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기사

2025.07.06 (일)

  • 구름많음동두천 27.7℃
  • 흐림강릉 29.4℃
  • 구름조금서울 29.1℃
  • 구름조금대전 30.2℃
  • 맑음대구 32.3℃
  • 연무울산 29.4℃
  • 맑음광주 31.6℃
  • 구름조금부산 26.6℃
  • 구름조금고창 32.1℃
  • 맑음제주 29.6℃
  • 흐림강화 26.9℃
  • 구름많음보은 28.2℃
  • 구름조금금산 30.3℃
  • 구름많음강진군 30.8℃
  • 구름조금경주시 32.9℃
  • 구름조금거제 28.1℃
기상청 제공

사회

전국 중증환자 치료병상 64개 불과한데 아직은 충분?

URL복사

 

수도권 37개, 비수도권 27개…부산·전북은 없어
격리 중 환자 256명 늘어…환자 대비 병상 부족
정부, 병상 아직은 충분…자가치료 방안 거론도

 

[ 시사뉴스 김도영 기자 ]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신규 확진자가 연일 400~500명씩 발생하고 있지만, 현재 전국에 남아있는 중증환자 전담 치료병상은 64개에 불과한 것으로 나타났다.

29일 질병관리청 중앙방역대책본부(방대본)에 따르면 지난 28일 기준 코로나19 중증환자 치료를 위해 장비와 인력을 완비한 병상은 총 162개로, 이 중 현재 사용 중인 병상은 98개다. 입원 가능한 병상은 64개인 것이다.

권역별로 보면 서울 7개, 경기 16개, 인천 14개 등 수도권이 37개다.

비수도권은 27개로 울산 8개, 강원 6개, 대구 4개, 대전 3개, 광주 2개, 충남 2개, 경남 2개 등이다. 부산과 전북은 현재 남아있는 병상이 없는 상태다.

문제는 수도권을 중심으로 코로나19 확진자가 여전히 무서운 속도로 발생하고 있는 상황에서 중증환자를 치료할 병상은 점점 줄어들고 있다는 것이다.

방대본에 따르면 29일 0시 기준 신규 확진자는 450명으로 집계됐다. 지난 26일부터 581명→555명→503명 등으로 사흘 연속 500명대를 기록한 이후 나흘 만에 500명 아래로 감소했다.

다만 2만2000건이 넘었던 검사 건수가 주말 들어 1만5000여건으로 감소해 유행 규모가 정점 이후 감소 중이라고 단정하기는 어렵다.

신규 확진자 중 국내 발생 확진자도 413명으로 이달 11일부터 19일째 세자릿수다. 23일부터 최근 일주일 동안은 255명→318명→363명→552명→525명→486명→413명 등이다.

지역별로 서울 154명, 경기 88명, 인천 21명, 부산 21명, 전남 20명, 강원 19명, 충북 19명, 전북 17명, 경남 15명, 충남 12명, 경북 11명, 광주 6명, 대전 6명, 세종 3명, 대구 1명 등이다.

확진자 발생이 지속되면서 격리돼 치료 중인 환자도 256명 늘어 총 5759명이 됐다.

이들의 상태가 악화될 경우를 대비해 중증환자 치료 병상이 충분히 확보돼야 하지만, 현재 격리 치료 환자 대비 중증환자 치료 병상 수는 턱없이 부족한 상황이라는 얘기다.

코로나19를 포함해 모든 질병의 중중환자를 대상으로 하는 치료 병상으로 범위를 넓혀도 현재 전국의 보유 병상 386개 중 코로나19 확진자가 바로 사용할 수 있는 병상은 22개에 불과하다.

그러나 정부는 중증환자 치료병상이 당장은 부족하지 않을 것이란 입장이다.

윤태호 중앙사고수습본부 방역총괄반장은 최근 브리핑에서 "지난 8월에 비해 중환자로 갈 가능성이 높은 60세 이상 환자 비중이 낮은 편"이라며 "중환자 병상을 필요로 하는 위·중증 환자가 급증하지 않고 있다"고 말했다.

정부는 또 이달 말까지 중환자 병상 38개를 추가로 확보한다는 계획이다.

윤 반장은 "현재 어느 정도 가용 병상이 있고, 향후 발생 가능한 위·중증 환자가 얼마인지 보면서 지속적으로 (병상을) 확충할 계획"이라며 "11월 말까지 38개 병상을 바로 확충하겠다"고 설명했다.

다만 병상 부족에 대비해 자택에서 치료받게 하는 '자가치료' 방안도 거론되고 있다.

임숙영 방대본 상황총괄단장은 전날 브리핑에서 "자가치료는 외국에서 광범위하게 활용이 되고 있다"며 "확진자가 폭증하고 병상의 부족이 우려되고 있는 상황에서는 우리도 도입할 수 있을 것이라고 생각하고 있다"고 말했다.

현재 위·중증 환자는 76명이다. 80세 이상 16명, 70대 27명, 60대 23명 등 고위험군인 60대 이상 환자가 66명으로 86.8%다. 50대 이하 위중증 환자는 50대 7명, 40대 2명, 30대 1명 등이다.

위·중증 환자는 고유량(high flow) 산소요법, 인공호흡기, ECMO(체외막산소공급), CRRT(지속적신대체요법) 치료 중인 환자다.

저작권자 Ⓒ시사뉴스
제보가 세상을 바꿉니다.
sisa3228@hanmail.net





커버&이슈

더보기
【커버스토리】 이재명 1기 내각 ‘실용·소통’ 방점
[시사뉴스 강민재 기자] 이재명 정부 1기 내각이 진용을 갖추고 있다. ‘실용·소통’에 방점을 찍은 인선은 이념·진영에 상관없이 경험과 능력 위주로 사람을 쓰겠다는 이 대통령의 철학이 담긴 것으로 보인다. 대학교수 등 학자 출신 보다는 정치인·관료·기업인 등 실무형 인사들이 주류를 이루고 있다. 이 대통령에 대한 “잘하고 있다”는 국정수행 평가는 64%에 이르고 있다. 1기 내각, ‘실용·소통’에 방점 지난 3일 기준 국토교통부와 문화체육관광부를 제외한 17개 부처 장관 인선이 완료됐다. 김민석 국무총리를 비롯하여 현역 의원이 대거 기용됐다. 정성호(법무부)·안규백(국방부)·윤호중(행정안전부)·정동영(통일부)·김성환(환경부)·전재수(해양수산부)·강선우(여성가족부) 후보자 등 8명의 국회의원이 내각에 기용됐다. 64년 만에 첫 민간인 국방부 장관 후보자인 5선 안규백 의원을 비롯해 5선의 정동영 통일부 장관 후보자, 3선의 김성환 환경부 장관 후보자, 전재수 해양수산부 장관 후보자, 재선의 강선우 여성가족부 장관 후보자 모두 관련 분야의 전문성을 가진 재선 이상의 중진 의원이다. 5선의 정성호 의원과 윤호중 의원도 각각 법무·행안부 관련 전문성을 가진 중진 의

정치

더보기
【커버스토리】 이재명 1기 내각 ‘실용·소통’ 방점
[시사뉴스 강민재 기자] 이재명 정부 1기 내각이 진용을 갖추고 있다. ‘실용·소통’에 방점을 찍은 인선은 이념·진영에 상관없이 경험과 능력 위주로 사람을 쓰겠다는 이 대통령의 철학이 담긴 것으로 보인다. 대학교수 등 학자 출신 보다는 정치인·관료·기업인 등 실무형 인사들이 주류를 이루고 있다. 이 대통령에 대한 “잘하고 있다”는 국정수행 평가는 64%에 이르고 있다. 1기 내각, ‘실용·소통’에 방점 지난 3일 기준 국토교통부와 문화체육관광부를 제외한 17개 부처 장관 인선이 완료됐다. 김민석 국무총리를 비롯하여 현역 의원이 대거 기용됐다. 정성호(법무부)·안규백(국방부)·윤호중(행정안전부)·정동영(통일부)·김성환(환경부)·전재수(해양수산부)·강선우(여성가족부) 후보자 등 8명의 국회의원이 내각에 기용됐다. 64년 만에 첫 민간인 국방부 장관 후보자인 5선 안규백 의원을 비롯해 5선의 정동영 통일부 장관 후보자, 3선의 김성환 환경부 장관 후보자, 전재수 해양수산부 장관 후보자, 재선의 강선우 여성가족부 장관 후보자 모두 관련 분야의 전문성을 가진 재선 이상의 중진 의원이다. 5선의 정성호 의원과 윤호중 의원도 각각 법무·행안부 관련 전문성을 가진 중진 의

경제

더보기

사회

더보기

문화

더보기
먼저 걸어본 사람이 들려주는, 진짜 개척의 이야기
[시사뉴스 정춘옥 기자] 좋은땅출판사가 ‘개척, 내가 먼저 걸어본 그 길’을 펴냈다. 이 책은 미국 로스앤젤레스에서 개척교회를 시작한 저자가 지난 8년간 경험한 목회의 현실을 생생하게 담아낸 실전형 간증서이자 사역 매뉴얼이다. ‘절대 개척은 하지 말자’는 다짐으로 신학을 시작했지만, 결국 하나님의 부르심에 순종해 ‘맨땅에 헤딩’하듯 개척의 길을 택한 저자는 장소 선정부터 재정 운영, 팬데믹의 충격, 사람과의 갈등까지 개척 현장에서 마주하는 모든 과정을 솔직하게 풀어놓는다. 단순한 성공담이 아니라 실패하지 않기 위한 전략과 끝까지 버티는 용기를 나누는 데 중점을 뒀다는 점이 이 책의 가장 큰 특징이다. 특히 “교회는 성도를 내보내야 한다”는 저자의 철학은 교회 공동체의 본질을 다시 생각하게 하며, 개척교회를 ‘성장’보다 ‘존재의 의미’로 바라보게 한다. 이 책은 지금도 교회 개척을 고민하는 많은 목회자들에게 실질적인 조언과 공감, 그리고 동역자의 위로가 되어줄 것이다. ‘개척, 내가 먼저 걸어본 그 길’은 신학교에서 배울 수 없는 개척의 현실을 공유하며, 이제 막 첫발을 내딛는 이들에게 든든한 나침반이 돼준다. 무엇보다도 이 책은 ‘먼저 걸어본 사람이기에 들려

오피니언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