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기사

2025.10.10 (금)

  • 맑음동두천 25.8℃
  • 구름조금강릉 27.3℃
  • 맑음서울 26.6℃
  • 구름많음대전 25.0℃
  • 흐림대구 22.6℃
  • 흐림울산 23.8℃
  • 구름많음광주 24.8℃
  • 흐림부산 27.2℃
  • 구름조금고창 25.2℃
  • 제주 24.5℃
  • 맑음강화 25.7℃
  • 구름많음보은 24.4℃
  • 구름많음금산 25.9℃
  • 구름많음강진군 26.3℃
  • 흐림경주시 22.1℃
  • 구름많음거제 25.3℃
기상청 제공

경제

밤새워 구입한 H&M-발망 "정가보다 저렴하게 팝니다"

URL복사

[시사뉴스 우동석 기자] 글로벌 SPA 브랜드 'H&M'과 '발망'이 협업해 선보인 한정판 제품이 정가 이하에 거래되는 경우가 속출하고 있다.

당시 웃돈을 얹어 팔면 큰 이익을 남길 수 있다며 리셀러들의 주목을 받았지만, 빠르게 거품이 빠지고 있다.

2일 업계에 따르면 온라인 중고사이트에는 'H&M-발망' 관련 매매글이 꾸준히 올라오고 있다. 지난 11월5일 'H&M'과 '발망'이 협업해 출시한 한정판 제품을 되팔거나 다른 제품으로 바꾸려는 게시글들이다.

특히 '급처분한다', '바이커진을 정가보다 20%저렴하게 판다', '부츠를 정가에 판매한다' 등의 글이 심심치 않게 보인다. '초저가'에 판매한다며 14만원 상당 재킷을 12만원에 파는 이용자도 보였다.

발망은 프랑스 고급패션 브랜드로 가격대가 수백만원, 수천만원대에 이른다. 협업으로 발망 디자이너가 만든 의류가 10분의 1 수준으로 저렴해지자 일주일 전부터 매장 앞에서 대기줄이 생기는 진풍경이 벌어졌다.

또 해당 상품의 희소성 탓에 웃돈을 얹어 되팔려는 리셀러들도 많았다. 실제 출시 하루 만에 인터넷 중고 거래 사이트에는 웃돈을 얹어 되판다는 거래 글이 쏟아졌고, 정가보다 2배 비싼 가격에 거래되기도 했다.

업계는 해당 한정판 제품이 초기엔 희소성으로 크게 주목받았지만, 빠르게 거품이 빠지고 있단 시선이다. 일반인에게는 다소 부담스러운 디자인과 리셀러들로 인해 나빠진 이미지 등 영향을 미친 것으로 보인다.

패션업계 한 관계자는 "당시 밤을 새우는 풍경과 차익을 보기 위한 리셀러들로 인해 소비자들이 바라보는 시선이 곱지 않았다"며 "결국 돈벌이로만 보고 사재기하는 사람들 때문에 제품을 입고 싶어하는 이들이 손해를 본 셈"이라고 지적했다.


저작권자 Ⓒ시사뉴스
제보가 세상을 바꿉니다.
sisa3228@hanmail.net





배너

커버&이슈

더보기

정치

더보기

경제

더보기

사회

더보기

문화

더보기

오피니언

더보기
【박성태 칼럼】 디지털 약자들의 정보격차 어떻게 해소할 것인가
스마트폰 하나만 있으면 은행 업무부터 병원 예약, 대중교통 이용, 행정 서비스까지 해결되는 시대다. 그러나 이 편리함은 상대적으로 디지털 정보활용 취약계층에게는 새로운 장벽이 되곤 한다. 각종 기관의 창구 업무는 줄어들고 키오스크 등 디지털 기기만 늘어나고 있다. 디지털 전환은 이제 선택이 아닌 생존의 문제다. 전자정부, 모바일뱅킹, 온라인쇼핑, 스마트농업 등 대부분의 사회·경제 활동이 디지털을 기반으로 이뤄지는 시대다. 하지만 모두가 그 혜택을 고루 누리고 있는 것은 아니다. 노인뿐 아니라, 전업주부, 저학력자, 농촌 거주자, 장애인 등 이른바 ‘디지털 정보취약계층’은 여전히 정보 불평등의 사각지대에 놓여 있다. 이러한 정보격차는 단순한 ‘기술 접근’의 문제가 아니다. 기기 사용 능력의 부족, 낮은 디지털 문해력, 인프라 격차, 생활환경의 한계 등이 복합적으로 작용한다. 정보에 대한 접근 권한과 활용 능력이 결여되면 일상적인 서비스 이용은 물론, 경제 활동, 교육 기회, 복지 접근까지 제한받는다. 디지털 기술이 사회를 더 평등하게 만들기는커녕, 오히려 기존의 격차를 심화시키는 역설적 결과가 나타나고 있는 것이다. 특히, 지방의 중장년층 여성이나 농민, 저학