 라디오 필하모닉 오케스트라 △코리안 심포니 오케스트라 등과 협연했고, 데카 앨범으로 스크리아빈 프렐류드를 녹음했다. 2008년에는 아주라 뮤직에서 첫 듀오 음반, 2010년에는 텔로스 뮤직 레코드에서 음반을 출시했다. 비엔나 시립음악대학교에 재직했고, 전북대학교, 예원학교, 서울예고에 출강해 후진 양성에도 힘쓰고 있다.

1부 첫 번째 곡으로 △모차르트의 바이올린 소나타(Violin Sonata in e minor KV 304)가 연주된다. 두 번째 곡으로 체코 작곡가인 △야나체크의 바이올린 소나타(Sonata for Violin and Piano)가 연주된다. 세 번째 곡으로 체코를 대표하고 19세기 민족주의 악파의 거두 △드보르작의 어머니가 가르쳐준 노래(Songs My Mother Sang, Op.55, No.4) 이어 △드보르작의 네 개의 낭만적 소품(Four Romantic Pieces for Violin and Piano, Op.75)이 연주된다.

2부의 시작으로 △베토벤의 바이올린 소나타(Violin Sonata No.7, Op.30, No.2)가 연주된다. 이어 △파라디스의 시칠리안느(Sicilienne for Violin and Piano)가 연주된다. 공연의 마지막으로 프랑스 파리 출신의 작곡가 △생상스의 서주와 론도(Introduction and Rondo Capriccioso, Op.28)로 마무리 된다.

이 공연은 WCN (대표 송효숙) 주최로 티켓은 R석 5만원, S석 3만원으로 학생 할인(대학생까지 50%)이 적용된다. 티켓은 예술의전당과 인터파크에서 구매할 수 있다. 공연에 대한 문의는 더블유씨엔코리아로 하면 된다.

저작권자 Ⓒ시사뉴스
제보가 세상을 바꿉니다.
sisa3228@hanmail.net





커버&이슈

더보기
【커버스토리】 이재명 1기 내각 ‘실용·소통’ 방점
[시사뉴스 강민재 기자] 이재명 정부 1기 내각이 진용을 갖추고 있다. ‘실용·소통’에 방점을 찍은 인선은 이념·진영에 상관없이 경험과 능력 위주로 사람을 쓰겠다는 이 대통령의 철학이 담긴 것으로 보인다. 대학교수 등 학자 출신 보다는 정치인·관료·기업인 등 실무형 인사들이 주류를 이루고 있다. 이 대통령에 대한 “잘하고 있다”는 국정수행 평가는 64%에 이르고 있다. 1기 내각, ‘실용·소통’에 방점 지난 3일 기준 국토교통부와 문화체육관광부를 제외한 17개 부처 장관 인선이 완료됐다. 김민석 국무총리를 비롯하여 현역 의원이 대거 기용됐다. 정성호(법무부)·안규백(국방부)·윤호중(행정안전부)·정동영(통일부)·김성환(환경부)·전재수(해양수산부)·강선우(여성가족부) 후보자 등 8명의 국회의원이 내각에 기용됐다. 64년 만에 첫 민간인 국방부 장관 후보자인 5선 안규백 의원을 비롯해 5선의 정동영 통일부 장관 후보자, 3선의 김성환 환경부 장관 후보자, 전재수 해양수산부 장관 후보자, 재선의 강선우 여성가족부 장관 후보자 모두 관련 분야의 전문성을 가진 재선 이상의 중진 의원이다. 5선의 정성호 의원과 윤호중 의원도 각각 법무·행안부 관련 전문성을 가진 중진 의

정치

더보기
【커버스토리】 이재명 1기 내각 ‘실용·소통’ 방점
[시사뉴스 강민재 기자] 이재명 정부 1기 내각이 진용을 갖추고 있다. ‘실용·소통’에 방점을 찍은 인선은 이념·진영에 상관없이 경험과 능력 위주로 사람을 쓰겠다는 이 대통령의 철학이 담긴 것으로 보인다. 대학교수 등 학자 출신 보다는 정치인·관료·기업인 등 실무형 인사들이 주류를 이루고 있다. 이 대통령에 대한 “잘하고 있다”는 국정수행 평가는 64%에 이르고 있다. 1기 내각, ‘실용·소통’에 방점 지난 3일 기준 국토교통부와 문화체육관광부를 제외한 17개 부처 장관 인선이 완료됐다. 김민석 국무총리를 비롯하여 현역 의원이 대거 기용됐다. 정성호(법무부)·안규백(국방부)·윤호중(행정안전부)·정동영(통일부)·김성환(환경부)·전재수(해양수산부)·강선우(여성가족부) 후보자 등 8명의 국회의원이 내각에 기용됐다. 64년 만에 첫 민간인 국방부 장관 후보자인 5선 안규백 의원을 비롯해 5선의 정동영 통일부 장관 후보자, 3선의 김성환 환경부 장관 후보자, 전재수 해양수산부 장관 후보자, 재선의 강선우 여성가족부 장관 후보자 모두 관련 분야의 전문성을 가진 재선 이상의 중진 의원이다. 5선의 정성호 의원과 윤호중 의원도 각각 법무·행안부 관련 전문성을 가진 중진 의

경제

더보기

사회

더보기

문화

더보기
먼저 걸어본 사람이 들려주는, 진짜 개척의 이야기
[시사뉴스 정춘옥 기자] 좋은땅출판사가 ‘개척, 내가 먼저 걸어본 그 길’을 펴냈다. 이 책은 미국 로스앤젤레스에서 개척교회를 시작한 저자가 지난 8년간 경험한 목회의 현실을 생생하게 담아낸 실전형 간증서이자 사역 매뉴얼이다. ‘절대 개척은 하지 말자’는 다짐으로 신학을 시작했지만, 결국 하나님의 부르심에 순종해 ‘맨땅에 헤딩’하듯 개척의 길을 택한 저자는 장소 선정부터 재정 운영, 팬데믹의 충격, 사람과의 갈등까지 개척 현장에서 마주하는 모든 과정을 솔직하게 풀어놓는다. 단순한 성공담이 아니라 실패하지 않기 위한 전략과 끝까지 버티는 용기를 나누는 데 중점을 뒀다는 점이 이 책의 가장 큰 특징이다. 특히 “교회는 성도를 내보내야 한다”는 저자의 철학은 교회 공동체의 본질을 다시 생각하게 하며, 개척교회를 ‘성장’보다 ‘존재의 의미’로 바라보게 한다. 이 책은 지금도 교회 개척을 고민하는 많은 목회자들에게 실질적인 조언과 공감, 그리고 동역자의 위로가 되어줄 것이다. ‘개척, 내가 먼저 걸어본 그 길’은 신학교에서 배울 수 없는 개척의 현실을 공유하며, 이제 막 첫발을 내딛는 이들에게 든든한 나침반이 돼준다. 무엇보다도 이 책은 ‘먼저 걸어본 사람이기에 들려

오피니언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