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기사

2025.08.29 (금)

  • 구름많음동두천 29.3℃
  • 맑음강릉 33.1℃
  • 구름많음서울 29.7℃
  • 구름조금대전 30.6℃
  • 구름조금대구 30.8℃
  • 맑음울산 31.3℃
  • 구름조금광주 30.5℃
  • 맑음부산 31.2℃
  • 맑음고창 31.0℃
  • 맑음제주 31.5℃
  • 구름많음강화 28.8℃
  • 구름조금보은 27.9℃
  • 맑음금산 29.4℃
  • 구름조금강진군 30.8℃
  • 맑음경주시 31.7℃
  • 구름조금거제 30.6℃
기상청 제공

박웅준의 역사기행

[역사기행] 폴로스틱을 든 서역인의 정체

URL복사

한국의 미스터리 유물 파헤치기(上)



[시사뉴스 박웅준 칼럼니스트] 경주국립박물관에는 통일신라시대의 무덤(구정동 방형분)에서 가져온 돌이 있다. 이 돌은 무덤 입구의 모서리를 장식했던 것으로 한쪽 면에는 인물상이 다른 면에는 서 있는 사자상이 조각되어 있다. 인물상은 수염이 덥수룩하고 눈이 깊고 코가 큰 이국적인 모습을 하고 있어 서역인임을 알 수 있다. 

이 인물이 무엇보다 주목받는 이유는 봉이나 막대로 보이는 물건을 양손으로 잡고 있다는 점이다. 박물관의 설명문에도 언급하고 있듯이 이 물건은 일반적으로 폴로스틱으로 알려져 있다. 서역에서 유행하던 폴로가 서역인을 통해 들어와 신라에서도 유행했다는 것이다. 

과연 이 물건은 폴로경기를 할 때 사용하는 스틱일까? 그렇다면 왜 하필 무덤 입구에 조각되어 있었을까? 그리고 그 옆의 사자는 무엇을 의미할까? 아쉽게도 이러한 질문에 답을 줄 만한 본격적인 연구는 아직 없다. 정체를 밝혀줄 단서가 많이 부족하고 폴로스틱을 든 서역인이라는 굳어진 이미지 때문이다.

폴로스틱이 맞을까?

폴로는 고대 중앙아시아의 이란지역에서 다리우스대왕(기원전 521-485년) 시기에 시작되었다. 중국에서는 마구(馬球) · 격구(擊球) · 타구(打球)로도 불렸는데 당나라 때에 처음 들어왔다. 당 봉연(封演)의 『봉씨문견기(封氏聞見記)』에 의하면 “당 초기 이세민(627~649)이 사람을 서번(西番, 티베트)에 보내 타구를 배워오게 하였다.”는 내용이 있다. 송의 고승(高丞)도 『사물기원(事物紀原)』에 “구장(毬杖)은 오래지 않으며, 당대부터 놀았다.”고 기록하고 있다. 당나라와 문화교류를 빈번하게 했던 신라가 이러한 신문물을 접했을 것으로 추정할 수 있다. 그러나 한치운의 『해동역사(海東繹史)』에서 발해 사신 왕문구(王文矩) 일행이 889년에 일본에 가서 격구를 하였다라는 기록이 우리나라 최초의 폴로에 대한 기록이다. 고려시대에는 『고려사(高麗史)』 태조 2년에 아자개 일행의 환영식을 격구장에서 했다는 기록이 처음 나타나 적어도 후삼국시대 폴로를 했었음을 알 수 있다. 신라시대의 기록은 없지만, 당나라의 경우와 후삼국 시대에 격구장이 있었던 것으로 보아 신라 시대에 폴로가 들어왔을 가능성은 충분히 있다.

그렇다면 서역인이 든 물건은 실재 폴로스틱이 맞을까? 이를 알아보기 위해서는 당시 중국의 폴로스틱의 모습을 찾아보는 것이 중요하다. 1971년 중국 섬서성 건릉(乾陵)에서 발굴된, 당 고종의 여섯째 아들인 이현(684년 사망)의 무덤 벽화 가운데에는 폴로를 하는 장면이 있다. 말을 타고 공을 쫓아가는 인물들은 모두 한 손에 폴로스틱을 쥐고 있다. 한 손으로는 말고삐를 쥐어야 하므로 폴로스틱은 한 손으로 쥐기 쉽게 얇고 길다. 이 밖에 당삼채와 동경(銅鏡)무늬 등에서도 폴로하는 모습을 찾아볼 수 있는데 모두 얇고 긴 스틱을 확인할 수 있다. 이 스틱은 그 끝이 초승달처럼 휘어져 있어 월장(月杖)이라고 불렸는데 길이는 약 1.5m 정도였다. 이에 비교하여 경주박물관의 서역인이 들고 있는 것은 끝이 휘어져 있다는 점만 빼고 더 짧고 굵다. 휘어져 있는 부분도 당나라 것과 달리 넓적하고 둔탁해 보인다. 이로 미루어 보아 이 서역인이 들고 있는 것을 폴로스틱으로 보기엔 어려울 것 같다. 당나라 시대 당시나 이후의 중국이나 우리나라의 격구에 쓰이는 채 모두 얇고 긴 형식으로 실용적이지만 서역인이 들고 있는 것은 실제 말 위에서 공을 치기 위한 용도와는 거리가 있어 보이기 때문이다. 그리고 말(馬)도 타지 않은 채로 폴로스틱만 들고 있는 인물이 무덤 입구에 있어야 할 이유도 찾기 어렵다. 폴로채가 아니라면 무엇을 들고 있는 것일까? 그리고 이 서역인의 정체는 무엇일까?

사자의 역할과 의미

이 서역인 정체를 파악하기 위해서 다른 면에 조각된 사자를 주목해야 한다. 별개의 공간에 표현되어 있지만 하나의 기둥에 인접해서 조각된 것으로 보아 서역인과 관계성을 맺고 있음이 틀림없다. 별개가 아닌 하나의 도상으로 봐야 한다는 의미다. 사자는 사람처럼 서서 왼쪽 다리를 내디디고 있어 마치 걷고 있는 듯한 인상을 준다. 얼굴은 하늘을 보며 입을 벌리고 있고 그 속에서 연기가 나고 있는 듯하다. 이 사자상과 인물상을 동시에 본다면 인물이 이 사자를 이끄는 것처럼 보인다. 이 사자가 무덤에 조각된 것은 벽사(辟邪, 귀신을 물리치는)의 의미가 있음이 틀림없다. 이러한 사자를 이끄는 서역인, 우리가 놓치고 있는 의미가 있지 않을까.

신라문화가 가진 강한 불교적 색채를 염두에 둔다면 신라 시대에 만들어진 많은 사자상은 대부분 불교와 관련이 깊다. 이 경우 사자는 백수를 굴복시키는 왕으로 불법을 수호한다는 의미가 강하다. 그리고 사자는 문수보살을 등에 태우는 것으로 나타나기도 하는데 이 경우 곤륜노(崑崙奴)라는 인물이 사자를 이끄는 것으로 표현된다. 곤륜노는 머리가 곱슬머리이고 피부가 검은 노예를 의미해 서역인의 이미지와는 매우 다르다. 6세기 북위의 양현지가 지은 『낙양가람기(洛陽伽藍記)』에는 서역의 사신이 사자를 바쳤다는 기록이 있고 낙양의 장추사(長秋寺)에는 행상이라는 행사를 할 때 악을 물리치는 사자가 그 앞을 인도하였고 칼을 삼키거나 불을 토하는 등 기이한 묘기를 부렸다는 기록이 있다. 서역인과 사자의 결합은 이때부터 시작되었을 것이다. 서역인은 노예도 매매했기 때문에 사자는 서역인 또는 그들이 데려온 곤륜노와 결합을 할 수 있었다. 사자를 부리는 서역인의 이미지는 당나라의 도용(陶俑)과 조각에서 그 예를 확인할 수 있다. 중국 산동성에 있는 당나라 시대 용호탑(龍虎塔)의 화려한 조각 가운데 경주의 것과 유사한 도상이 있다. 얼굴은 훼손되었지만, 서역인으로 추정되는 인물이 사자 옆에서 경주의 서역인과 거의 같은 물건을 들고 있다. 이 경우 이 물건은 사자를 부릴 때 쓰는 불자(拂子)로 끝이 하키채처럼 꺾어진 것은 그 부분이 털과 같이 유연한 재질이기 때문이다. 같은 탑의 다른 사자상 옆에는 곤륜노를 볼 수 있다.

신서고악도와 향악집성



신서고악도(信西古樂圖)는 당나라 시대의 연희(演戲)를 묘사한 두루마리다. 12세기 일본에서 필사된 것으로 신라시대 사자에 대한 설명이 있는데 진짜 사자가 아닌 사자춤을 설명한 것이다. 이른바 신라박(新羅狛)이라는 신라의 사자와 사자무(獅子舞)를 그림과 함께 문헌을 들어 설명하고 있다. 문헌은 모두 중국의 것으로 신라가 중국의 것을 들여왔음을 알 수 있다. 이 가운데 당나라의 문헌인 『악부잡록(樂府雜錄)』을 인용하는데 서역 구자국(龜茲國, 쿠차국)의 사자춤도 신라에 소개됐음을 알려준다. 여기서는 사자를 부리는 사람을 사자랑(獅子郞)이라고 하고 붉은색의 불자(拂子)를 갖고 있다고 한다. 또한 『문헌통고(文獻通考)』를 인용하면서 사자의 고삐를 쥐고 있는 자의 복식은 곤륜(崑崙)의 모습으로 한다고 했다. 그림에서는 불자를 쥔 사자랑을 볼 수 있고 서 있는 모습의 신라박과 사자탈을 볼 수 있다. 그 모습이 어딘지 경주박물관의 서역인과 사자의 모습과 닮아있다.

신라 말의 학자 최치원이 지은 한시인 『향악잡영(鄕樂雜詠)』에는 신라의 악무 중에서 <금환 金丸>, <월전 月顚>, <대면 大面>, <속독 束毒>, <산예 狻猊>로 나누어 설명한다. 그 가운데 <속독>은 “고수머리 남빛 얼굴 못 보던 사람들이 떼 지어 뜰에 와서 난새처럼 춤춘다. 북소리 둥당 둥당 바람 소리 살랑살랑 남북으로 뛰어다니며 끝없이도 춤춘다”라고 하고 <산예>는 서“역에서 유사(流沙) 건너 만릿길 오느라고 털이 모두 떨어지고 먼지조차 묻었구나! 머리를 흔들면서 꼬리마저 휘두르니 온갖 짐승 어른 되는 네가 바로 사자던가” 속독은 당시 서역 가운데 하나인 속특(粟特, 소그드 Sogd)인을 묘사한 것이고 산예는 사자춤을 묘사한 것으로 서역에 기원이 있음을 말하고 있다.

이 같은 문헌들을 검토했을 때 서역인과 사자의 결합은 서역에 기원을 둔 사자춤과 관련이 있을 가능성이 크다. 즉 경주박물관의 이 두 이미지는 신라의 사자춤을 묘사한 것일 수 있고 불교적 수호와 벽사의 의미를 표현하는데 당시 유행한 이미지를 차용한 것일 수도 있다. 이는 앞으로 더욱 깊은 연구가 필요하다.

마지막으로 서역인의 얼굴을 잘 살펴보니 어딘가 우울한 모습을 하고 있다. 이는 아마도 다음과 같은 백거이의 시에서 단서를 찾을 수 있지 않을까? “서량기엔 가면 쓴 오랑캐와 가짜 사자가 등장하는데 (중략) 마치 서역 사막 건너 만 리 길 온 듯하네, 자줏빛 수염에 눈 움푹한 오랑캐가 북 장단에 춤추며 뛰어나와 말씀 아뢰네. 이르기를 양주가 함락되기 전 안서도호부에서 공물 바칠 때 왔는데, 조금 뒤 새 소식 전해오기를. 안서로 가는 길 끊기어 돌아갈 수 없게 된 것이라 하네. 사자 마주 보고 두 줄기 눈물 흘리며 울면서 양주가 적에게 함락된 것을 아는지 모르는지 묻네, 사자도 머리 돌려 서쪽 바라보며 한 소리 슬피 울자 관객들도 모두 슬퍼하네.”

저작권자 Ⓒ시사뉴스
제보가 세상을 바꿉니다.
sisa3228@hanmail.net





커버&이슈

더보기
농협 「NH콕뱅크」, 생활 밀착형 종합 금융플랫폼으로의 눈부신 성장
생활의 필수재가 된 모바일 금융,「NH콕뱅크」의 눈부신 성장 [시사뉴스 홍경의 기자] 은행 업무를 보기 위해 통장과 도장을 들고 영업점을 방문하던 시기는 이제는 흔치 않은 일이 되었다. 통장, 카드 없이도 대부분의 금융 거래가 가능한 시대가 왔기 때문이다. 만약 현금이 필요한 경우에도 ATM기기에서 휴대전화 인증을 통해 인출이 가능하다. 스마트폰의 시대가 도래한 지 15년이 넘어선 2025년엔 영업점 창구에 방문하는 것이 오히려 특별한 일이 되어가고 있다. 이러한 급격한 변화의 배경엔 세대를 불문한 스마트폰의 보급 확대와 디지털 전환(Digital Transformation)이 있으며, 이는 모바일 금융 생태계 발전의 결정적 계기가 되었다. 인터넷 전문은행 뿐만 아니라 기존의 은행들을 포함한 전 금융권이 모바일 금융서비스에 대한 투자를 확대하고, 고객 편의 제공과 서비스 개선에 전력을 다하고 있는 가운데 편리한 활용성과 특화된 서비스를 앞세워 우리에게 친숙하게 다가온 모바일 금융플랫폼이 있다. 바로 전국 1,110개 본점을 포함한 4,876개 지점으로 구성된 오프라인 네트워크를 기반으로 한 「NH콕뱅크」는 농협의 대표 금융플랫폼으로 자리매김했다. 「NH콕뱅크

정치

더보기
李 대통령, 3박 6일간 일본·미국 순방 일정 마치고 귀국
[시사뉴스 홍경의 기자] 이재명 대통령이 3박 6일간 일본·미국 순방 일정을 마치고 28일 귀국했다. 이 대통령 부부와 수행 참모들을 태운 전용기 공군 1호기는 이날 오전 1시 23분께 경기 성남시 서울공항에 도착했다. 공항에는 정청래 더불어민주당 대표와 김병기 원내대표, 대통령실에선 우상호 정무수석이 나와 이 대통령을 맞이했다. 김민석 국무총리와 윤호중 행정안전부 장관 등도 공항에 나와 이 대통령 부부를 맞이했다. 이 대통령은 김혜경 여사와 함께 전용기에서 내려 환영인사들과 인사를 나눴다. 이 대통령은 먼저 김 총리와 악수하며 인사를 나눴고, 윤 장관, 정 대표 등과 차례로 인사했다. 우 수석과도 짧게 대화를 나눈 뒤 차량에 탑승해 공항을 떠났다. 이 대통령은 지난 23일 일본 도쿄에서 한일 정상회담을 한 후 다음 날 미국으로 건너가 25일 워싱턴DC 백악관에서 한미 정상회담을 열었다. 한일 정상회담은 지난 6월 캐나다에서 열린 주요7개국(G7) 정상회의를 계기로 성사된 회담에 이어 2개월 만에 다시 열렸다. 양국 정상은 회담에서 미래지향적 한일 관계 구축에 뜻을 모으며 17년 만에 공동발표문을 채택했다. 한일 정상이 수교 60주년을 맞아 관계 강화 방침을


사회

더보기
호산대, 외국인 요양보호사 양성대학으로 최종 선정
[시사뉴스 홍경의 기자] 호산대학교는 보건복지부와 법무부가 공동으로 추진하는 ‘외국인 요양보호사 양성대학 사업’에 최종 선정됐다고 25일 밝혔다. 전국 광역 지방자치단체들이 추천한 후보 대학을 심의해 총 24개 대학이 선정됐으며 경상북도내 외국인요양보호사 양성대학으로 최종 선정된 전문대학은 호산대가 유일하다. 외국인 요양보호사 양성대학 제도는 국내 돌봄 인력 부족 문제를 해소하기 위해 지역의 우수 대학을 ‘외국인 요양보호사 양성대학’으로 지정하고, 외국인 요양보호 인력을 선발해 체계적으로 교육하여 우수한 요양보호사를 안정적으로 공급하기 위해 마련된 정책이다. 호산대는 공식적으로 외국인 요양보호사 양성대학이라는 명칭을 사용하여 2026학년도 1학기부터 신입생을 모집하고 법무부·보건복지부의 지침에 따라 맞춤형 외국인 요양보호사 학위 과정을 운영함으로써 본격적으로 외국인 요양보호사 전문 인력 양성에 나설 계획이다. 김재현 총장은 “외국인 요양보호사 양성대학으로 최종 선정된 것은 우리 대학의 외국인 유학생 교육체계와 관리 시스템의 우수성을 인정받은 결과”라며 “앞으로 외국인 요양보호사 양성대학으로서의 역할을 충실히 수행하여 지역사회의 돌봄 인력난 해소 기여는 물론

문화

더보기

오피니언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