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기사

2025.07.24 (목)

  • 흐림동두천 23.0℃
  • 흐림강릉 20.8℃
  • 서울 27.9℃
  • 구름많음대전 28.0℃
  • 흐림대구 27.6℃
  • 구름많음울산 25.5℃
  • 구름조금광주 28.6℃
  • 구름조금부산 28.2℃
  • 구름조금고창 28.4℃
  • 구름많음제주 29.8℃
  • 흐림강화 26.6℃
  • 구름많음보은 23.2℃
  • 구름많음금산 27.2℃
  • 구름많음강진군 29.6℃
  • 구름많음경주시 26.8℃
  • 맑음거제 28.6℃
기상청 제공

국제

일본 코로나 신규환자 3320명 확진...사망자 35명 늘어 1만12명

URL복사

 

[시사뉴스 신선 기자] 일본에서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로 인한 오사카부와 도쿄도, 효고현, 교토부 4개 도부현에 긴급사태 선언을 재발동한 가운데 신규환자가 13일 만에 3000명대로 줄었다. 그러나 사망자가 30명 이상 생기면서 총 사망자가 1만명을 넘었다.

NHK와 지지(時事) 통신 등은 각 지방자치단체와 후생노동성의 발표를 집계한 결과 26일 들어 오후 10시25분까지 3320명이 코로나19에 새로 걸렸다고 전했다.

연일 1000명 이상 발생하던 오사카부에서 924명, 도쿄도 425명, 효고현 310명, 후쿠오카현 154명, 아이치현 161명, 가나가와현 160명, 사이타마현 109명, 교토부 119명, 지바현 90명, 홋카이도 139명 등 감염자가 발생해 누계 확진자는 57만2000명을 돌파했다.

일일환자는 3월 1일 698명, 2일 888명, 3일 1243명, 4일 1170명, 5일 1149명, 6일 1054명, 7일 1065명, 8일 600명, 9일 1127명, 10일 1313명, 11일 1317명, 12일 1271명, 13일 1319명, 14일 987명, 15일 695명, 16일 1133명, 17일 1533명, 18일 1497명, 19일 1463명, 20일 1516명, 21일 1119명, 22일 816명, 23일 1501명, 24일 1917명, 25일 1916명, 26일 2025명, 27일 2071명, 28일 1782명, 29일 1345명, 30일 2087명, 31일 2842명, 4월 1일 2605명, 2일 2757명, 3일 2773명, 4일 2468명, 5일 1572명, 6일 2665명, 7일 3450명, 8일 3498명, 9일 3490명, 10일 3766명, 11일 2843명, 12일 2103명, 13일 3453명, 14일 4310명, 15일 4574명, 16일 4526명, 17일 4796명, 18일 4088명, 19일 2921명, 20일 4339명, 21일 5292명, 22일 5497명, 23일 5112명, 24일 5603명, 25일 4603명을 기록했다.

일본 국내 감염자 중 오사카부에서 15명, 홋카이도 6명, 효고현 4명, 와카야마현과 도쿠시마현, 후쿠오카현 각 2명, 사이타마현과 기후현, 이바라키현, 도치기현 1명씩 합쳐서 35명이 숨져 총 사망자가 1만12명으로 늘어났다.

크루즈선 승선 사망자 13명을 더하면 1만25명 지금까지 목숨을 잃었다.

일본 내 코로나19 환자는 전세기편으로 중국에서 귀국한 다음 감염이 확인된 14명과 공항 검역 과정에서 확진자로 드러난 사람을 포함해 57만1672명이다.

여기에 집단발병으로 요코하마(橫浜)항에 격리 정박했던 대형 유람선(크루즈) 다이아몬드 프린세스호에 탔던 승객과 승조원 환자 712명을 합치면 총 확진자는 57만2384명이다.

일본에서 코로나19에 감염한 일본인과 중국인 여행객, 귀국 환자 등 57만1672의 분포를 보면 도쿄도가 13만5598명으로 전체 4분의 1을 차지했다.

이어 오사카부가 7만6483명, 가나가와현 5만2570명, 사이타마현 3만6990명, 지바현 3만2578명, 아이치현 3만2157명, 효고현 2만9545명, 홋카이도 2만3409명, 후쿠오카현 2만2068명, 오키나와현 1만2179명, 교토부 1만2000명, 미야기현 7914명, 이바라키현 7922명, 시즈오카현 6327명, 군마현 5754명, 히로시마현 5734명, 나라현 5725명, 기후현 5544명, 도치기현 5242명, 구마모토현 3953명, 나가노현 3741명, 오카야마현 3639명, 미에현 3558명, 시가현 3553명이다.

다음으로 후쿠시마현 3216명, 이시카와현 2382명, 에히메현 2213명, 니가타현 2192명, 미야자키현 2141명, 와카야마현 2049명, 가고시마현 2037명, 나가사키현 1967명, 야마구치현 1724명, 오이타현 1674명, 사가현 1535명, 아오모리현 1489명, 야마가타현 1460명이다.

이어 도야마현 1263명, 도쿠시마현 1188명, 가가와현 1164명, 야마나시현 1148명, 고지현 996명, 후쿠이현 858명, 이와테현 851명, 아키타현 417명, 돗토리현 364명, 시마네현 335명이다.

이밖에 공항 검역에서 감염이 확인된 2653명, 중국에서 전세기로 귀국한 사람과 정부직원, 검역관 등 173명이 있다.

감염자 가운데 인공호흡기를 달거나 집중치료실에 있는 중증환자는 26일 시점에 일본 내에만 전날보다 34명 늘어나 898명이 됐다.

병세가 좋아져 퇴원한 환자는 25일까지 일본 안에서 걸린 확진자 중 50만4738명, 다이아몬드 프린세스 승선자가 659명으로 총 50만5397명이다.

PCR 검사 시행 건수는 22일에 속보치로 하루 동안 4만6482건으로 집계됐다.

저작권자 Ⓒ시사뉴스
제보가 세상을 바꿉니다.
sisa3228@hanmail.net





커버&이슈

더보기

정치

더보기

경제

더보기

사회

더보기
허훈 의원,“ ICAO 고도제한 개정, 양천구 등 재건축 위축 현실화” 김포공항 고도제한 개정은 기술진보 외면한 규제 확대
[시사뉴스 홍경의 기자] 서울시의회 도시계획균형위원회 허훈 의원( 이로 인해 기존 비규제 지역이었던 목동을 포함해 양천구 대부분의 주거지역이 새롭게 제한 대상에 포함될 가능성이 높아졌으며, 영등포구·마포구·부천시·김포시 등 수도권 서남부 지역 전역의 재건축·재개발 사업 중단을 초래할 수 있는 중대한 상황에 직면했다. 특히 이미 정비계획을 수립 중이거나 조합 설립 절차를 진행 중인 단지들은 직접적인 영향을 받을 수 밖에 없는 실정이다. 허 의원은 “김포공항 인허 의원은 특히, “국토교통부가 ICAO의 국제기준 개정안에 대해 국제사회에 단호한 입장을 전달하고, 만약 개정안이 채택되더라도 국내 도입 과정에서 주민 피해가 최소화되도록 유연하고 현실적인 기준을 마련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어 허 의원은 “장애물평가표면(OES)이 일정 조건하에 예외 적용이 가능하다고는 하나, 실제로는 항공학적 검토, 설계 변경, 전문 컨설팅 등 과도한 절차와 비용 부담이 주민과 사업시행자에게 전가될 가능성이 높다”며 제도 실효성에 대한 문제점도 지적했다. 끝으로 허 의원은 “항공안전을 확보하는 것이 고도제한의 출발점임은 분명하지만, 각종 규제로 인해 시민의 재산권과 기본권이 과도하게

문화

더보기
역사와 정서를 국악으로 풀어낸 창작국악 시리즈 ‘화음 華音’ 개최
[시사뉴스 정춘옥 기자] 화성시문화관광재단(대표이사 안필연) 소속 화성시 예술단 국악단은 화성시의 역사와 정서를 국악으로 풀어낸 창작공연 시리즈 ‘화음(華音)’을 오는 8월과 9월 두 차례 무대에 올린다. ‘화음(華音)’은 단순한 음악적 조화를 넘어 화성이라는 지역의 삶과 이야기가 모여 만들어내는 공동체적 울림을 의미한다. 이 공연은 우리가 일상에서 느끼는 기쁨, 슬픔, 사랑 등 다양한 감정을 전통 국악의 언어로 풀어낸 창작 무대로, 화성시 예술단 국악단의 고유한 레퍼토리를 구축하고 지역 문화의 품격을 높이기 위한 기획이다. 김현섭 예술감독은 “화성시 예술단 국악단이 창의적 기획과 깊이 있는 작품을 통해 예술의 선한 영향력을 전하고, 지역 문화를 예술로 승화시키고자 한다”고 전했다. 화음(華音) 시리즈의 첫 번째 공연 ‘화성을 노래하다’는 8월 14일(목) 오후 7시 화성아트홀에서 열린다. 정가, 판소리, 민요 등 전통 성악 중심의 무대로, 화성의 역사와 자연, 정조대왕의 효심이 깃든 융건릉, 팔탄 농요 등 지역 문화유산을 담아낸다. 신예 작곡가 강현승, 김다원, 김성진, 박한규, 송정, 최지운, 홍수미 등이 참여해 젊고 신선한 감각의 음악을 선보일 예정이다

오피니언

더보기
【박성태 칼럼】 의대생 전공의 복귀하려면 무조건 사과부터 해야
지난해 ‘의대 정원 2000명 증원’에 반발해 집단 이탈했던 의대생과 전공의들이 지난 14일 전격 복귀 의사를 밝히면서 17개월 만에 의정 갈등이 마침표를 찍게 될 가능성이 높아졌다. 다만 복귀자들에 대한 학사일정조정, 병역특례, 전공의 시험 추가 응시기회 부여 등 특혜 시비를 슬기롭게 해결하지 못하면 의정갈등의 불씨는 계속 남아있게 된다. 새로운 정부가 들어서면서 1년5개월 만에 해결의 실마리를 찾고 있는 의정 갈등의 해법은 의대생, 전공의들이 무조건 국민과 환자들에게 의정 갈등으로 인한 진료 공백 사태에 대해 사과부터 하고 그 다음 복귀 조건을 제시하는 수순을 밟는 것이다. 지난해 2월부터 발생한 의정 갈등은 정부가 고령화 시대 의료 수요 증가와 지역·필수의료 부족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의대 정원 2000명 증원과 지역의료 강화, 필수 의료 수가 인상 등을 묶어 필수 의료 정책 패키지 추진을 강행하면서부터 시작됐다. 의료계는 이에 대해 의사 수 부족이 아닌 ‘인력 배치’의 불균형 문제이며, 의료개혁이 충분한 협의 없이 졸속으로 추진되었다고 반발하며 집단행동에 나섰다. 의료계는 의사 수 증가가 오히려 과잉 진료와 의료비 증가를 야기할 수 있다고 주장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