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기사

2025.10.05 (일)

  • 맑음동두천 25.8℃
  • 구름조금강릉 27.3℃
  • 맑음서울 26.6℃
  • 구름많음대전 25.0℃
  • 흐림대구 22.6℃
  • 흐림울산 23.8℃
  • 구름많음광주 24.8℃
  • 흐림부산 27.2℃
  • 구름조금고창 25.2℃
  • 제주 24.5℃
  • 맑음강화 25.7℃
  • 구름많음보은 24.4℃
  • 구름많음금산 25.9℃
  • 구름많음강진군 26.3℃
  • 흐림경주시 22.1℃
  • 구름많음거제 25.3℃
기상청 제공

수란, 오트쿠튀르 보컬리스트의 탄생…새로운 유형

URL복사

[시사뉴스 조종림 기자] 수란(신수란)은 한창 주가를 올리고 있는 뮤지션이다. 특히 인기 가수들이 앞다퉈 피처링을 원한다. 하지만 그녀를 단순한 가수로만 여기는 건, 정작 달은 안 보고 달을 가리키는 손가락만 보는 거다.

뛰어난 보컬리스트이자, 유능한 싱어송라이터며, 감각 있는 프로듀서다. R&B, 힙합, 일렉트로닉 등 장르 구분은 무의미하다. 프라이머리, 김예림, 브라운아이드걸스, MC몽과 다이시댄스, 얀키, 빈지노, 다이나믹 듀오, 블락비 지코 등과 작업했다.

 '솔' 음이 깃들어, 탁하지 않은 탁성은 허스키와 몽환과 섹시함 그 어디 사이에서 부유하며 다양한 장르를 유유히 표류한다. R&B, 힙합, 일렉트로닉, 재즈를 아우르는 내공은 어느 장르를 프로듀싱해도 탁월하다.

 "내게 제일 크게 다가오는 건 보컬리스트다. 보컬이 주다. 프로듀서와 작곡은 보컬을 감싸는 느낌이라고 할까." 에메랄드 빛의 머리색을 한 수란이 싱긋 웃었다. 영화 '이터널 션사인' 속 '클레멘타인'의 첫 머리 색깔이다. 그녀는 심리 상태에 따라 머리색이 계속 바뀐다.

 "전문 프로듀서가 프로듀싱을 하면 기술적으로 더 좋다. 하지만 곡 자체가 100% 내 안에 들어오는 건 힘들다. 표현이 왜곡될 수 있으니까. 나는 보컬의 본능적인 것을 중요시 한다. 내가 프로듀싱을 하면, 부족할 수 있지만 좀 더 날 것의 느낌을 줄 거라 믿는다."

그룹 '로디아' 등에서 활약한 수란은 지난해 솔로 첫 싱글 '아이 필'을 내놓았다. 이후 1년 만인 최근 두 번째 싱글을 발표했다. 빈지노가 피처링한 '콜링 인 러브(Calling in Love)'와 얀키가 피처링한 '예아(Yeah Ah)' 등 두 곡이 실렸다. 수란이 모두 작사, 작곡, 프로듀싱 했다. '콜링 인 러브'가 좀 더 대중적이고, '예아'는 마니아틱하지만 모두 수란의 날 선 감각이 번뜩인다. 노래 성격에 수란의 보컬이 최적화됐다. '콜링 인 러브'의 야릇한 몽환, '예아'의 서정적인 솔풀함 모두 그녀의 것이다.

 "곡 작업할 때 보컬 다음에 신경을 쓰는 건 사운드 균형이다. 소리에 민감한 편이다. 공간감을 생각하고 작업한다. 어디서 음악을 제대로 배운 것은 아니고, 막무가내로 시작하다 보니 다른 프로듀서에게 죄송하기도 하다. 프로듀서는 전체적인 걸 아우른다. 난 보컬이 무기니, 그걸 중심으로 프로듀싱을 한다."

혼자 작업을 하는 것이 힘들지만, 즐겁다며 까르르 웃었다. "그렇게 음악이 나왔을 때 대중에게 훨씬 더 에너지가 전달이 될 거라 믿기 때문"이라며 눈을 반짝였다.

프라이머리를 비롯해 여러 유명 뮤지션들이 러브콜을 보낸 것에 대해서는 연신 고맙다고 고개를 숙였다. "내가 가진 것이 대중에게 통하는 건지 증명이 안 된 시기가 있었다. 프라이머리 등 여러 뮤지셔들이 가치 있게 봐주고, 인정해줘서 좀 더 자신감을 가질 수 있었다. 혼자서만 할 때는 이것이 맞는지, 틀렸는지조차 몰랐다. 내 판타지를 표현해보기 위해서는 앨범을 내야 해서 만든 그룹이 로디아였다. 이후 좋은 분들을 만나서 행운이다."

수란의 보컬은 대중가요 신에서 쉽게 듣기 힘든 목소리다. 그러니 좀 더 다른 걸 원하는 뮤지션들이 계속 그녀는 찾는 건 당연해보인다. 팝스러우면도, R&B의 그루브를 탄다. 재즈의 자유로움과 블루스의 서정성은 한곡을 부를 때도 오간다.

개성이 이처럼 강한데 또 노래마다 어울린다. "곡마다 이미지를 그린다. 그 느낌에 맞춰서 부른다. 피처링의 경우에도 내 보컬을 강조해서 내 식으로 부를 수 있지만, 해당 곡을 이해하는 것이 먼저라 생각한다. 아무래도 곡을 쓰다보니까 자연스레 드는 생각인 듯하다."

이과에 소질이 있어 공대로 진학해 컴퓨터공학을 공부한 수란은 이성적인 틀 안에 감성적인 콘텐츠를 자연스럽게 채우는 방법을 안다. 솔이 짙어 감성에만 의존해 부른다는 오해를 할 수 있는데 "노래를 본격적으로 부르기 전에, 머릿속에 정리를 한다"고 귀띔했다. 그 다음 "보컬, 프로듀서 역에 빙의를 한다."

대학에 들어가서야 본격적으로 음악을 시작한 만큼 다른 이들보다 늦었다고 여겼다. "다른 것에 눈돌릴 틈 없이 음악을 위해서만 달려왔다"고 전했다. 이후 재즈, 브릿팝 등 장르 구분 없이 품에 아우르며 뛰어왔다. 하지만 "고생을 했다는 생각은 하지 않는다"면서 "여러 장르를 했고, 좀 늦었다는 생각을 하니 내가 많이 고생했다고 여기는 분들도 있다. 그런데 나는 그렇게 생각한다. 모든 것이 지금의 음악을 하는데 도움이 됐다. 그래서 지금 이런 음악을 하고 있다"며 긍정했다.

인정에 목 마른 때도 있기는 했다. "내 걸 보여주고 내 걸로 인정받고 싶었다. 요즘은 생각이 변했다. 음악을 만들 때 진심으로 한다. 증거가 보였으면 한다. 신나는 음악이면 신나고, 슬픈 음악이면 슬프고. 뮤지션의 감정을 듣는 사람들도 오롯이 느꼈으면 좋겠다."

수란의 최대 감정은 유연함이다. 어떤 장르든 물 흐르듯이, 자신의 각인을 공고히 한 채 받아들일 수 있다. 정규 교육 대신 독학으로 음악을 공부해온 그녀는 특정 음악에 대한 선입견도 없다. 수란은 "가끔 스스로를 '다중'이라고 생각한다"며 웃었다.

보컬계 멀티플레이어가 새로 탄생했다. 기성복이 아닌 온전한 수제로 제 목소리를 내는.


저작권자 Ⓒ시사뉴스
제보가 세상을 바꿉니다.
sisa3228@hanmail.net





커버&이슈

더보기

정치

더보기
윤호중 행안장관 "중요 정보시스템 이중화, 예산 7천억~1조 소요 예상"
[시사뉴스 홍경의 기자] 윤호중 행정안전부 장관이 지난 1일 국회 행정안전위원회 국정자원 현안질의에서 국가정보자원관리원(국정자원)에서 관리하는 주요 핵심 정보시스템들을 양쪽 센터에서 동시에 가동하는 방식으로 이중화할 경우 7000억원에서 1조원의 예산이 필요하다고 밝혔다. 윤 장관은 "지금 파악하기로는, 대전센터에 있는 30여개의 1등급 정보시스템을 액티브-액티브 방식으로 구축하면, 7000억원 정도가 소요된다"고 말했다. 이어 "공주센터까지 포함하면 (예산이) 1조원이 넘는다"고 덧붙였다. 액티브-액티브는 한쪽에서 장애가 발생하더라도 다른 쪽이 즉시 서비스를 이어받아 중단 없이 운영할 수 있는 체계로, 두 센터가 실시간으로 데이터를 주고받으며 동시에 가동되는 구조다. 정부는 정보시스템을 중요도에 따라 1~4등급으로 나눠 관리하고 있다. 1등급은 국민 생활과 직결된 정보시스템으로, 정부24 등이 포함돼있다. 윤 장관은 이 방식이 막대한 예산이 소요되는 만큼, 민간에서 사용하는 클라우드 등을 활용하는 방안도 고려해보겠다고 했다. 윤 장관은 "보안 문제나 이런 문제를 해결한다면 민간 자원을 리스(임차) 형태로 활용하는 방법도 있을 수 있다"며 "로드맵을 마련하기

경제

더보기

사회

더보기

문화

더보기

오피니언

더보기
【박성태 칼럼】 디지털 약자들의 정보격차 어떻게 해소할 것인가
스마트폰 하나만 있으면 은행 업무부터 병원 예약, 대중교통 이용, 행정 서비스까지 해결되는 시대다. 그러나 이 편리함은 상대적으로 디지털 정보활용 취약계층에게는 새로운 장벽이 되곤 한다. 각종 기관의 창구 업무는 줄어들고 키오스크 등 디지털 기기만 늘어나고 있다. 디지털 전환은 이제 선택이 아닌 생존의 문제다. 전자정부, 모바일뱅킹, 온라인쇼핑, 스마트농업 등 대부분의 사회·경제 활동이 디지털을 기반으로 이뤄지는 시대다. 하지만 모두가 그 혜택을 고루 누리고 있는 것은 아니다. 노인뿐 아니라, 전업주부, 저학력자, 농촌 거주자, 장애인 등 이른바 ‘디지털 정보취약계층’은 여전히 정보 불평등의 사각지대에 놓여 있다. 이러한 정보격차는 단순한 ‘기술 접근’의 문제가 아니다. 기기 사용 능력의 부족, 낮은 디지털 문해력, 인프라 격차, 생활환경의 한계 등이 복합적으로 작용한다. 정보에 대한 접근 권한과 활용 능력이 결여되면 일상적인 서비스 이용은 물론, 경제 활동, 교육 기회, 복지 접근까지 제한받는다. 디지털 기술이 사회를 더 평등하게 만들기는커녕, 오히려 기존의 격차를 심화시키는 역설적 결과가 나타나고 있는 것이다. 특히, 지방의 중장년층 여성이나 농민, 저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