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기사

2025.10.02 (목)

  • 맑음동두천 25.8℃
  • 구름조금강릉 27.3℃
  • 맑음서울 26.6℃
  • 구름많음대전 25.0℃
  • 흐림대구 22.6℃
  • 흐림울산 23.8℃
  • 구름많음광주 24.8℃
  • 흐림부산 27.2℃
  • 구름조금고창 25.2℃
  • 제주 24.5℃
  • 맑음강화 25.7℃
  • 구름많음보은 24.4℃
  • 구름많음금산 25.9℃
  • 구름많음강진군 26.3℃
  • 흐림경주시 22.1℃
  • 구름많음거제 25.3℃
기상청 제공

'별밤지기' 백지영, 연애상담 DJ의 쌍방소통

URL복사

[시사뉴스 조종림 기자]  MBC 표준FM '별이 빛나는 밤에'의 변치 않는 시그널 송 '메르시 셰리(Merci Cherie)'가 흘러나오자 가수 백지영(40)이 마이크를 잡았다. 부드러운 전주와 계단처럼 차차 음이 높아지는 특유의 '따단'이 다섯 번 지나고 시작되는 오프닝.

 "별이, 빛나는, 밤에. 안녕하세요. '별밤지기' 백지영입니다."

백지영은 지난해 11월16일부터 MBC의 대표 라디오프로그램 '별이 빛나는 밤에'(별밤)의 DJ '별밤지기'로 활약하고 있다. 무려 제24대다. 1969년 시작해 40년이 넘는 세월 동안 조영남, 이적, 옥주현 등 수많은 DJ들이 '별밤'을 거쳤다. 요즘 가장 '핫'한 드라마인 tvN '응답하라 1988' 속 '별밤지기' 이문세는 '별밤'의 전성기를 이끈 주역이다.

 "'별밤지기'라는 타이틀도 '별밤'이 아니면 얻을 수 없는 거잖아요. 이런 프로그램을 진행한다는 것 자체가 어깨가 솟는 일이죠. 제가 연예인이 될 거라고 생각도 못했을 때도 '별밤'을 들으며 자랐기 때문에, '별밤지기'라고 불리면서 스튜디오에 앉아서 청취자를 만나고 있다는 게 감동이에요."

라디오 진행은 처음이다. 데뷔 10년을 훌쩍 넘긴 가수 백지영에게도 떨리는 일이었다. 연신 "내가 왜 이렇게 떨지"라며 진행했던 첫 방송을 지나 "이제 한 보름 지난 것 같다" 싶을 정도로 숨 가쁘게 달려 자리를 잡았다. 그동안 했던 실수라고는 생방송에서 "사랑과 함께 감출 수 없는 것"으로 꼽히는 기침을 한 것 정도다.

 "사연을 읽던 중에 칼칼하고 목이 간지러운 기침이 차올라서 사연 마무리를 못했던 적이 있어요. 기침을 하면서 노래 제목을 소개했고, 기침소리와 함께 노래가 올라갔었죠. 가장 아찔한 순간이었습니다."

처음 앉은 라디오 스튜디오는 백지영에게 더 넓은 세상과 만나는 장소다. 덕분에 그녀는 버스를 운전하는 사람의 새벽, 학원이 끝나고 집으로 돌아가는 고등학생의 발걸음, 매일 출퇴근하는 직장인의 삶을 알았다.

 "알았어야 하는 것들을 이 나이를 먹고 이제야 알게 되는 기분이에요. 많은 사람을 알고 지냈다고 생각했지만 제가 얼마나 다른 사람을 모르고 살았나 싶어요. 좁은 공간에 앉아있음에도 넓은 세상을 만나게 됐다는 게 가장 많이 달라진 점 같아요."

 '응답하라 1988'에 공감해 찾아 온 어린 청취자를 만나는 기쁨도 크다. 백지영에게 털어놓는 '요즘 10대'의 연애는 훨씬 더 저돌적이고 직설적이다.

 "어제 사연을 보낸 중학교 2학년 친구는 좋아하는 사람의 이름을 정확히 밝히면서 '사귀고 싶어요'하더라고요. 제가 응원한다고 하면서 이걸 녹음해서 들려주라고 했더니 그렇게 했나 봐요. 방송이 끝날 무렵에 '사귀기로 했습니다'라는 문자가 왔어요. 굉장히 용기 있고, 솔직해요. 제가 10대였을 때하고는 많이 바뀐 것 같아요."

 '별밤'은 게스트나 특별한 프로그램 없이 노래와 사연으로 담백하게 꾸려진다. DJ의 색이 좌우하는 방송이다. 백지영의 '별밤'에는 유독 연애에 관한 고민이 많이 온다. 편하고 털털한 언니에게 솔직한 상담을 받고 싶은 청취자의 마음일 테다.

 "제 색을 많이 묻어나게 해 주신 것 같아요. 처음부터 끝까지 음악 틀고, 의견 받고, 해 주고 싶은 얘기가 있으면 따뜻하게 하고, 묻고 싶은 게 있으면 묻고. 그런 식으로 보내고 있어요. 처음엔 너무 심심할까봐 걱정했는데 참여하는 데 기쁨을 느끼는 분들이 있어서. 하루의 마무리를 함께 하면서 공감대를 형성한다는 게 정말 뿌듯해요."

24대 '별밤지기' 백지영은 초대하고 싶은 게스트로 '응답하라 1988'에 출연 중인 류준열·박보검·라미란·혜리를 꼽았다. 이뿐 아니라 그 시절 '별밤'을 이끈 이문세도 스튜디오에서 만나고 싶은 마음이다.

 "누구도 흉내낼 수 없는 '별밤'의 감성을 만들어 주신 이문세 선배님이 꼭 한번 나와 주셨으면 좋겠어요. 제 진행 솜씨가 선배님께 누가 되지 않을 때, 초대하게 된다면 정말 영광일 것 같습니다."


저작권자 Ⓒ시사뉴스
제보가 세상을 바꿉니다.
sisa3228@hanmail.net





커버&이슈

더보기

정치

더보기
윤호중 행안장관 "중요 정보시스템 이중화, 예산 7천억~1조 소요 예상"
[시사뉴스 홍경의 기자] 윤호중 행정안전부 장관이 지난 1일 국회 행정안전위원회 국정자원 현안질의에서 국가정보자원관리원(국정자원)에서 관리하는 주요 핵심 정보시스템들을 양쪽 센터에서 동시에 가동하는 방식으로 이중화할 경우 7000억원에서 1조원의 예산이 필요하다고 밝혔다. 윤 장관은 "지금 파악하기로는, 대전센터에 있는 30여개의 1등급 정보시스템을 액티브-액티브 방식으로 구축하면, 7000억원 정도가 소요된다"고 말했다. 이어 "공주센터까지 포함하면 (예산이) 1조원이 넘는다"고 덧붙였다. 액티브-액티브는 한쪽에서 장애가 발생하더라도 다른 쪽이 즉시 서비스를 이어받아 중단 없이 운영할 수 있는 체계로, 두 센터가 실시간으로 데이터를 주고받으며 동시에 가동되는 구조다. 정부는 정보시스템을 중요도에 따라 1~4등급으로 나눠 관리하고 있다. 1등급은 국민 생활과 직결된 정보시스템으로, 정부24 등이 포함돼있다. 윤 장관은 이 방식이 막대한 예산이 소요되는 만큼, 민간에서 사용하는 클라우드 등을 활용하는 방안도 고려해보겠다고 했다. 윤 장관은 "보안 문제나 이런 문제를 해결한다면 민간 자원을 리스(임차) 형태로 활용하는 방법도 있을 수 있다"며 "로드맵을 마련하기

경제

더보기

사회

더보기

문화

더보기

오피니언

더보기
【박성태 칼럼】 디지털 약자들의 정보격차 어떻게 해소할 것인가
스마트폰 하나만 있으면 은행 업무부터 병원 예약, 대중교통 이용, 행정 서비스까지 해결되는 시대다. 그러나 이 편리함은 상대적으로 디지털 정보활용 취약계층에게는 새로운 장벽이 되곤 한다. 각종 기관의 창구 업무는 줄어들고 키오스크 등 디지털 기기만 늘어나고 있다. 디지털 전환은 이제 선택이 아닌 생존의 문제다. 전자정부, 모바일뱅킹, 온라인쇼핑, 스마트농업 등 대부분의 사회·경제 활동이 디지털을 기반으로 이뤄지는 시대다. 하지만 모두가 그 혜택을 고루 누리고 있는 것은 아니다. 노인뿐 아니라, 전업주부, 저학력자, 농촌 거주자, 장애인 등 이른바 ‘디지털 정보취약계층’은 여전히 정보 불평등의 사각지대에 놓여 있다. 이러한 정보격차는 단순한 ‘기술 접근’의 문제가 아니다. 기기 사용 능력의 부족, 낮은 디지털 문해력, 인프라 격차, 생활환경의 한계 등이 복합적으로 작용한다. 정보에 대한 접근 권한과 활용 능력이 결여되면 일상적인 서비스 이용은 물론, 경제 활동, 교육 기회, 복지 접근까지 제한받는다. 디지털 기술이 사회를 더 평등하게 만들기는커녕, 오히려 기존의 격차를 심화시키는 역설적 결과가 나타나고 있는 것이다. 특히, 지방의 중장년층 여성이나 농민, 저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