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기사

2025.11.16 (일)

  • 맑음동두천 17.6℃
  • 맑음강릉 21.2℃
  • 맑음서울 18.4℃
  • 맑음대전 19.7℃
  • 구름조금대구 18.4℃
  • 구름조금울산 20.2℃
  • 구름많음광주 19.4℃
  • 맑음부산 20.1℃
  • 구름조금고창 19.2℃
  • 맑음제주 21.1℃
  • 구름많음강화 14.9℃
  • 맑음보은 17.3℃
  • 구름조금금산 19.3℃
  • 구름조금강진군 20.3℃
  • 구름많음경주시 20.6℃
  • 맑음거제 18.3℃
기상청 제공

박웅준의 역사기행

[역사기행] 폴로스틱을 든 서역인의 정체

URL복사

한국의 미스터리 유물 파헤치기(上)



[시사뉴스 박웅준 칼럼니스트] 경주국립박물관에는 통일신라시대의 무덤(구정동 방형분)에서 가져온 돌이 있다. 이 돌은 무덤 입구의 모서리를 장식했던 것으로 한쪽 면에는 인물상이 다른 면에는 서 있는 사자상이 조각되어 있다. 인물상은 수염이 덥수룩하고 눈이 깊고 코가 큰 이국적인 모습을 하고 있어 서역인임을 알 수 있다. 

이 인물이 무엇보다 주목받는 이유는 봉이나 막대로 보이는 물건을 양손으로 잡고 있다는 점이다. 박물관의 설명문에도 언급하고 있듯이 이 물건은 일반적으로 폴로스틱으로 알려져 있다. 서역에서 유행하던 폴로가 서역인을 통해 들어와 신라에서도 유행했다는 것이다. 

과연 이 물건은 폴로경기를 할 때 사용하는 스틱일까? 그렇다면 왜 하필 무덤 입구에 조각되어 있었을까? 그리고 그 옆의 사자는 무엇을 의미할까? 아쉽게도 이러한 질문에 답을 줄 만한 본격적인 연구는 아직 없다. 정체를 밝혀줄 단서가 많이 부족하고 폴로스틱을 든 서역인이라는 굳어진 이미지 때문이다.

폴로스틱이 맞을까?

폴로는 고대 중앙아시아의 이란지역에서 다리우스대왕(기원전 521-485년) 시기에 시작되었다. 중국에서는 마구(馬球) · 격구(擊球) · 타구(打球)로도 불렸는데 당나라 때에 처음 들어왔다. 당 봉연(封演)의 『봉씨문견기(封氏聞見記)』에 의하면 “당 초기 이세민(627~649)이 사람을 서번(西番, 티베트)에 보내 타구를 배워오게 하였다.”는 내용이 있다. 송의 고승(高丞)도 『사물기원(事物紀原)』에 “구장(毬杖)은 오래지 않으며, 당대부터 놀았다.”고 기록하고 있다. 당나라와 문화교류를 빈번하게 했던 신라가 이러한 신문물을 접했을 것으로 추정할 수 있다. 그러나 한치운의 『해동역사(海東繹史)』에서 발해 사신 왕문구(王文矩) 일행이 889년에 일본에 가서 격구를 하였다라는 기록이 우리나라 최초의 폴로에 대한 기록이다. 고려시대에는 『고려사(高麗史)』 태조 2년에 아자개 일행의 환영식을 격구장에서 했다는 기록이 처음 나타나 적어도 후삼국시대 폴로를 했었음을 알 수 있다. 신라시대의 기록은 없지만, 당나라의 경우와 후삼국 시대에 격구장이 있었던 것으로 보아 신라 시대에 폴로가 들어왔을 가능성은 충분히 있다.

그렇다면 서역인이 든 물건은 실재 폴로스틱이 맞을까? 이를 알아보기 위해서는 당시 중국의 폴로스틱의 모습을 찾아보는 것이 중요하다. 1971년 중국 섬서성 건릉(乾陵)에서 발굴된, 당 고종의 여섯째 아들인 이현(684년 사망)의 무덤 벽화 가운데에는 폴로를 하는 장면이 있다. 말을 타고 공을 쫓아가는 인물들은 모두 한 손에 폴로스틱을 쥐고 있다. 한 손으로는 말고삐를 쥐어야 하므로 폴로스틱은 한 손으로 쥐기 쉽게 얇고 길다. 이 밖에 당삼채와 동경(銅鏡)무늬 등에서도 폴로하는 모습을 찾아볼 수 있는데 모두 얇고 긴 스틱을 확인할 수 있다. 이 스틱은 그 끝이 초승달처럼 휘어져 있어 월장(月杖)이라고 불렸는데 길이는 약 1.5m 정도였다. 이에 비교하여 경주박물관의 서역인이 들고 있는 것은 끝이 휘어져 있다는 점만 빼고 더 짧고 굵다. 휘어져 있는 부분도 당나라 것과 달리 넓적하고 둔탁해 보인다. 이로 미루어 보아 이 서역인이 들고 있는 것을 폴로스틱으로 보기엔 어려울 것 같다. 당나라 시대 당시나 이후의 중국이나 우리나라의 격구에 쓰이는 채 모두 얇고 긴 형식으로 실용적이지만 서역인이 들고 있는 것은 실제 말 위에서 공을 치기 위한 용도와는 거리가 있어 보이기 때문이다. 그리고 말(馬)도 타지 않은 채로 폴로스틱만 들고 있는 인물이 무덤 입구에 있어야 할 이유도 찾기 어렵다. 폴로채가 아니라면 무엇을 들고 있는 것일까? 그리고 이 서역인의 정체는 무엇일까?

사자의 역할과 의미

이 서역인 정체를 파악하기 위해서 다른 면에 조각된 사자를 주목해야 한다. 별개의 공간에 표현되어 있지만 하나의 기둥에 인접해서 조각된 것으로 보아 서역인과 관계성을 맺고 있음이 틀림없다. 별개가 아닌 하나의 도상으로 봐야 한다는 의미다. 사자는 사람처럼 서서 왼쪽 다리를 내디디고 있어 마치 걷고 있는 듯한 인상을 준다. 얼굴은 하늘을 보며 입을 벌리고 있고 그 속에서 연기가 나고 있는 듯하다. 이 사자상과 인물상을 동시에 본다면 인물이 이 사자를 이끄는 것처럼 보인다. 이 사자가 무덤에 조각된 것은 벽사(辟邪, 귀신을 물리치는)의 의미가 있음이 틀림없다. 이러한 사자를 이끄는 서역인, 우리가 놓치고 있는 의미가 있지 않을까.

신라문화가 가진 강한 불교적 색채를 염두에 둔다면 신라 시대에 만들어진 많은 사자상은 대부분 불교와 관련이 깊다. 이 경우 사자는 백수를 굴복시키는 왕으로 불법을 수호한다는 의미가 강하다. 그리고 사자는 문수보살을 등에 태우는 것으로 나타나기도 하는데 이 경우 곤륜노(崑崙奴)라는 인물이 사자를 이끄는 것으로 표현된다. 곤륜노는 머리가 곱슬머리이고 피부가 검은 노예를 의미해 서역인의 이미지와는 매우 다르다. 6세기 북위의 양현지가 지은 『낙양가람기(洛陽伽藍記)』에는 서역의 사신이 사자를 바쳤다는 기록이 있고 낙양의 장추사(長秋寺)에는 행상이라는 행사를 할 때 악을 물리치는 사자가 그 앞을 인도하였고 칼을 삼키거나 불을 토하는 등 기이한 묘기를 부렸다는 기록이 있다. 서역인과 사자의 결합은 이때부터 시작되었을 것이다. 서역인은 노예도 매매했기 때문에 사자는 서역인 또는 그들이 데려온 곤륜노와 결합을 할 수 있었다. 사자를 부리는 서역인의 이미지는 당나라의 도용(陶俑)과 조각에서 그 예를 확인할 수 있다. 중국 산동성에 있는 당나라 시대 용호탑(龍虎塔)의 화려한 조각 가운데 경주의 것과 유사한 도상이 있다. 얼굴은 훼손되었지만, 서역인으로 추정되는 인물이 사자 옆에서 경주의 서역인과 거의 같은 물건을 들고 있다. 이 경우 이 물건은 사자를 부릴 때 쓰는 불자(拂子)로 끝이 하키채처럼 꺾어진 것은 그 부분이 털과 같이 유연한 재질이기 때문이다. 같은 탑의 다른 사자상 옆에는 곤륜노를 볼 수 있다.

신서고악도와 향악집성



신서고악도(信西古樂圖)는 당나라 시대의 연희(演戲)를 묘사한 두루마리다. 12세기 일본에서 필사된 것으로 신라시대 사자에 대한 설명이 있는데 진짜 사자가 아닌 사자춤을 설명한 것이다. 이른바 신라박(新羅狛)이라는 신라의 사자와 사자무(獅子舞)를 그림과 함께 문헌을 들어 설명하고 있다. 문헌은 모두 중국의 것으로 신라가 중국의 것을 들여왔음을 알 수 있다. 이 가운데 당나라의 문헌인 『악부잡록(樂府雜錄)』을 인용하는데 서역 구자국(龜茲國, 쿠차국)의 사자춤도 신라에 소개됐음을 알려준다. 여기서는 사자를 부리는 사람을 사자랑(獅子郞)이라고 하고 붉은색의 불자(拂子)를 갖고 있다고 한다. 또한 『문헌통고(文獻通考)』를 인용하면서 사자의 고삐를 쥐고 있는 자의 복식은 곤륜(崑崙)의 모습으로 한다고 했다. 그림에서는 불자를 쥔 사자랑을 볼 수 있고 서 있는 모습의 신라박과 사자탈을 볼 수 있다. 그 모습이 어딘지 경주박물관의 서역인과 사자의 모습과 닮아있다.

신라 말의 학자 최치원이 지은 한시인 『향악잡영(鄕樂雜詠)』에는 신라의 악무 중에서 <금환 金丸>, <월전 月顚>, <대면 大面>, <속독 束毒>, <산예 狻猊>로 나누어 설명한다. 그 가운데 <속독>은 “고수머리 남빛 얼굴 못 보던 사람들이 떼 지어 뜰에 와서 난새처럼 춤춘다. 북소리 둥당 둥당 바람 소리 살랑살랑 남북으로 뛰어다니며 끝없이도 춤춘다”라고 하고 <산예>는 서“역에서 유사(流沙) 건너 만릿길 오느라고 털이 모두 떨어지고 먼지조차 묻었구나! 머리를 흔들면서 꼬리마저 휘두르니 온갖 짐승 어른 되는 네가 바로 사자던가” 속독은 당시 서역 가운데 하나인 속특(粟特, 소그드 Sogd)인을 묘사한 것이고 산예는 사자춤을 묘사한 것으로 서역에 기원이 있음을 말하고 있다.

이 같은 문헌들을 검토했을 때 서역인과 사자의 결합은 서역에 기원을 둔 사자춤과 관련이 있을 가능성이 크다. 즉 경주박물관의 이 두 이미지는 신라의 사자춤을 묘사한 것일 수 있고 불교적 수호와 벽사의 의미를 표현하는데 당시 유행한 이미지를 차용한 것일 수도 있다. 이는 앞으로 더욱 깊은 연구가 필요하다.

마지막으로 서역인의 얼굴을 잘 살펴보니 어딘가 우울한 모습을 하고 있다. 이는 아마도 다음과 같은 백거이의 시에서 단서를 찾을 수 있지 않을까? “서량기엔 가면 쓴 오랑캐와 가짜 사자가 등장하는데 (중략) 마치 서역 사막 건너 만 리 길 온 듯하네, 자줏빛 수염에 눈 움푹한 오랑캐가 북 장단에 춤추며 뛰어나와 말씀 아뢰네. 이르기를 양주가 함락되기 전 안서도호부에서 공물 바칠 때 왔는데, 조금 뒤 새 소식 전해오기를. 안서로 가는 길 끊기어 돌아갈 수 없게 된 것이라 하네. 사자 마주 보고 두 줄기 눈물 흘리며 울면서 양주가 적에게 함락된 것을 아는지 모르는지 묻네, 사자도 머리 돌려 서쪽 바라보며 한 소리 슬피 울자 관객들도 모두 슬퍼하네.”

저작권자 Ⓒ시사뉴스
제보가 세상을 바꿉니다.
sisa3228@hanmail.net





커버&이슈

더보기

정치

더보기
한국, 48조원 규모 주한미군 지원...2030년까지 미국산 군사장비 구매에 36조원 지출
[시사뉴스 이광효 기자] 한국이 약 48조원 규모로 주한미군을 지원하고 오는 2030년까지 미국산 군사장비 구매를 위해 약 36조원을 지출한다. 한국의 대통령실과 미국 백악관은 14일 이런 것 등을 주요 내용으로 하는 ‘이재명 대통령과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 간 회담 공동 설명자료’(이하 설명자료)를 발표했다. 대통령실과 백악관은 이 설명자료에서 “미국은 핵을 포함한 모든 범주의 능력을 활용해 확장억제를 제공한다는 공약을 재확인했다. 양 정상은 핵협의그룹을 포함한 협의 메커니즘을 통해 협력을 강화하기로 했다”며 “이 대통령은 가능한 한 조속히 한국의 법적 요건에 부합하게 국방비 지출을 GDP(Gross Domestic Product, 국내총생산)의 3.5%로 증액한다는 한국의 계획을 공유했으며 트럼프 대통령은 이를 환영했다”고 밝혔다. 이어 “한국은 또한 2030년까지 미국산 군사 장비 구매에 250억 불(약 36조원)을 지출하기로 했고 한국의 법적 요건에 부합하게 주한미군을 위한 330억 불(약 48조원) 상당의 포괄적 지원을 제공한다는 계획을 공유했다”며 “양 정상은 전시작전통제권 전환을 위한 동맹 차원의 협력을 지속해 나가기로 했다”고 설명했다. 대통령실

경제

더보기


문화

더보기
우리가 남겨야 할 기록은 무엇인가... ‘조선아트북 新악학궤범’
[시사뉴스 정춘옥 기자] 전통음악을 바탕으로 창작과 장르 간 융합 활동을 활발하게 이어온 앙상블시나위가 새로운 작품 창작에 앞서 3년에 걸친 프로젝트 ‘조선아트북 新악학궤범’ 발표회를 개최한다. 연주자들이 남기고 싶은 기록은 무엇일까, 그리고 그들이 전하고자 하는 음악적 철학은 어떤 것일까. 이 프로젝트는 단순한 문헌 연구가 아니라 연주자들이 직접 악서를 탐독하고 그 안에 담긴 정신과 의미를 되새기며 지금 시대에 맞는 예술의 가치와 전통의 방향을 함께 모색한다는 점에서 주목된다. 조선 성종 때 편찬된 궁중음악 백과사전인 ‘악학궤범’은 악기·의례·법식·가사 등을 그림과 함께 정리한 예술서로, 앙상블시나위는 이 기록이 담고 있는 ‘좋은 음악이란 마음을 다스리는 도구’라는 철학으로부터 영감을 받아 오늘날의 시각으로 새롭게 해석한 창작곡들을 선보이게 됐다고 설명했다. 공연은 먼저 △‘성음에 관하여’라는 주제로 아쟁 연주자이자 앙상블시나위의 대표인 신현식의 ‘은하수’ △‘고전을 넘어’를 주제로 전자음악 황승연이 들려주는 ‘둥당둥당’ △‘풍류에 남겨진 융합의 과정’을 주제로 양금 연주자 정송희의 ‘비밀의 강’이 소리꾼 조일하의 정가와 함께 연주되고, △‘동서양의 만남’

오피니언

더보기
【박성태 칼럼】 진짜 부동산 대책은 ‘가만 놔두는 것’이다
정부가 또다시 부동산 대책을 내놓았다. 표면적인 이유는 언제나처럼 ‘부동산 시장 안정’과 ‘투기 근절’이다. 하지만 이번 10‧15 부동산 대책의 내용을 들여다보면, 과연 이것이 시장 안정을 위한 것인지, 아니면 그저 시장 자체를 마비시키려는 것인지 의구심을 금할 수 없다. 이번 대책의 핵심 논리는 ‘풍선 효과’를 원천 차단하겠다는 것이다. 강남 3구 집값이 오르니, 그 불길이 번진 마포·용산·성동구를 잡고, 나아가 서울 전역을 조정대상지역이라는 족쇄로 묶어버렸다. 과천과 분당이 들썩이자, 그와는 무관한 인근 경기도 12개 지역까지 모조리 규제지역으로 편입시켰다. 이는 문제의 본질을 완전히 잘못 짚은 ‘연좌제식 규제’이자 ‘과잉 대응’이다. 첫째, 특정 지역의 가격 상승은 그 지역 나름의 복합적인 수요 공급 논리에 따라 발생한다. 강남의 가격 상승 논리와 서울 외곽 지역의 논리는 엄연히 다르다. 단지 행정구역이 ‘서울’ ‘수도권’이라는 이유만으로 모든 지역에 동일한 대출 규제(LTV, DTI), 세금 중과, 청약 제한을 가하는 것은, 빈대 몇 마리를 잡겠다며 초가삼간을 태우는 격이다. 둘째, 이러한 전방위적 규제는 ‘현금 부자’가 아닌 평범한 실수요자와 선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