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기사

2023.03.20 (월)

  • 맑음동두천 13.5℃
  • 맑음강릉 18.1℃
  • 구름많음서울 13.9℃
  • 구름많음대전 15.2℃
  • 구름많음대구 18.2℃
  • 구름많음울산 15.1℃
  • 흐림광주 15.5℃
  • 구름많음부산 14.2℃
  • 구름많음고창 10.3℃
  • 흐림제주 14.6℃
  • 구름많음강화 9.0℃
  • 구름많음보은 16.3℃
  • 구름많음금산 14.3℃
  • 구름많음강진군 14.0℃
  • 구름많음경주시 16.7℃
  • 구름많음거제 13.6℃
기상청 제공

지역네트워크

POSTECH 김예슬 학생 ‘나노코리아 2021’서 금상 수상

URL복사

 

[시사뉴스 정은주 기자] POSTECH(포항공과대학교, 총장 김무환) 기계공학과 통합과정 김예슬 씨(지도교수: 기계공학과·화학공학과 노준석)가 최근 산업통상자원부와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주관으로 열린 ‘나노 코리아 2021(NANO KOREA 2021)’에서 금상을 받았다.
 
나노코리아2021은 나노기술 개발을 촉진하고 연구자의 사기를 북돋기 위해 개최되는 심포지엄으로, 이번 심포지엄에서는 일반 참가자(초청 발표 제외) 중 우수 발표자를 선정해 대상 1명, 금상 2명, 은상 3명을 수여했다. 

 

김 씨가 발표한 논문 ‘카이랄 광결정 구조에서의 스핀-밸리 표면파 (Spin-valley Locked Edge States in Chiral Photonic Crystal)’는 양자 스핀 홀 효과와 밸리 홀 효과를 동시에 가지는 ‘스핀 밸리 고정 키랄 광결정’을 설계함으로써, 특정 주파수를 갖는 광자를 스핀과 밸리 상태에 따라 방향성 있게 전파시킬 수 있음을 보였다. 김 씨는 이 연구를 통해 매우 효율적이고 강력한 신호 전송에 대한 놀라운 가능성을 열었다는 평가를 받으며 나노 코리아 2021에서 금상을 차지하는 영예를 안았다. 

 

김 씨는 “큰 학술대회에서 발표할 수 있는 좋은 기회를 주셔서 감사하다”며 “앞으로 저희의 연구가 광통신 및 토폴로지 스핀트로닉스와 같은 다양한 영역에 적용될 수 있도록 꾸준히 노력하겠다”고 말했다. 

저작권자 Ⓒ시사뉴스
제보가 세상을 바꿉니다.
sisanews@kakao.com




배너


커버&이슈

더보기

정치

더보기
대통령실, '주 69시간' 논란에 "윤 대통령 '주 60시간' 가이드라인 아닌 정책 보완 과정"
[시사뉴스 홍경의 기자] 대통령실은 '근로시간 개편안' 논란이 좀처럼 수그러들지 않자 '최대 주 69시간 근로'라는 제도는 존재하지 않으며 윤석열 대통령이 '주60시간 이상은 무리'라고 한 언급도 가이드라인이 아닌, 정책 보완 과정에 있다고 강조했다. 대통령실 고위 관계자는 20일 용산 대통령실 청사에서 취재진과 만나 "윤 대통령이 주 60시간은 무리라고 말한 건 그렇게 일하는 자체가 힘들지 않겠냐는 개인적 생각에서 말씀하신 것이지 논의의 가이드라인을 주시고자 하는 의도가 아니었다"고 설명했다. 이어 "대통령 말씀을 유추해보면 의견 수렴을 해보면 60시간이 아니고 그 이상 나올 수도 있고, 캡(상한)이 적절치 않다면 대통령도 고집할 이유가 없다고 본다"고 했다. 또 "대통령이 60시간 상한 캡을 언급했다해서 논의가 60시간 이하, 59시간으로 갈 것이라고 예단할 필요는 없다"며 "장시간 근로에 대한 어려움을 충분히 이해하고 여러 방면에서 의견을 듣고 여론조사 등을 통해 정확히 개편안에 반영하란 뜻"이라고 거듭 강조했다. 또다른 대통령실 관계자도 "'주62시간 근로'라는 제도는 존재하지 않는다. '근로시간 유연화'다"라며 "노동 약자를 위해 입법을 시도한건데

경제

더보기

사회

더보기

문화

더보기

오피니언

더보기
【박성태 칼럼】 국가산단조성사업에 인재양성 계획은 없나…부처간 엇박자 눈에 보여
정부는 지난 15일 경기도 용인에 세계 최대 반도체 클러스터를 조성하는 등 전국에 15개 국가첨단산업단지를 새롭게 지정해 반도체·미래차·우주산업 등을 집중 육성한다고 발표했다. 이는 정부가 국가경쟁력 제고를 위해 5대 핵심분야 22개 신기술을 집중 육성키로 한 국정과제 수행의 일환으로 이번 국가산단 지정은 역대 정부에서 지정한 산단 중 최대 규모다. 정부의 계획에 따르면 2026년까지 550조원 규모의 민간투자를 유치해 총 1천200만평(4천76만㎡)규모 부지에 반도체(340조원), 디스플레이(62조원), 이차전지(39조원), 바이오(13조원), 미래차(95조원), 로봇(1조7천억원) 등 6대 국가첨단산업벨트를 조성한다는 것이다. 경기권에서는 용인 일대, 충청권에서는 대전·천안·청주·홍성이, 호남권에선 광주, 고흥, 익산, 완주, 경남권에서는 창원, 대구·경북권은 대구, 안동, 경주, 울진, 강원권에서는 강릉에 각 분야별 국가산단을 조성키로 했다. 기존 국가산단은 중앙정부 주도로 입지를 선정하고 개발했지만, 이번에는 지역에서 특화산업과 연계해 후보지를 제안한 게 특징이다. 산단 지정을 발표한 원희룡 국토부 장관은 “지방과 기업의 제안을 바탕으로 정부는 민간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