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시사뉴스 황수분 기자] 삼성전자, LG전자 등 스마트폰에서 23일 앱 실행이 중단되는 오류가 발생해 이용자들이 큰 불편을 겪었다.
이는 폰 운영체제(OS)인 구글의 안드로이드에서 오류가 난 것이 원인인데 정작 최대 책임 기업인 구글은 뒤늦게 안내 공지를 했다. 그러자 삼성전자·LG전자가 응급 해결책을 안내하며 사고 수습에 먼저 나서게 됐다.
이날 IT 업계에 따르면 구글 안드로이드 운영체제(OS)의 삼성전자·LG전자 스마트폰에서 네이버, 카카오톡, 증권앱 등 일부 앱 실행 시 '앱을 중지했습니다'라는 알림창이 뜨면서 먹통이 되는 현상이 발생했다.
안드로이드 폰의 이번 오류는 국내뿐 아니라 외국에서도 야후·라인·구글 등 앱이 열리지 않는 등 세계적으로 나타난 것으로 드러났다.
이 오류는 '안드로이드 시스템 웹뷰' 앱이 일으킨 것으로 분석되고 있다. 이 앱은 안드로이드에서 웹 콘텐츠를 표시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데, 최근 업데이트 이후 기존 앱과 충돌한 것으로 전해졌다.
이에 구글은 웹뷰와 웹브라우저 '크롬'에서 오류를 수정한 버전을 업데이트했고 이날 오후 3시18분 이를 공지했다. 플레이스토어에서 웹뷰와 크롬을 각각 최신 버전으로 업데이트하면 일단 앱 충돌 문제는 사라진다고 구글은 밝혔다.
그러나 이날 이른 아침부터 오류가 났음에도 구글은 7시간 넘게 제대로된 안내를 하지 않아 일축을 샀다.
단말기 문제로 오해한 많은 소비자들이 폰 제조사 서비스센터로 몰렸다.
이에 삼성전자와 LG전자는 이날 서비스센터에서 구글 오류를 수습하느라 진땀을 뺀 것으로 알려졌다.
삼성전자는 삼성멤버스 긴급공지를 통해 카카오톡, 증권앱, 네이버 등의 앱 실행 시 바로 꺼지는 현상이 발생할 경우 `설정→애플리케이션→안드로이드 시스템 웹뷰 선택→더보기→업데이트 삭제` 조치를 취해야 한다고 안내했다.
안드로이드 시스템 웹뷰가 검색되지 않을 경우에는 `설정→애플리케이션→크롬 선택→더보기→업데이트 삭제` 등의 조치를 취하면 된다는 점도 알렸다.
삼성전자 서비스센터 관계자는 "갤럭시 폰 문제인 줄 알고 오늘 서비스센터에 문의하러 온 고객들이 많았다"면서 "해당 오류는 안드로이드 웹뷰 문제다"라고 말했다.
LG전자도 자사 스마트폰 이용자에게 오류 해결하는 임시 조치 방법을 적극 알렸다. '설정→앱(또는 앱 및 알림)→앱 정보→안드로이드 시스템 웹뷰→저장 공간→데이터 지우기'를 하거나, '설정→앱(또는 앱 및 알림)→앱 정보→안드로이드 시스템 웹뷰→우측 상단 점 3개 모양 선택→업데이트 제거'를 하면 된다고 안내하고 있다.
아울러 사용자들 사이에선 안드로이드 앱 오류와 함께 네이버 ‘실시간 검색어’ 폐지에 대한 불만도 함께 터져나왔다. 실시간 검색어가 있으면 다수에게서 문제가 발생한 줄 빨리 알고 신속히 해결책을 찾을 수 있는데 이번엔 그러지 못해 서비스센터 등으로 헛걸음을 했다는 것이다.
네이버는 지난달 25일 급상승검색어 서비스를 16년 만에 종료한 바 있다. 우리나라 사람들이 어떤 일에 얼마나 관심이 있는지를 실시간으로 나타내는 지표 역할을 해왔으나 여론 조작·광고 논란 등으로 폐지됐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