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기사

2025.04.22 (화)

  • 흐림동두천 16.0℃
  • 흐림강릉 10.7℃
  • 흐림서울 17.5℃
  • 흐림대전 18.1℃
  • 대구 17.3℃
  • 울산 15.5℃
  • 광주 18.4℃
  • 부산 16.0℃
  • 구름많음고창 17.9℃
  • 흐림제주 17.8℃
  • 맑음강화 17.6℃
  • 흐림보은 16.8℃
  • 흐림금산 17.1℃
  • 구름많음강진군 17.4℃
  • 흐림경주시 17.2℃
  • 흐림거제 17.8℃
기상청 제공

사람들

하나님의 교회, ‘부활절’도 온라인 예배

URL복사

코로나19 대응 지원과 ‘사회적 거리두기’ 동참도 지속



[시사뉴스 기동취재본부 이운길 기자] 국가적 어려움 극복을 위해 ‘사회적 거리두기’에 함께하고 있는 하나님의교회 세계복음선교협회(총회장 김주철 목사, 이하 하나님의 교회)가 부활절을 온라인 예배로 거행했다. 한국을 비롯해 세계 175개국 300만 신자들은 유월절과 무교절에 이어 12일 부활절도 가정에서 경건하게 지켰다.

부활절은 예수 그리스도가 십자가에서 죽은 지 사흘 만에 부활하여, 인류에게 부활과 변화의 산 소망 준 것을 기념하는 절기다. 예수는 제자들과 유월절을 지키며 죄 사함과 영생을 허락하는 새 언약을 세운 뒤, 다음날 무교절에 인류의 죄를 대신해 십자가에서 고난당하고 운명했다. 그로부터 사흘째 날이자 일요일 새벽에 죽은 자 가운데서 부활했다. 당시 상황을 알던 이스라엘 백성들에게 십자가에서 죽은 예수가 다시 살아났다는 것은 그야말로 놀랍고 엄청난 사건이었다.

이에 부활절은 기독교의 큰 절기가 됐다. 그런데 교회마다 부활절을 지키는 날짜와 방식 등이 서로 다르다. 하나님의 교회는 성경에 기준한 명칭과 날짜, 방식대로 부활절을 지킨다. 성경상 부활절은 구약시대 절기명이 초실절(初實節)로, 그 날짜는 무교절 후 첫 안식일(토요일) 다음날이다. 따라서 매년 일요일에 거행된다. 부활절에는 성경 기록대로 영안(靈眼)을 밝혀주는 의미가 담긴 떡을 떼는 예식을 한다. 성경에는 부활한 예수 그리스도를 제자들이 알아보지 못했는데, 예수가 축사하여 준 떡을 먹고 영적 눈이 열려 그리스도를 알아봤다는 기록이 있다(누가복음 24장). 바울 등 사도들도 부활절에 떡을 떼며 그리스도의 부활을 기념했다(사도행전 20장).

반면 천주교, 개신교 등 많은 교회들이 지키는 부활절은 성경과 차이가 있다. 그들의 날짜는 춘분 후 첫 만월(보름) 직후 일요일이다. ‘교부들의 신앙(가톨릭출판사)’ 등 교회 역사서에 따르면 325년 니케아회의에서 토론하여 정한 날이다. 부활절에 흔히 삶은 달걀과 부활절 토끼를 나누는 풍습, 부활절의 영어 명칭을 ‘이스터(Easter)’라고 부르는 것은 바벨론, 북유럽 등지의 이방종교에서 기인한 것이다.

이렇게 기준이 다르다 보니 올해는 날짜가 겹쳤지만 경우에 따라 서로 다른 날에 부활절이 지켜진다. 오늘날 초대교회 방식대로 부활절을 지키는 곳은 하나님의 교회가 유일하다.

하나님의 교회 신자들은 가족과 함께 온라인 영상 설교를 통해 부활절에 담긴 하나님의 권능과 축복을 마음에 새기고 떡을 떼는 예식에도 참여했다. “유월절과 무교절, 부활절까지 큰 절기를 연이어 지키며 인류를 구원하시려는 하나님의 은혜를 깊이 깨달았다”면서 “부활의 기쁜 소식처럼 국민들에게도 새 희망이 넘쳐 침체되고 우울한 상황이 활기차고 역동적으로 변화되면 좋겠다”고 전했다.

총회장 김주철 목사는 “그리스도께서 사망의 권세를 깨뜨리고 죽음의 고통에 매인 인류에게 부활과 영생의 확신을 주셨듯이 하나님의 교회도 인류의 밝은 내일을 위해 항상 함께하겠다”며 “하나님의 숭고한 사랑과 진리 안에서 전 세계인이 바르고 선하게 살아간다면 고난과 역경을 이기고 행복한 미래를 만날 수 있을 것”이라고 밝혔다.

저작권자 Ⓒ시사뉴스
제보가 세상을 바꿉니다.
sisa3228@hanmail.net





커버&이슈

더보기
서울 봉천동 아파트 화재 7명 사상, 방화 용의자는 현장서 사망
[시사뉴스 홍경의 기자] 서울 관악구 봉천동에서 21일 오전 발생한 화재로 인하여 1명이 사망하고 6명이 중·경상을 입었다. 화재를 낸 것으로 추정되는 방화 용의자는 현장 사망자와 동일인인 것으로 확인됐다. 서울경찰청에 따르면 이날 봉천동에서 발생한 방화 용의자는 60대 남성으로 복도에서 발견된 소사체와 동일인이다. 서울경찰청 관계자는 "불에 탄 변사체의 지문을 확인해본 결과 방화 용의자로 추정하던 사람과 동일인으로 보인다"고 밝혔다. 방화 용의자는 인화물질 액체를 담을 수 있는 토치 형태의 도구로 아파트에 불을 지른 것으로 확인됐다. 아파트 인근에서는 해당 도구로 불을 지르는 모습이 포착되기도 했다. 방화 전에는 본인이 거주하던 주거지에 유서를 남겼다. 현장에 남겨진 유서에는 "엄마 미안하다"는 내용과 함께 딸에게는 "할머니 잘 모셔라"는 내용을 남겼다. 아울러 "이 돈은 병원비하라"며 유서와 함께 현금 5만원을 놓아뒀다. 한편 소방당국은 이날 오전 8시17분께 봉천동 소재 21층 규모의 아파트 4층에서 화재가 발생했다는 신고를 접수하고 출동했다. 화재 연속 확대와 인명 피해 우려에 8시30분 대응 1단계를 발령했으며, 소방 인원 153대와 소방차 45대

정치

더보기

경제

더보기

사회

더보기
SH, '서울주택도시공사'에서 '서울주택도시개발공사'로 사명 변경
[시사뉴스 홍경의 기자] 서울주택도시공사(SH공사)가 '서울주택도시개발공사'로 사명을 변경하면서 재탄생한다. 22일 서울시의회에 따르면 김현기 시의원이 지난달 25일 발의한 '서울특별시 서울주택도시공사 설립 및 운영에 관한 조례 일부개정안'이 전날 주택공간위원회에서 원안가결됐다. 조례안의 주요 내용은 현재의 '서울주택도시공사' 명칭에 '개발'을 추가해 '서울주택도시개발공사'로 변경하고 설립목적도 주택건설을 통한 주거생활 안정에서 탈피, 도시의 개발·정비사업을 통한 '지역경제 발전 및 지역개발 활성화'로 대폭 확대하는 것이다. 구체적으로는 ▲기관 명칭을 '서울주택도시공사'에서 '서울주택도시개발공사'로 변경하는 한편 ▲목적에 '택지의 개발과 공급'을 '도시의 개발·정비, 토지의 개발과 공급'으로 변경하고 ▲'시민의 주거생활안정과 복지향상' 뿐만 아니라 '시민복리 증진과 주거생활안정에 이바지하고 지역경제 발전 및 지역개발 활성화'한다는 등의 내용을 조례안에 명시했다. 기관명칭에 '개발'을 추가하려는 것은 최근 서울시의 가용지가 고갈돼 주택건설 수요가 점차 줄어드는 반면, 노후계획도시의 정비, 도심지 성장거점 조성 및 신속한 주택공급 등을 위한 새로운 제도가 도입되

문화

더보기

오피니언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