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기사

2024.04.24 (수)

  • 흐림동두천 1.0℃
  • 흐림강릉 1.3℃
  • 서울 3.2℃
  • 대전 3.3℃
  • 대구 6.8℃
  • 울산 6.6℃
  • 광주 8.3℃
  • 부산 7.7℃
  • 흐림고창 6.7℃
  • 흐림제주 10.7℃
  • 흐림강화 2.2℃
  • 흐림보은 3.2℃
  • 흐림금산 4.4℃
  • 흐림강진군 8.7℃
  • 흐림경주시 6.7℃
  • 흐림거제 8.0℃
기상청 제공

박웅준의 역사기행

지상에 펼쳐진 미륵의 유토피아 속리산 법주사

URL복사



[시사뉴스 박웅준 칼럼니스트]  “사람은 자신이 사랑하는 것을 아름답게 만드는 것처럼 자신이 믿는 것을 성스럽게 만든다.”(프랑스 언어학자·철학자·종교사가·비평가 에르네스트 르낭, 1823-1892)

구불구불한 말티고개를 넘어 법주사로 가는 길에 정이품송을 봤다. 예전의 당당했던 모습은 간데없고 지지대에 힘겹게 의지해 있는 모습이 세상의 모든 존재는 고정된 것, 영원한 것이 없다는 부처님의 말씀을 대변하고 있는 듯 했다. 

이 같은 무상(無常)의 범위 안에는 우리가 사는 이 세계도 포함되어 있음을 불교는 설한다. 지금은 많이 변한 모습이지만 초창기 법주사는 그것을 세속 사람들에게 보여 주기 위하여 만들어졌을 것으로 생각했다. 

이번 답사는 그 흔적을 확인하고자 했는데 고목(古木)에서 그 첫 장면을 보게 된 것이다.

◇ 공경과 화목, 자비로운 유토피아

경내에 들어서자 금동미륵불상이 눈의 띈다. 현대에 만들어졌지만 이 사찰이 신라의 열렬한 미륵 신앙자였던 진표 율사와 제자 영심이 중흥시킨 미륵도량이라는 것을 강하게 인식시키려는 듯 크고 위압적이다. ‘미륵래시경(彌勒來時經)’에는 먼 미래에 도래할 미륵의 신장이 십육장(十六長)이라고 한다. 1장을 3m라고 하면 48m의 거인으로 출현하는 셈이다. 이 때문인지 중국 사천성에 산을 깎아 만든 71m 크기의 낙산대불이 미륵이고 돈황막고굴(敦煌莫高窟)에서 가장 큰 불상인 33m에 달하는 제96굴의 상도 미륵이다.

탈레반이 2001년 폭파시킨 아프가니스탄의 바미얀(Bamiyan) 대불(53m)과 우리나라 최대의 석불인 고려시대의 관촉사석불(약 18m)도 미륵으로 알려져 있다. ‘속리산대법주사사적기’에 의하면 지금 법주사의 금동미륵대불이 있던 자리에는 원래 용화보전(龍華寶殿)이라는 전각이 있던 자리라고 한다. 

현 경내의 가장 큰 전각인 대웅전이 28칸인데 그보다 큰 2층 35칸이었다고 하니 그 내부에 미륵대불이 모셔져 있었고 사찰의 중심이었음은 자명하다. ‘미륵하생경(彌勒下生經)’에는 미륵이 도래할 때는 인간 수명이 아주 길어 병으로 앓는 일이 없이 8만4000세를 살며 여인은 500세에 결혼을 한다고 한다.

또한 미륵이 태어나는 케투마티(Ketumati)라는 성은 항상 풍요하고 아름다우며 청정한 곳이다. 밝은 구슬이 밤낮으로 밝혀주며 대소변이 생기면 땅이 열리고 그 속으로 사라진다. 도둑질과 기근도 없으며 사람들은 항상 자비로운 마음으로 서로를 공경하고 화목하게 산다.

재물을 보면 “예전 사람들은 이것 때문에 서로 죽이고, 도둑질하고, 속이고, 거짓말을 하면서 죄의 인연을 키웠지”라고 생각한다.

영국의 토마스 모어가 1516년에 쓴 소설 ‘유토피아(utopia)’에서도 계급이 없으며 하루에 6시간만 일해도 매우 풍요롭게 사는 나라를 그리는데 그 나라에서도 귀금속이나 보석을 하찮은 것으로 여겨 죄수에게 금 족쇄를 채울 정도라고 묘사하고 있다. 동양과 서양이 생각하는 이
상향의 차이가 크지 않다는 점이 흥미롭다. 

◇ 미륵불이 석가모니의 가사를 입은 이유

불교는 여기에 강렬한 시각적 이미지를 부여하는데 바로 거대한 미륵상의 조성이다. 현재 법주사의 미륵불입상은 그 역할을 충실하게 하고 있다. 과거에는 그 역할이 더욱 지대했을 것이다. 또 다른 흔적은 없을까. 경내를 돌아다보니 다른 곳에서는 보지 못한 두 개의 석조물이 눈에 띈다. 석연지(石蓮池)와 희견보살입상(喜見菩薩立像)으로, 각각 국보64호 보물1417호인 중요 유물들이다. 

지금은 미륵불상 좌우에 위치해 있지만 원래는 미륵불상 앞에 일렬로 위치해 있었다고 한다. 그렇다면 미륵과 깊은 연관이 있는 유물로 봐야할 것이다. 조선시대 기록인 ‘법주사사적기’에 의거한 두 유물의 명칭은 미륵신앙과는 관련이 크게 없기 때문에 어떤 이유에서인지 다르게
기록된 것으로 보인다. 두 유물이 만들어진 신라시대 본래의 의미를 복원할 필요가 있다.

우선 석연지를 살펴보면 높이 1.95m에 둘레 6.65m의 거대한 석조물이다. 물을 채우고 연꽃을 띄워 불국토의 연지를 모방했다고 하기에는 너무 높다. 물을 채우기에도 그 위의 연꽃을 보는 것도 힘든 구조이다. 화려한 장식과 정성스럽게 만든 받침으로 보아 유물 그 자체에 의미가 있는 것으로 보는 것이 타당하다. 추정하건데 이것은 발우(鉢盂, 승려의 식기, 그릇)일 것이다. 경전에 의하면 석가모니가 자신의 가사와 발우를 제자인 가섭존자에게 맡겨 미래에 미륵불이 내려올 때 전달하라는 의무를 지어준다.

가사와 발우는 석가모니불이 미륵불에게 주는 부처의 증표인 것이다. 발우를 묘사한 통도사 봉발탑(보물 제471호)도 용화전(龍華殿=미륵전) 앞에 있듯이 미륵과 발우는 중요한 연결 관계를 갖는다. 그 크기가 거대한 것도 내려오는 미륵의 크기에 맞춘 것으로 생각할 수 있다. 그렇다면 부처님의 가사는 어디 있을까? 그 가사는 이미 하생한 미륵이 입고 있다. 미륵불의 가사는 석가모니의 가사인 것이다.

◇ 희견보살상은 미륵 아닌 천신의 형상

희견보살상도 미륵과 관련이 있을까? 역시 조선시대 기록에 의해 향로를 머리에 이고 고행하는 희견보살로 알려져 있지만 미륵과는 아무 관계도 없다. 그 모습으로 인해 당나라때 유행한 곤륜노(崑崙奴)상이라는 설이 있지만 이 역시 미륵과의 연관성은 찾기 어렵다. 미륵과 연관되어 의발(衣鉢)을 이고 있는 가섭상이라는 설도 있지만 가섭의 모습과는 거리가 멀다. 그렇다면 그 정체는 무엇일까? 

이는 결국 부처님의 말씀에서 찾아야 할 것이다. 석가는 자신이 열반한 후 불법의 흥망성쇠를 말하며 발우가 세상과 천계를 떠돌아다니다가 미륵불이 하생할 때 사리와 함께 나타난다고 예언한다. 이 두 가지 석가의 유물은 미륵에게 전해지며 신통력을 발휘해 중생을 제도한다고 한다. 그렇다면 석연지는 발우임이 다시 증명이 되고 희견 보살상이 머리에 이고 있는 것은 향로가 아닌 사리가 들어있는 용기라고 할 수 있다. 

상의 얼굴을 보았을 때 흑인의 모습을 본딴 곤륜노라기보다 서역인 또는 사나운 천왕에 가까운 모습을 하고 있어 사리를 받들어 모시는 천신(天神)으로 봐야할 것이다.

머리에 이고 있는 자세도 정대(頂載, sirasodvahata)라 하여 부처의 유물을 옮기거나 받칠 때 공경의 의미로 고대 인도의 예법에 기원을 두고 있다. 해인사의 팔만대장경을 머리에 이고 도량을 도는 정대불사(頂載佛事)도 같은 의미로 현재까지 이어지고 있다.

이와 같이 발우와 사리는 석가가 미륵에게 주는 성스러운 유물(relic)로 미륵불과 자연스러운 도상을 이룬다. 이 세 가지가 일직선을 이루던 원 모습을 상상해 볼 때, 신라인들은 미륵이 내려와 석가모니의 유물을 받고 중생을 제도하는 장면을 충실하게 이미지화한 것임을 알 수 있다. 그 장소는 세속과 분리된 성(聖)의 세계였으며 그 세계에 들어간 신라인들은 미륵의 세계를 체험하였다.



◇ 법주사, 미륵의 불교적 이상향 품어

한참을 있다 사찰 경내를 빠져나와 주차장까지 이어진 숲길은 아주 평화롭고 아름다웠다. 이 길을 걸으면서 문득 생각이 들었다. 경전상의 미륵은 이미 건설된 유토피아에 내려온 것이 아닌가. 고통 없이 8만4000세까지 사는 사람들을 제도할 필요가 있을까? 숙소에 돌아와 경전을 뒤적여 석가모니는 그 나라(케투마티) 사람들은 “탐욕과 성냄, 어리석음도 마음 깊이 있을 뿐, 눈에 띄게 드러나지 않는다”라고 한 말을 찾았다. 

겉으로 아무 걱정이 없는 것처럼 보일뿐 속으로는 욕망이 사라지지 않는다는 말이다. 그리고
미륵은 그 세상에 숨어있는 오욕(五慾)을 발견하고, 사람들이 죽음과 같은 삼악도의 고통에서 벗어나지 못함을 알고 출가한다고 말한다. 결국 석가는 미륵을 통해서도 깨닫기 혹은 구제받기 전까지는 고에서 벗어나지 못한다는 불교의 기본교리를 충실하게 설하고 있는 것이다. 

모든것은 깨닫기 위한 방편일 뿐 지상에 완벽한 세상은 존재하지 않는다. 유토피아(Utopia)란 단어의 뜻 자체도 그리스어로 ‘없는 곳’에 기원한다. 이러한 개념은 현실도 유토피아가 될 수 있다는 뜻으로도 해석될 수 있다. 미륵이 오기 전 이상향에 가까운 세상은 사람들이 건설하기
때문이다.

법주사는 미륵이 도솔천에서 내려와 석가의 유물을 받고 사람들을 제도하는 불교적 이상향을 시각적으로 보여준다. 이곳을 방문한 옛사람들이 어떠한 생각을 했는지 상상하기 어렵지 않다. 이상향의 도래에 대한 확신을 가졌을 것이다.

인간의 손을 빌어 창조한 불교적 이상향인 법주사. 미래에 존재 하는 진정한 미륵의 유토피아가 펼쳐진 곳이다.



저작권자 Ⓒ시사뉴스
제보가 세상을 바꿉니다.
sisa3228@hanmail.net





커버&이슈

더보기

정치

더보기
尹 대통령, 총선 불출마·낙천·낙선 국힘 의원 격려 오찬
[시사뉴스 홍경의 기자] 윤석열 대통령은 4.10 총선 불출마·낙천·낙선한 국민의힘 의원들을 격려차 초청해 오찬을 함께 했다. 윤 대통령은 24일 22대 총선에서 공천을 받지 못했거나 낙선한 국민의힘 의원들을 초청해 비공개로 오찬을 함께하며 "우리는 민생과 나라의 미래를 책임지고 있는 정치적 운명 공동체"라고 밝혔다. 김수경 대변인은 이날 서면브리핑을 통해 "윤 대통령은 이날 청와대 영빈관에서 국민의힘 의원들과 오찬을 함께 하며 당과 국민을 위해 헌신해온 의원들을 격려했다"고 말했다. 김 대변인에 따르면 윤 대통령은 오찬 모두발언을 통해 통해 "나라와 국민, 그리고 당을 위해 애쓰고 헌신한 여러분께 감사드린다"며 "우리는 민생과 이 나라의 미래를 책임지고 있는 정치적 운명 공동체"라고 했다. 이어 "현장 최일선에서 온몸으로 민심을 느낀 의원 여러분의 의견을 듣고 국정을 운영하는 것이 대통령으로서의 도리"라며 "국회와 민생 현장에서 풍부한 경험을 쌓아 온 여러분들의 지혜가 꼭 필요한 만큼, 여러분들의 고견을 많이 들려달라"고 요청했다. 이에 참석 의원들의 선거 패인 분석, 제언이 이어졌는데, 쓴소리도 여과없이 나왔다. 윤 대통령은 말없이 참석자들의 발언을 경청

경제

더보기


문화

더보기
한 산림과학자의 집념과 끈기가 밝혀낸 아픈 역사의 민낯 <전나무 노거수는 일제의 신목이다>
[시사뉴스 정춘옥 기자] 우리 땅에 있는 전나무 노거수(老巨樹)들의 대부분이 일제에 의해 심어졌다고 주장하는 책이 출간됐다. 북랩은 국립산림과학원 출신의 산림과학자가 전국 곳곳에 있는 전나무 노거수들이 일제의 잔재임을 고찰한 ‘전나무 노거수는 일제의 신목이다’를 펴냈다. 우리나라 남부지방의 환경은 전나무가 자생할 만한 생육조건과는 거리가 멀다. 1980년부터 약 40여 년간 산림과학을 연구하고 강의해온 저자는 우리 남부지방 곳곳의 사찰에 전나무 노거수들이 있는 것을 보고 호기심이 일었다. 이에 대한불교 조계종 24개 교구 본사와 조선 왕릉, 대관령 산신당, 이순신 장군의 사당인 통영 충렬사, 권율 장군의 묘소 및 각지의 공공시설을 답사하며 조사했다. 전나무가 가슴높이 직경 60~100cm 정도로 자라는 데는 80년에서 100년 이상이 걸린다. 저자가 답사한 각지의 전나무들 대다수의 크기가 이 가슴높이 직경에 해당했다. 즉, 이 전나무들이 사람에 의해 심어진 것이라면 1800년대 말에서 1900년대 중반까지 일제가 심었다는 추론이 가능하다. 그중에서도 가슴높이 직경 60~69cm급의 나무가 월등히 많은 것으로 보아 일제강점기 중의 특정 시기에 집중적으로 전나무

오피니언

더보기
【박성태 칼럼】 진정한 리더는 용장 지장 아닌 소통 능력 갖춘 덕장이어야
윤석열 대통령은 16일 오전 용산 청사에서 열린 국무회의에서 여당인 국민의힘이 참패한 4·10 총선 결과에 대해 “취임 후 2년 동안 올바른 국정의 방향을 잡고 이를 실천하기 위해 최선을 다했음에도, 국민께서 체감하실 만큼의 변화를 만드는 데 모자랐다”며 열심히 했지만 결과가 미흡했다는 식으로 말했다. 총선 참패에 대한 사과나 유감 표명은 없었고, 192석을 차지한 야당을 향한 대화나 회담 제안 등이 없어 야당으로부터 대통령은 하나도 변한 게 없고 불통대통령이라는 이미지만 강화시켰다는 지적을 받았다. 이번 여당의 총선 참패는 한마디로 소통부재(疏通不在)와 용장 지장 스타일의 통치방식에서 비롯된 참사라고 평가할 수 있다. 돌이켜보면 윤석열정부는 출범 2개월만인 2022년 7월부터 각종 여론조사기관 조사결과 윤대통령 국정운영에 대한 긍정평가가 40%이하였다. 대통령의 국정운영 긍정적 평가가 40%이하로 떨어진 시점은 이명박 전 대통령이 약 3개월, 박근혜 전 대통령이 1년 10개월, 문재인 전 대통령이 2년 5개월이었던데 비해 윤대통령은 2개월로 가장 짧았다. 윤정부 출범하자마자 특별히 이슈가 될 만한 대형사건들이 없는데도 역대 가장 빠른 민심 이탈의 이유는 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